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고령자의 요구도 분석을 반영한 고령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 (Reflecting the needs analysis of the elderly Elderly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model)

  • 정은영;김재승;박동균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7-140
    • /
    • 2018
  •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한 고령자의 건강증진 효과에 관련한 연구는 그 동안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건강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령자들의 니즈를 파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시, 농촌간의 지역별 특징과 수요를 분석을 통해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심지역과 농촌지역별 고령자의 건강관련 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건강관리방법과 건강관리 서비스 형태 및 콘텐츠에 대한 지역별 수요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의 돌봄 욕구와 안녕감에 관한 연구 : 사회적가치지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 Needs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Using Elderly Care Service : Focus on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 김가원;최성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55-564
    • /
    • 2021
  • 본 연구는 기존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서비스 이용 노인의 안녕감을 평가하고, 돌봄 욕구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노인돌봄 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2019년 10월 기준 3개월 이상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이용한 노인 1,501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 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은 평균 90.93점이며, 돌봄 서비스 이용 노인의 안녕감은 71.29점으로 나타났다.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사회적가치지향성을 보다 높다고 인식한 집단에서 노인들의 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돌봄 서비스 중단 시 우려되는 점에 대해 "외로움", "고독사", "안전"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필요한 서비스로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돌봄서비스의 발전 방향 모색 및 노인돌봄 체계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challenges of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 전용호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599-616
    • /
    • 2020
  • 정부는 2020년부터 기존의 6개 노인 돌봄서비스를 일괄 폐지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 노인돌봄 제도의 큰 변화로 장기요양 등급외자 노인을 위한 예방서비스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를 길버트와 테렐의 정책 분석틀을 활용해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사회서비스원의 도입과 커뮤니티 케어를 강조하는 거시 정책 환경에서 탄생한 제도로 노인 돌봄의 할당, 급여, 전달, 재정 측면에서 여러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도적으로 등급외자를 위한 돌봄서비스의 보장성이 하위 70%로 확대되고, 보건의료와 복지의 다양한 급여가 제공될 수 있게 됐다. 또, 전달체계가 지역의 생활권역을 설정해서 수행기관이 전담해서 책임지고, 재정이 공급자 지원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를 통해 여러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되지만, 보장성의 여전한 취약성, 셀프케어의 모호함과 직접 대인 서비스의 축소, 서비스권역 설정의 적절성, 공급자 위주 서비스 제공 등의 과제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서비스 이용자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f Social Service Users'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Elderly Home Care Services)

  • 조한라;여영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717-725
    • /
    • 2017
  •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에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보가용성이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이용자의 응답자료 466부를 활용하여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가구 형태, 거주 지역,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보가용성은 서비스 품질과 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정보가용성의 하위요소 중 특히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와 요구 가능한 내용에 대한 정보는 기타 정보가용성 하위요소 보다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더욱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각 이용자의 욕구와 상황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의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만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 중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정보제공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Diabetes Knowledge on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Korean Low-income Elders with Diabetes

  • Jeong, Jihye;Park, Namhee;Shin, So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7-22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s of and relationships among health literacy, knowledge about diabetes, and self-care activities in the Korean low-income elderly with diabet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elf-care activities of this vulnerable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151 low-income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registered at 16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B City, Korea.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with the Newest Vital Sign. Diabetes knowledge was measured with the Diabetes Knowledge Test.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these patients. Results: In the regression model, diabetes knowledge (${\beta}=.322$, p<.001), exercise (${\beta}=.337$, p<.001), and experiences of diabetes education (${\beta}=.241$,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low-income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when gender, education, 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e were controlled. Conclusion: To improv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the low-income elderly with diabet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considering their knowledge, exercise, and diabetes education experience.

주야간보호시설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노인 및 주부양자의 간호요구도 조사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Using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and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and their Caregivers)

  • 김나은;박남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3-26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in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and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and caregiv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elderly people and their caregivers, who lived in B and G cities used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Caregivers have a higher awareness of nursing needs than the elderly. Both the elderly and their caregivers had the highest informational nursing requireme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and physical nursing needs of caregivers,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nursing needs in each are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should provide customized nursing services by assess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and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and caregivers by area before establishing a nursing plan. This will enable them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services for elderly people. In addition, we propose research to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caregivers.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예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사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돌봄대상자 (Community Resource Linkage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Seniors: Persons Receiving Care from Living Support Workers in the Elderly Customized Care Project)

  • 김선정;임은실;장현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frailty prevention services by living support workers through a case of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centered on living support workers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Methods: This is a research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a neighborhood health-sharing project among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of one public health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assess frailty effects pre-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August,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November. Frailty was measured using a 20-item frailty instrument used in home healthcare pro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Preliminary measurements showed that older elderly had higher frailty scores than younger elderly. However, among the elderly aged 75 or older the total frailty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5.97 points to 5.30 points (t=3.03, p=.003). Conclusion: The older elderly showed greater effect of frailty prevention than the younger elderly.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care satisfaction of the urban elderly focusing on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in Seoul)

  • 손창우;서다람;황종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54-26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ervice satisfaction of urban elderly, focusing on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in Seoul, and suggesting policy direc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Method: Individuals aged 65 and 70 who used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from July 2017 to June 2019 were eligible for the survey. A total of 2,028 people were sampled using a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for each autonomous district in the survey which covered 25 district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aking into account the individual's socioeconomic level, health status, type of service provided, and the healthcare-related environment and service provision period of the autonomous district. Resul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urban elderly, the type of services provided (health screening, linkage to community health center and clinic/hospital, medical checkup results counseling, frailty evalu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of the service were the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the outreach health services.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ealth services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visiting nurses and the elderly may be considered to promote a sustainable community health care model.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Welfare Ordinance for the Elderly in Gwangju and Jeonnam

  • Kim, Ky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77-183
    • /
    • 2022
  •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하여 현재 운영하고 있는 노인복지조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내용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다양한 노인복지서비스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노인복지조례의 제·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범위를 광주광역시 5개 자치구와 전라남도 및 22개 시·군의 조례로 특정하여, 이들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조례에 대한 내용분석의 기준을 노인복지의 4대 분야인 소득 및 일자리, 돌봄, 건강, 여가활동 및 사회참여로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조례제정의 방향으로 노인복지 예산의 재원확보, 자치단체별 특성을 반영하는 차별화된 노인복지정책의 개발, 감염병 관련 조례 제정 확대, 비감염병 의료 지원 조례제정,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맞춤형 조례 제정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닌 연구대상과 분석범위에 대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 (Strategi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Linkages in Korea Based on Delphi Technique)

  • 이승희;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82-290
    • /
    • 2012
  •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각 영역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연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안의 총 24개 항목이 연계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 도출된 24개의 항목은 재가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재가간호서비스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