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검색결과 1,126건 처리시간 0.024초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납축전지 열화 예측 모델 개발 (Building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real field data)

  • 최근호;김건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243-264
    • /
    • 2018
  • 현재 전세계 배터리 시장은 이차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실제로 소비되는 배터리 중 가격 대비 성능이 좋고 재충전을 통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납축전지(이차전지)의 소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납축전지는 복합적 셀(cell)을 묶어 하나의 배터리를 구성하여 활용하는 배터리의 특성상 하나의 셀에서 열화가 발생하면 전체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와 열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학습하여 배터리 열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골프장 카트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 분석을 통해 열화 전조 현상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16,883개의 샘플을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베이지언, 배깅, 부스팅, RandomFor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의사결정나무를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한 배깅 모델이 89.3923%이 가장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날씨와 운전습관 등 배터리 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이는 향후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열화 예측 모델은 배터리 열화의 전조현상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배터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식 연구 (A Stud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 김용국;한소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83-97
    • /
    • 2011
  • 본 연구는 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실태 분석결과를 성숙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외사례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계획과정(민 관 파트너십 형성${\rightarrow}$공원조성${\rightarrow}$공원 운영 관리) 속에서 비교분석(Gap Analysis)함으로써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전개방향과 파트너 십 활성화를 위한 단서를 찾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외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를 비교분석 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첫째, 지금까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가 지자체 중심의 단일 또는 소수 파트너가 주도해 조성 관리했다면 앞으로는 도시공원의 유형별로 효율적인 다 부문간의 파트너십(Multi-Sector Partnership)을 형성해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은 공익이 우선 시 되는 공간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민 관 부문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야 하겠다. 둘째, 도시공원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공 공간이다. 따라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사례분석 결과, 민 관 파트너십의 개념이 도시공원의 조성과정에 적용되는데 치우쳐 있다는 것은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이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 공원의 조성과정뿐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 과정에서의 민 관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셋째,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관리가 효과적이고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사회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시공원의 가치에 대한 민 관 부문 모두의 의식 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민 관 파트너십을 통해 크고 작은 도시공원을 조성 및 관리하면서 성공사례들이 축척 될 필요가 있겠다.

양호겸직교사의 학교보건간호 업무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y Performed Teachers Holding Additonal school Health)

  • 정찬규;정연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8-130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by surveying realities of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in schools lacking in a school nurse performed by teacher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The subjects for the study was selected from teacher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who participated in the annual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in 1988 organized by Province Education Council. 105 teachers holding additonal school health from Kyung-gi Province, 85 from Chung-buk province, 50 from Chun-buk Province, answered the questionaire. The results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are female (94.3%) and 64.1% of the subjects are in their twenties, 79.5% of them graduated from four-year teacher's college, 54.5% of them are unmarried, 74.5% has less than one-year experience as a teacher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92.4% of schools are national, of public schools, and 91.9% are located in country, elementary schools are 64%, junior high schools are 35.4%. The annual school nursing budget is unknow to 89.2% of them. The school nursing organization is non- existent to 85.6%. 82.4% of the school nursing clinics occupy their place solely, or jointly. 3. Status of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In the questionaire,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arc divided into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4 items), Clinic Management (4 items), Health Education (4 items),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98 items),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1 item) and Health Care Service (25 items). The answers to each item measured by the Likert-type scale reveals that in the activities of techcr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the practice rate in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is 55%, 47% in Health Education, 45% in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32% in Health Care Service, 27% in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and 27% in Clinic Management. 4. The Relation between Influencing variables and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P<0.05^{**}$) (2) Clinic Management: age, school health organization ($P<0.05^{**}$) (3) Health Education: age ($P<0.01^*$), religion ($P<0.05^{**}$), business except for school nursing ($P<0.05^{**}$), form of operation ($P<0.05^{**}$), the number of clinic client a month ($P<0.05^{**}$). (4) Management of School Health Environment: age, marital status, business except for school nursing ($P<0.05^{**}$), presence of the annual school health nursing budget ($P<0.01^*$), school health organization ($P<0.05^{**}$). (5)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There i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ducation, Interest in School Nursing ($P<0.05^{**}$). 5. The Regional Relationship of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l difference in Health Education ($P<0.05^{**}$) and Health Care Service ($P<0.01^*$)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gi, Chung-buk, Chun-buk Provinc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of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gi, Chung-buk, Province ($P<0.05^{**}$). 6. The Correlation i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the 6 fields of school Health Nursng Activities show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inic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Clinic Management and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and between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and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P<0.05^{**}$).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40.5 percent of schools should arrange nurse teachers by regulation 38, relative to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Education. But, in reality, teachers who have nothing to do with nursing, hold school health as an additional job.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xpect the qualititive health management of school faculty and students. In the 85.6 percent of schools, there is no organization for school health. And also, persons in charge of pracitcal affairs perform the school health activity without any knowledge about annual school health nursing budget. In the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y of teacheres holding additional school health,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and clinic management are the most difficult to get the cooperation from the persons relate to school and communiti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performing the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y without any disposi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school health teachers who had a professional training in order to make efficient the school health nursing management for children who are about to attend a school.

  • PDF

분산환경에서의 P2P기반 보건의료분야 정보시스템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P2P in Distributed Environment)

  • 박용민;오영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2호
    • /
    • pp.36-42
    • /
    • 2011
  • 현재의 보건의료분야 정보시스템은 늘어나는 보건의료 수요 충족을 위해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정보화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지만, 현재의 시스템은 다양한 시스템 간의 상호 연관성이 있음에도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각 유관기관과의 정보연계를 위한 표준화 및 실시간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현황자료 등 각종 자료의 실시간 제공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제기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JXTA 기반의 보건의료분야 통합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JXTA는 오픈소스 기반의 P2P 플랫폼으로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그리고 개발언어에 독립적인 P2P 기술을 사용하는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환경에서 자료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서버 집중형 구조는 사용자와 통신량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늘어나는 통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서버의 수를 늘리는 것보다 신속한 정보 연계와 비용 절감, 효율적인 자료 관리 차원에서 P2P 모델이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건의료 데이터 및 서비스 통합을 위한 플랫폼으로써 JXTA를 기반으로 하는 보건의료분야 통합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함으로써, JXTA 기반이 새로운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적합한 모델임을 입증한다.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한 한강수계 저수지 운영시스템 개발 (Reservoir Operating System Using Sampling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for the Han River Basin)

  • 음형일;박명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67-79
    • /
    • 2010
  •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및 금강수계에 대해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계 내 다목적 댐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최적화 기법인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효율적인 월말 목표저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물관리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수계 내 댐중 저수용량과 용수공급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소양강댐, 충주댐, 화천댐 등 3개 댐만을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저수량 상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를 통해 저수량 상태변수 개수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최적화모형을 통한 운영률과 한국수자원공사의 운영목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방식과 비교를 실시한 결과 연평균 37.22 MCM의 수계 내 요구용수 부족량 감소효과와 더불어 발전량 측면에서도 연간 171 GWh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수기 저수지 운영계획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결과 2007년~2008년 이수기 동안 전력생산, 수질개선 등을 위한 추가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제 적용사례를 통해 SSDP 모형과 이수기 저수지운영 시스템의 그 유용성을 타진할 수 있었으며 다른 수계로 확장을 실시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저수지 운영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공순구;김형석;이승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66
    • /
    • 2010
  •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수직 확장 공사를 위한 사전 검토항목 (Preliminary Checklist For Vertical Extension of Elevator in Apartment Buildings)

  • 박진구;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13-816
    • /
    • 2008
  • 국민소득의 증가로 인한 개개인의 보유 차량의 증가는 심각한 주차장 부족현상을 초래하였다. 특히 노후공동주택의 경우 인근도로까지 주차장으로 변해버리면서 심각한 교통체증을 겪고 있는 것은 물론 화재 등 위급 상황 발생에 대처하지 못하는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이 논의되고 있으나·주차장확대 시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 최우선 개선사항으로 주차장 부족이 3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차장확대 방법은 지하수평확대방식 중 직접진입방식을 선호하였다. 지하직접진입방식은 주차장에 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단위세대로 직접 진입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의 연장운행이 필요하다. 하지만 엘리베이터확장을 위한 체계적인 공정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시공사례가 부족하여 비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엘리베이터확장 공사를 위한 검토항목을 제시하기 위해 공정을 재분석하였고 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공정별로 관리적 측면, 기술적 측면의 검토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증설에 따른 엘리베이터확장 공사 시 참고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서울시 오피스빌딩 규모의 경제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study of the scale economies of office buildings in Seoul)

  • 금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630-6638
    • /
    • 2014
  • 국내의 금리상황은 국제시장과의 동조가 현실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은 안정적이고 현금흐름이 최소한의 현재의 저금리보다 수익이 높은 투자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피스빌딩 관리비용을 중심으로 규모의 경제에 의한 오피스빌딩 최적 규모를 도출함으로써 개인 및 간접투자자 등 오피스 빌딩 이해당사자들에게 정확한 투자수익율을 산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규모의 경제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선행연구에서 변수들을 추출하여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교차분석 및 독립변수들과의 U자형 2차 함수, 3차 함수 평균관리비용 곡선함수를 분석하여 적정규모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오피스빌딩 평균관리비용은 권역별로 약 6~11%, 등급별로 약 10~13%, 규모별로 8~9%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법인소유빌딩의 평균관리비용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자체관리에 비해 전문업체에 위탁관리의 경우 약 11.5%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과년도는 약 5.3년이 가장 낮아 U자형 평균관리비용곡선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면적은 7.2만평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bigcap}$형태의 비용곡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동산 전문 관리회사의 효율적인 부동산관리경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LCC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비용의 절감 및 향후 유지 관리, 임대 등의 운영에 최적규모의 오피스빌딩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뮬레이션과 순차 패턴을 이용한 FMC 로봇의 효율적 작업 순서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Efficient Operation Sequencing in FMC Robot Using Simulation and Sequential Patterns)

  • 김선길;김연진;이홍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21-20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MC 로봇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과 순차 패턴 기법을 이용해 로봇의 패턴을 분석하고 최적의 로봇 작업 우선순위규칙(Dispatching Rule)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FMC를 시뮬레이션으로 설계하고 각 설비가 로봇에게 요청하는 신호를 추출 해 이를 로그(Log) 형태로 생성, 저장하였다. 그 후, 이 로그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순차 패턴 분석을 이용해 설비의 신호와 로봇간의 연관된 순서를 분석 하여 로봇의 최적 이동 경로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FMC의 적용성에 대한 효율성 을 입증하였다. 도출된 최적의 패턴을 국내 A사 생산라인에 적용한 결과 작업물 대기시간(Loss Time)의 감소와 로봇 이용률의 향상, 작업물의 총 처리량의 증가와 평균 처리시간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이러한 신호의 패턴을 이용한 분석 방법은 신호와 동작간의 로그를 저장,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시스템 상에서 로봇의 작업 우선순위규칙을 도출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자의 오랜 노하우(Know-How) 없이도 로봇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FMC 뿐만이 아닌 로봇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 설비의 신호와 로봇 동작간의 그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적의 운영법칙을 설계, 운영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동물 보전을 위한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the Ex-suit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Conserving Marine Animals: Case of the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

  • 이범석;권석재;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75-482
    • /
    • 2019
  • 해양에 대한 인간의 이용과 활동의 증가는 해양오염,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 특히 생애주기가 길고 개체수가 적은 해양동물은 멸종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부터 수족관이나 해양박물관과 같이 인공적인 서식장소 11개를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들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의 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중요성과 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양동물의 보호와 증식을 위한 관리방안인 서식지외 보전기관의 운영정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정량적 지지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푸른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해 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운영되고 국립해양박물관의 해양동물 보전역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식지외 보전기관과 같은 비시장재인 공공재에 대한 대표적인 가치추정법인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서식지외 보전기관(국립해양박물관)의 경제적 가치는 약 418억원에서 최대 약 78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동물관리 정책자들에게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동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