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Linkages in Korea Based on Delphi Technique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

  • Received : 2012.09.25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oday, home health care services needs a linkage plan of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medical institute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which acknowledges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the home health care services while minimizing overlap through linking the projects. So,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which draws agreement from professional opinion, to determine a method to link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ecialists agreed on 24 important items within the two domains of institutional linkage and medical link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24 items deduced for the approved nursing service linkage pla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hom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system, enhance the quality of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bring increased satisfaction for service recipients. Also, seeking ways to minimize overlap in service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at a nat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ultimately reduce public medical costs as well as improve home health care service.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각 영역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연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안의 총 24개 항목이 연계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 도출된 24개의 항목은 재가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재가간호서비스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방문보건사업모니터링 및 활성화방안개발, 2006.
  2. 문화일보, 2012.1.13.
  3. 안선희, 보건소 방문간호사업의 간호활동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지역사회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1.
  4. 김의숙, 고일선, 김소선, 김혜영, 류선주, 이수정, 조원정, 장현숙,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의 영향 평가 및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업소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2002.
  5. 이제남, 노인을 위한 가정방문 간호서비스의 효과와 만족도: 용인시 빈곤 노인층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7.
  6. 보건복지부, 가정 방문간호사업의 확대 및 정착을 위한 장기 발전 방안, 서울대학교간호대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7. 이화진, 가정간호사업 활성화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 의사.간호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8. 황나미,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모형개발 및 제도화 방안, 보건복지부, 1999.
  9. 서문자, 김소선, 신경림, 강현숙, 김금순, 박호란, 김혜숙, "가정간호사의 실무체험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1호, pp.84-97, 2000.
  10. 임소정, 가정방문간호사업의 서비스 실태 및 만족도,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1.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간호 서비스가이드라인, 2008.
  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화사회 대응 가정방문 간호서비스 기능정립 심포지엄-보건소 방문보건.의료기관 가정간호.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서비스를 중심으로, 2007.
  13. 김순례, "재가환자를 위한 가정, 방문간호사업의 개요", 2009년 가톨릭 성모병원 방문간호 세미나, pp.3-38, 2009.
  14. 임지영, 김은주, 최경덕, 박종덕, 노원정,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서비스 활성화 방안, 국민건강보험.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15. 박혜숙, 지역사회 가정간호와 연계한 보건소 방문간호사업의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16. 보건복지부, 가정간호업무편람, 2010.
  17. 노인장기요양보험법, 2010.
  18. Delbecq, A.L., Van de Ven, A.H. and Gu stafson, D.H.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Glenview, Ill, 1975.
  19. Lawshe, H., Personnel Psychology, Vol.28, No.4, pp.563-575, 19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0. 이건남 등,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1호, pp.87-110, 2009.
  21.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2nd), New York: McGraw-Hill, 1978.
  22. 김용순, "방문간호시설의 가정전문간화 역할 및 과제", 2007년 한국가정간호학회 춘계학술대회, pp.27-37, 2007.
  23. 김의숙, 고일선, 유호신, 김인숙, 김정은, 채영문, 전경희, 이재익, 김동우, 보건소 공공근로 방문간호 사업 D/B 구축 및 서비스 표준화틀 개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2001.
  24. 양순옥, "가정간호-방문간호-방문건강관리사업 간 연계 및 협력 방안", 2007년 한국가정간호학회 춘학술계대회, pp.47-63, 2007.
  25. 장현숙, 진영란, 김정은, 홍은정, 유재성, 건강증진기금연구사업: 보건소 방문보건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간호 간 기능역할 설정, 한국보건산업진흥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6. 임지영, "방문간호와 의료기관 가정간호의 연계 방안", 2008년 인천시 가정간호사회 워크샵, pp.1-7, 2008.
  27. 임지영, 김은주, 최경원, 이정석, 노원정,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83-29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83

Cited by

  1. Current Status of Home Visit Programs: Activities and Barrier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vol.45, pp.5,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