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Commercial Enterprises, and Impact Relations on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간 조직문화차이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9.05
  • Accepted : 2016.09.26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commercial enterprises and assess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terprises employ a lot of low-imcome women and the elderly worker. Second, rational culture is high in profit businesses, but cultural group is high in social enterprises. In commercial enterpris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planning and goal setting, assessing goals and look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are important. and in social enterprise, affinity and participation, employees individual development and group morale and cohesion, emphasis on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are important. In addition, both soci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are higher than in commercial enterprises. Social enterprises are operating transparently based on worker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is expected that economic performance is also highly recognized. Third, social performance is higher development and group culture are higher in commercial enterprises, and development, group and hierarchy culture are higher i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is higher reasonal culture is lower in commercial enterprises, and group culture is higher in social enterprises. Therefore,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are recognizing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re higher than commercial enterprise workers. In short, social enterprises is making discriminato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is is contributing to achie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경제의 핵심조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의 차이를 확인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종사자의 특성차이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이 여성비율이 많고, 연령이 높았으며 연봉은 영리기업이 많았다. 사회적기업이 저임금의 여성 노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문화차이 분석결과 합리문화는 영리기업이 높고, 집단문화는 사회적기업이 높았다. 영리기업이 생산성과 효율성, 계획수립과 목표설정, 목표달성 위주의 평가, 실적위주의 평가를 중요시하는 반면 사회적기업이 친화와 참여, 종업원 개개인의 개발, 집단사기와 응집력, 상호협조 및 신뢰감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성과와 경제적성과 모두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에 비하여 높았다. 사회적기업이 종사자 참여와 이해에 기반하여 투명하게 조직을 운영하고 있어서 경제적성과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사회적성과는 영리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사회적기업은 개발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경제적성과는 영리기업은 합리문화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사회적기업은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아울러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영리기업종사자들에 비하여 사회적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요컨대, 한국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과 차별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해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단이, 한국 사회적기업의 형성 및 성장 과정 연구: 사회복지영역에서 전환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2.
  2. OECD, Social Enterprise, Paris, OECD, 1999.
  3. P. A. Dacin, M. T. Dacin, and M. Matear, "Social entrepreneurship: Why we don't need a new theory and how we move forward from her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Vol.24, No.3, pp.37-57, 2010. https://doi.org/10.5465/AMP.2010.52842950
  4. C. Borzaga and J. Defourny (ed.), The Emergency of Social Enterprise, London, Routledge, 2001.
  5. F. Perrini and C. Vurro, "social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Social Change across Theory and Practice," in J. Mair, J. Robinson, and K. Hockerts(Eds.), Social Entrepreneurship, Palgrave Macmillan: New York, pp.55-85, 2006.
  6. 이용재, "사회적 기업에서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pp.206-213, 2012.
  7. 최석현, 남승현, "사회적기업의 성과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인증 사회적기업과 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133-155, 2015.
  8. 홍순복, "세무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366-373, 2011.
  9. 진영란, 이광순,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도 관련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92-201, 2015.
  10. 김미화, 이용재, "사회적기업 문헌고찰을 통해 본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 인간과 사회 33집,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11. H. S. Becker, "Culture: A Sociological View," Yale Review, Summer, pp.513-527, 1982.
  12. 서상태, 로저코너.톰 스미스저,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아빈저 연구소 코리아, 2013.
  13. 임혁, 황성동, 채인숙, "조직문화가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5-34, 2012.
  14. 한봉주, 조직문화,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5. R. E. Quinn and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Frost.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Cal : Sage, pp.315-334, 1985.
  16. 강종수, 박은미,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47-25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247
  17. 김은정, 이종건,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7권, 제1호, 2010.
  18. 김동화,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관한 다층분석:종사자의 사회적.경제적 성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논문, 2011.
  19. 문형주, 기업가정신이 종업원의 개인 역량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박사논문, 2009.
  20. 김순양, "사회적기업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의 개발 및 적용,"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1호, pp.31-59, 2008.
  21. 권기환, 박경연, "사회적기업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012.
  22. 조영복, "한국의 사회적기업 육성모델과 국제비교," 사회적기업연구, 제4권, 제1호, pp.88-105, 2011.
  23. M. J. Christie and B. Honig, "Social entrepreneurship: New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41, No.1, pp.1-5, 2006. https://doi.org/10.1016/j.jwb.2005.10.003
  24. 조상미, 권소일, 김수정, "조직요인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집, 2011.
  25. 주규하, 김왕의, "사회적기업가 비전리더십이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응집력의 매개효과," 사회적기업연구, 제8권, 제1호, pp.161-181, 2015.
  26. 박노윤, 이은수, "사회적기업가정신과 기업가의 흡수능력:딜라이트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연구, 제8권, 제1호, pp.39-75, 2015.
  27. 김명희, "공예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 인도 인더스트리 크래프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73-83, 2014.
  28. 여예원, 이주성,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제7권, 제1호, pp.11-36, 2014.
  29. 조상미, 권소일, 김수정, "조직요인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29-50, 2012.
  30. J. R. Baum, E. Locke, and K. G. Smith, "A Multidimensional Model of Venture Growt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2, pp.292-303, 2001. https://doi.org/10.2307/3069456
  31. J. E. McGee, M. J. Dowling, and W. L. Megginson, "Cooperative Strategy and New Venture Performance: The Role of Business Strategy and Management Experie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6, pp.565-580, 1995. https://doi.org/10.1002/smj.4250160706
  32.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논문, 2008.
  33. 정은경,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 역량,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 청주대, 박사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