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aboration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5초

역대의학성씨(歷代醫學姓氏)의 침(針)과 침(鍼)에 대하여 (Wording on Acupuncture "鍼" & "針" Used by Historic Doctors)

  • 김홍균;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93
    • /
    • 2012
  • From the part "歷代醫學姓氏(Historic Doctors)" in "醫林撮要(Uirimchualyo)", the following has been noticed and concluded. 1. Because acupuncture was originated from stony needle, the word "石(sok)" contains the meaning of needle, and from this point on, words like 石(sok), 砭石(pyumsok), 箴石(Jamsok), 鑱石(Chamsok) had been derived. 2. The word 砭石(pyumsok) used in "Hwangjenaekyong(Yellow Emperor's Canon of Medicine or Hwangdineijing)" should be interpreted as acupuncture in a verb form, not a noun form. 3. 鑱石(Chamsok) or 鑱鍼(Chamchim) was used for surgical treatment for tumor, by cutting open tumors and pressing the pus out. Therefore, 砭石(pyumsok), 鑱石(Chamsok) are the same kind of needles, and 鑱鍼(Chamchim) is the tool improved from 鑱石(Chamsok) used in the Bronze Age. 4. Kwakpak put a note on 鑱石(Chamsok) in "山海經(Sanhaekyong)" that reads "it is defined as 砥鍼(Jichim) and treats tumor." This let us know the shape of 石(sok), 砭石(pyumsok), 鑱(Chamsok), 鑱鍼(Chamchim), and the stone that can be used as a surgical tool with slim & sharp shape is obsidian. 5. Because obsidian is only found around Mt. Baekdu and limited area in South Korea & Japan in Asia,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 medical environment of the tribe "Mt. Baekdu". 6. The development of 鑱鍼(Chamchim) was influenced by surgical treatment used in early stage of civilization, and its origin is traced upto Gochosun dynasty. Korea's own traditional medical knowledge is derived from this surgical treatment skill. 7. Because the acupuncture is originated from Gochosun dynasty, 鍼(chim) was derived from 箴(Jam) of 箴石(Jamsok), 䥠(Chim) & 䥠(Chim) both were used for a time being, and finally settled into 鍼(Chim). 8. The word 針(Chim) showed up at Myung dynasty, and started to be used in Korea from early Chosun dynasty. 9. In the early Chosun dynasty, 鍼(Chim) was used for medical term, and 針(Chim) for non-medical term. In the mid Chosun dynasty, 針(Chim) was used as a term for tool, and 鍼(Chim) as a term for acupunctural medical treatment. 10. Under the order of King Sunjo, Dr. Yesoo Yang published "醫林撮要(Uirimchualyo)", added "醫林撮要續集(Sequel to Uirimchualyo)", and added "歷代醫學姓氏(Historic Doctors)" again which eventually made totally 13 books of "醫林撮要(Uirimchualyo)". In addition, many parts of "醫林撮要續集(Sequel to Uirimchualyo)" were quoted in "東醫寶鑑(Donguibogam)", and influenced much in publishing "Donguibogam". 11. In "歷代醫學姓氏(Historic Doctors)" of "醫林撮要(Uirimchualyo)", the same way in "Donguibogam", referred to 針(Chim) as a term for a needle, and 鍼(Chim) as a term for Acupuncture. 12. From the usage of 針(Chim) & 鍼(Chim), shown in "鄕藥集成方(Hyangyakjipsungbang)", "醫林撮要(Uirimchualyo)" and "東醫寶鑑(Donguibogam)", we can notice the spirit of doctors who tried to take over the legitimacy of Korean tradition, and their elaboration & historical view that expresses confidence on our own medical technology, through the wording 鍼(Chim).

로뻬 데 베가의 대중 지향적 연극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Public-oriented Plays of Lope de Vega)

  • 윤용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38권
    • /
    • pp.115-1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upport activities of the 17th century spanish plays which had been taken in various paths in terms of responses of the then-public who had been enthusiastic about great plays and artworks. Such a phenomenon clearly appeared in the open-air theater 'corral' where 'Teatro nacional' was performed at that tim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public's responses and the prosperity of then-plays from the concrete standpoint of Lope's public-oriented plays. Although Lope's plays basically include system-protection ideology, they are thoroughly based on the public's support and popularity. In short, at that time, Lope's dramatic reform and entailing remarkable hit and success were made possible through thorough compliance with the public's preference and thereby the public's absolute support and affection. The tendency of his public-oriented plays appears in two aspects. One is the common people persecuted and punishment of a wicked man of power. The typical plays in point are Lope's Perib??ez y el comendador de Oca?a and El mejor alcalde, el rey. Through the plays, the playwright Lope not only implemented praise of absolute monarch very effectively, but soothed the wounded heart of the common people who had suffered pains due to their unfair and lowly social status. In this way, his plays might give senses of reliefs and satisfaction to most viewers who identified with the common people in the plays. The other one is the decisive raise of status of an exemplary commoner, the subject matter which had been used by Lope as one of useful means to show the public-oriented tendency of his plays. The cases in point are Los Tellos de Meneses and its succeeding work Valor, fortuna y lealtad. The two-part work of Lope is about the hard journey, ups and downs, and ascent to the nobility of Tello, an exemplary and rich farmer, and hits young son Tello. Through the two-part play, Lope demonstrated how an exemplary and good-mannered commoner rose to the nobility and thereby gave vicarious satisfaction to the then-public and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them. As mentioned earlier, through his public-oriented plays, Lope not only satisfied the public's desires and achieved his realistic goal of big success. Not all Lope's plays are public-oriented. Nevertheless, the popular success of 'Teatro nacional' made by Lope and his followers is based on the public's preference and the plays' dramatic responses to their desires, and the strategic elaboration to comfort the public suffering lot of pains in daily life.

창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창의 융복합 교원 연수 교재의 개발과 실증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ce Textbooks Using Creative Storytelling Techniques)

  • 최은선;박남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43-151
    • /
    • 2021
  • 창의성에 대한 개념과 그 정의는 일찍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어왔으나, 유례없던 감염병이 등장하면서 창의성은 최근 학계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변화에 대응하여 이전에 없었던 것을 창조하는 능력이 생존의 필수 역량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창의교육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현장 교사의 선제적인 창의성 신장을 목적으로 창의교육 실천적 전략 모형을 기반으로 교원 연수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교재를 제안한다. 제안된 교재는 창의적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 보안 원리를 교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교재를 활용한 교원 연수에서 교재를 통한 교원의 창의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종합력, 조직성 요인으로 구성된 40개의 문항으로 검사를 진행하였고, 모든 요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므로 교재의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는 교원들의 현장 교육 활용성을 높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논문이 창의 융합 교재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향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odel Eliciting Activity(MEA)를 통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through Model Eliciting Activity(MEA))

  • 윤진아;한금주;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4-81
    • /
    • 2019
  • 본 연구는 MEA(Model Eliciting Activity)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P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선발과정에서 1차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통과한 40명의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MEA활동을 실시하고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MEA활동은 'Coffee cup challenge'로 컵 도면을 활용하며 주어진 크기의 종이에 컵 옆면과 바닥을 가장 많이 배치하는 최적의 방법을 고안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그린 3가지의 그림과 그 그림에 대한 설명이 주요 데이터로 수집되었으며, 통계적(상관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1)직관적 사고와 시각적 표현 그리고 2) 분석적 사고와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직관적 통찰은 시각적 표현능력과 전체 문제해결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석적 사고와 정교화 과정이 의사소통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EA활동이 스스로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다양한 해결방법을 찾아갈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초등과학영재들에게 반성과 사고를 촉진하고 학문적 연결과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 유용한 활동임을 고찰하였다.

테라포밍에 대한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소그룹 상호작용 중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ppear in Small Group Interactions During Model-Based Classrooms on Terraforming)

  • 박신희;최승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1-620
    • /
    • 202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이것이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Vygotsky, 1978). 이에 따라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소그룹 상호작용의 특징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한 본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실제 수업에 활용할 9차시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4학년 초등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이다. 연구자는 수업자 및 관찰자로서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업 동영상 자료와 녹음 자료, 학생 면담 녹음 자료,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의성의 수준은 'Mini-C' 창의성(Beghetto & Kaufman, 2007)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창의성 분석을 위하여 Davis, Rimm & Siegle(2010)가 제시한 19가지 창의적 능력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모델링 과정에서 주로 나타난 학생들의 창의성은 정교화, 평가, 시각화, 성급한 결론의 유보, 독창성, 분석, 집중 등이었다. 또한 모델링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소그룹 상호작용은 '제안', '동의', '질문', '반박', '전환'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모델링 과정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어린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 모델을 무조건적으로 반영하기 보다는 다양한 창의적 능력의 사용과 합의를 통해 더 나은 그룹 모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과학적 모델링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야외지질답사 및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Purposes and Functions of Students' Drawing while on Geological Field Trips and during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 최윤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8-1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야외지질답사와 3차시 모델링 3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별 학생들이 작성했던 모든 기록장(글, 그림), 연구자 필드노트, 학생들이 참여한 모든 영상 자료 및 음성 녹음, 전사한 인터뷰 자료 등을 연구진과 공유하였다. Hatisaru (2020) 그림 표상화를 야외지질학습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글(text, memo)을 포함한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연연적 내용 분석(deduc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림이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자료 수집 관찰, 모델 생성, 모델 발달, 자연현상의 구체화)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그림 유형은 지질학적인 개념을 포함한 상징적 이미지, 지형학적으로 외형을 묘사한 외형적 이미지, 학생들의 심리적인 영역을 표현한 정의적 이미지가 있었다. 특징은 설명, 생산화, 정교화, 증거, 일치, 심상(心狀)으로 분류하였다. 그림의 유형과 특징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학생들의 모델 발달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인 영역에 관한 특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반영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그림은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고와 의사표현을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의미를 있음을 밝힘으로써 과학교육 관계자들에게 학생들의 그림 그리기 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iddle School STEAM Program Using Big Data of World Wide Telescope)

  • 유상미;김형범;김용기;김흥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47
    • /
    • 2021
  • 최근 빅데이터에 기반한 교육의 활성화가 요구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태양계', '별과 우주'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천문교육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무선 표집된 1개의 중학교 176명의 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STEAM 태도 및 STEAM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 데이터 시각화 플랫폼인 WWT(World Wide Telescope)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 측정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 검정에서 '과제집중' 구인을 제외한 '아이디어 수정', '이미지화', '비유', '아이디어 생성', '정교성' 구인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p < .05)를 얻었다. 셋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 검정에서는 '배려', '유용성·가치 인식' 구인을 제외한 '흥미', '소통', '자아 개념', '자아 효능감', '이공계 진로선택' 구인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p < .05)를 얻었다. 넷째,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실시한 STEAM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구인들의 평균값의 범위가 3.16 ~ 3.90으로,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교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한 플랫폼 설계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tform Design Factor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Horse Industry)

  • 김미경;박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43-353
    • /
    • 2022
  • 본 연구는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하여 향후 플랫폼을 설계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대중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최적의 플랫폼 설계에 대한 혜안을 제시하기 위해 말 산업의 플랫폼 설계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하여 말 산업에 대한 관심이 있는 국내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2.0 Ver를 활용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유용성이, 주변 경로 중 정보원천의 유희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대해서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최신성이, 주변경로 중 정보원천의 매력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말 산업 플랫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향후 말 산업에 대한 구매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말 산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를 위하여 말 산업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재미있게 풀어낼 수 있는 콘텐츠 설계가 필요하며, 실질적인 수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말 산업과 관련한 최신동향을 상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플랫폼이 보다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디자인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Analyses on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송혜원;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79-92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의 3학년 1학기와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서 명제들 사이의 연결 유형과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표지 유형을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및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명제의 연결은 강조, 상술, 예시, 나열, 추가, 차례, 대응, 인과, 조건, 목적 유형 등으로 분류하였고,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명제 관계 표지의 유형은 지시어나 접속어를 사용한 경우, 쉼표를 사용한 경우, 특정 언어 요소를 사용한 경우, 표지가 없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였다. 6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 비해 적었지만, 3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 빈도가 사회 교과서보다는 낮았고 국어 교과서보다는 높았다. 명제의 연결 유형에서는 차례, 나열, 조건, 인과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3학년과 6학년 교과서 모두 명제를 연결할 때 특별한 표지가 없는 비율이 40% 이상이었고, 특히 차례와 인과 유형에서는 표지가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Modern Paradigm of Organization of the Management Mechanism by Innovative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Kubitsky, Serhii;Domina, Viktoriia;Mykhalchenko, Nataliia;Terenko, Olena;Mironets, Liudmyla;Kanishevska, Lyubov;Marszałek, Lid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41-148
    • /
    • 2022
  •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labor market today requires new conditions for unification and functioning, the introduction of an innovative cul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modern management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planes on which its formation is based.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ubstantiate the modern paradigm of organizing the mechanism of managing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novation in education is represented not only by the final product of applying novelty in educational and managerial processes in order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subject and objects of management and obtain economic, social, scientific, technical, environmental and other effects, but also by the procedure for their constant updating. The classification of innovations in education is presented. Despite the positive development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numerous problems remain in this area, which is discussed in the article. The concept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described, which defines the prerequisites, goals, principles, tasks and mechanisms of university development for a long-term period and should be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scientific, flexible, efficient and comprehensive. The role of the motivational component of the mechanism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larified, which allows at the strategic level to create an innovative culture and motivation of innovative activity of each individual, to make a choice of rational directions for solving problems, at the tactical level - to form motives for innovative activity in the most effective directions, at the operational level - to monitor the formation of a system of motives and incentives, to adjust the directions of motivation. The necessity of the functional component of the mechanism, which consists in determining a set of steps and management decisions aimed at achieving certain goals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proved. The monitoring component of the mechanism is aimed at developing a special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about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rediction based on the objective data on the dynamics and main trends of its development, and elaboration of recomme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