•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workers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3초

Cardiac Autonomic Control and Neural Arousal as Indexes of Fatigue in Professional Bus Drivers

  • Lecca, Luigi I.;Fadda, Paolo;Fancello, Gianfranco;Medda, Andrea;Meloni, Michel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2호
    • /
    • pp.148-154
    • /
    • 2022
  • Background: Bus driving is a mentally demanding activity that requires prolonged attention to ensure safet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mental fatigue caused by driving a public bus and to find a profile of workers at higher risk. Methods: We evaluated changes of critical flicker fusion (CFF) (index of central arousal)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dex of autonomic balance) in a 6-hour driving shift on a real route, in 31 professional bus drivers, and we tested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s such as sleep quality, BMI, and age.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differences of CFF and HRV between both initial and final phase of driving, whi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ed the influence of personal variables on the indexes of mental fatigue. Results: Results showed that CFF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hours of bus driving (41.91 Hz, sd 3.31 vs. 41.15 Hz, sd 3.15; p = 0.041), and heart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inal phase of driving,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hase (85 vs. 78 bpm, p = 0.027). Increasing age (beta = -0.729, p = 0.022),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beta = -0.530, p = 0.04), and diurnal sleepiness (beta = -0.406, p = 0.017)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nfluencing mental fatigue. Conclusion: Elderly drivers at higher risk of sleep disorders are more prone to mental fatigue, when exposed to driving activity. Monitoring indexes of central arousal and autonomic balance, coupled with the use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can represent a useful strategy to detect profile of workers at higher risk of mental fatigue in such duty.

Breaking the Culture-specific Silence of Women Glass Bead Makers in Ghana: Towards Empowerment

  • Adom, Dickson;Daitey, Samuel T.;Yarney, Lily;Fening, Peggy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50-457
    • /
    • 2020
  • Background: The production of glass beads in Ghana is greatly impacted by the ingenuity of Ghanaian women. Preliminary investigations revealed the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women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culture-specific silence.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faced by these industrious women with the ultimate goal of suggesting ways they can be empowered. Methods: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in two indigenous glass bead communities in Ghana. Data were solicited via direct observations, person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wenty-six purposively sampled respon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ata from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elderly women glass bead makers are much influenced by the Ghanaian culture of silence. This prevents the women from speaking about the challenges they are facing in their work. Also, the women are silenced because of the fear of losing their jobs as well as the reluctance of their male managers to remedy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 in the course of work. This has resulted in poor remuneration, lack of insurance packages for workers, certification, and absence of personal protective tools for the women. Conclusion: The study tasks the government of Ghana, the Legal Advocacy for Women in Africa (LAWA), the Fair Wages and Salaries Commission in Ghana, the Ghana Trade Union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Workers' Union to empower the women to sustain the glass bead industry in Ghana.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태도와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ntextual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윤일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75-681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관한 매개효과를 실증 검증한 연구로서 직무태도,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인장기요양 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먼저,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 직무태도, 조직풍토, 맥락적 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 성과 사이에 직무태도, 조직풍토는 이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성과 사이에 직무태도와 조직풍토는 유의한 매개효과 경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심리적인 자발적인 직무역량 방안 마련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도시보건소 직원의 보건소 업무에 대한 인식 및 견해 (A Study on Perception and Attitudes of Health Workers Toward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Urban Health Centers)

  • 이재무;강복수;이경수;김천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47-365
    • /
    • 1995
  • 도시 보건소 직원의 보건소 업무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직할시 7개 보건소 직원 310명을 대상으로 1994년 8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52명(회수율 81.3%)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은 남자가 95명(37.3%), 여자가 157명(62.3%)이고, 60.3%가 대졸이상자였다. 현재 근무부서의 시설이 보건사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한 의견이 28.6%, 적합하지 않다가 51.1%였고, 보유 기자재가 사업수행에 적합하다가 19.4%, 적합하지 않다가 39.0%였으며, 보건소의 인력수가 적정하다가 28.6%, 적합하지 않다가 44.8%였다. 근무부서의 예산이 보건사업 수행에 적합하다고 한 의견이 13.1%, 적합하지 않다가 38.5%였다. 지방자치제 실시후 사업내용이 바뀌어야 한다고 한 의견이 51.9%,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자신의 근무부서의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한 의견이 25.4%, 도움되지 않는다가 24.6%였다.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보건소의 조직과 기능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78.6%였다. 사업 목표량의 설정이 해당 부서나 지역의 실정에 비추어 맞게 책정되어 있다는 의견이 11.1%, '그렇지 않다'가 43.3%였다.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교육을 더 받아야 한다고 한 의견이 57.5%, 더 받을 필요없다가 20.6%였고, 자신의 업무수행에 자율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35.7%, 자율성이 없다가 25.8%였으며, 현재 하고 일에 만족한다가 39.3%, 만족하지 못한다가 16.3%였다. 보건소의 인사관리에 대해서는 11.5% 합리적이라고 하였고, 47.3%가 불합리적 이라고 하였으며, 보건소가 주민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는 의견이 41.3%,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13.1%였다. 보건소에서 지역주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잘 시행되고 있는 사업은 결핵관리, 일반진료, 모자보건사업의 순이었으며, 부족한 사업은 보건교육, 치과진료, 위생, 통합보건사업의 순이었다. 향후 보건소에서 주민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노인보건사업, 가정의료사업, 재활보건사업, 당뇨병관리, 고혈압관리, 학교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보건소 근무자들은 시설, 기자재, 인력, 예산, 인사관리, 사업목표량의 설정 및 평가, 인사관리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으며, 업무수행을 위한 보수교육, 지방자치제 실시를 통한 업무의 변화, 업무의 자율성, 업무의 만족도 면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 the Agricultural Work a Risk Factor for Koreans Elderly Spinal Sagittal Imbalance?

  • Hong, Jong-Hwan;Han, Moon-Soo;Lee, Seul-Kee;Lee, Jung-Kil;Moon, Bong J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5호
    • /
    • pp.623-630
    • /
    • 2020
  • Objective : A primary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has been considered because of unique lifestyles such as the prolonged crouched posture during agricultural work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floor. Previous papers have reported that sagittal imbalance disease is often seen distinctly in the farming districts of "oriental"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However, this finding was only evaluated with the use of X-ray, and other factor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uscle volume, compression fracture, and laboratory results were not considered. Thus, using these, we evaluate the agricultural work-associated factors for Korean elderly spinal sagittal imbalance. Methods : We recruited 103 Korean participants who had a sagittal vertical axis (SVA) of >5 cm in this Korean Elderly Sagittal Imbalance Cohort Study. The following were evaluated : radiological parameters, MRI, compression fracture, vitamin D, parathyroid hormone, C-terminal telopeptide, osteocalcin, bone mineral density and muscle fatty change, muscle volu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rom patients' survey. Moreover, in this survey, the farmers' annual working hours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for spinal sagittal imbalance depending on occupation. Results : A total of 46 participants were farmers, and the others were housewives, sellers, and office workers. The farmer group had more SVA (141 vs. 99 mm, p=0.001) and pelvic tilt (31° vs. 24°, p=0.004) and lesser lumbar lordosis (20° vs. 30°, p=0.009) and thoracic kyphosis (24° vs. 33°, p=0.03) than non-farmer group.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the working hour and SVA in the farmer group (p=0.014). Th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for back pain (8.26 vs. 6.96, p=0.008)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23.5 vs. 19.1, p=0.003) in the farmer group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non-farmer group, but the Short Form-36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ini-Mental State Exam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rmer group than in the non-farmer group (24.85 vs. 26.98, p=0.002). Conclusion : The farmer group had more sagittal imbalance and back pain in proportion to the working hours even though the muscle and bone factors and general laboratory cond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the long hours spent in the crouched posture while performing agricultural work were a risk factor for severe sagittal imbalance.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의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상관성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cognitive function in Korean older adults living in rural area)

  • 신예솜;최보율;김미경;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65-47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93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상태와 영양소 섭취량을 파악하고,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성을 밝혔다. 미국 IOM의 비타민 D 진단 기준에 따라 대상자는 결핍군 26명 (6.6%), 부족군 175명 (44.5%), 충분군 192명 (48.9%)으로 분류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세 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충분군에서 남성과 음주자 비율, 실외직 비율, 키, 체중이 가장 높았다. 모든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MMSE-KC의 총 점수는 충분군일수록 높았으며, 부분별로 지남력, 기억 등록, 집중력, 구성능력에서 충분군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인지기능 저하 비율은 결핍군 53.8%, 부족군 38.3%, 충분군 31.9%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다. 비타민 D 결핍군일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피부의 합성능력이 저하되어 비타민 D가 결핍되기 쉬우므로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의 예방을 위해 육류, 생선, 버섯 및 유제품등의 비타민 D 급원 식품이나 보충제 섭취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는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코호트나 임상 연구가 요구된다.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간 조직문화차이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Commercial Enterprises, and Impact Relations on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 김미화;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67-67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경제의 핵심조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의 차이를 확인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의 특성차이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이 여성비율이 많고, 연령이 높았으며 연봉은 영리기업이 많았다. 사회적기업이 저임금의 여성 노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문화차이 분석결과 합리문화는 영리기업이 높고, 집단문화는 사회적기업이 높았다. 영리기업이 생산성과 효율성, 계획수립과 목표설정, 목표달성 위주의 평가, 실적위주의 평가를 중요시하는 반면 사회적기업이 친화와 참여, 종업원 개개인의 개발, 집단사기와 응집력, 상호협조 및 신뢰감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성과와 경제적성과 모두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에 비하여 높았다. 사회적기업이 종사자 참여와 이해에 기반하여 투명하게 조직을 운영하고 있어서 경제적성과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사회적성과는 영리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사회적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경제적성과는 영리기업은 합리문화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사회적기업은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아울러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영리기업종사자들에 비하여 사회적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요컨대, 한국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과 차별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해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의 의미적·기능적 적절성 판단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국가 간 비교법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mantic and Func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Safety Sign Color Standards in Construction Sites)

  • 장예은;이준성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2-30
    • /
    • 2018
  • 건설안전 강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시인성 높은 색채를 사용한 안전표지는 근로자가 다른 주의집중 상태로 인해 위험을 인지하지 못할 때, 즉각적으로 장기기억에 내재된 정보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건설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안전표지가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이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안전표지색채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기준과 더불어 건설현장이 갖는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및 호주의 4개국의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을 분석하고,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표지 색채기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4개국 모두 파란색을 안전색상으로 지정하고 있는데, 오늘날 건설산업에 많은 고령 근로자가 종사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고령 근로자에게 있어 구분이 어려운 푸른색 계열의 안전표지사용은 부적절하다. 또한, 건설현장은 장소에 따라 밝기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지하 작업의 경우 충분한 밝기 확보가 어려우므로,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빛 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오차나 색상 팔레트가 필요하다.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Life of Older Wage Earners: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 박지숭;윤민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97-51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임금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이 갖는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201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349개의 의미단위, 3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6개의 본질적 주제(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괄시와 편견을 견디는 삶, 노년의 포도청(捕盜廳), 을 중의 을로서의 멍에, 뛰어 넘을 수 없는 벽, 일을 통해 청년의 시간 되살리기, 노동 자존감이었고, 이러한 6개의 본질적 주제는 '고단한 노년의 삶 속에서 간헐적으로 느끼는 작은 행복'으로 귀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령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환경으로 인해 삶이 고단하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노동을 통한 자긍심을 통해 고단함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령임금근로자들에게 일은 경제적 고민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노동을 통해 노년기 자존감을 높여주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일하는 노년의 삶은 고단하다. 그러나 노동 자체가 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을 고단하게 만들기보다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겪는 부당한 처우와 사회적인 편견, 괄시가 일하는 삶의 무게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당한 근로환경은 인권보호의 관점에서 사회적 논의와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자들의 경험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고령 근로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