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library that typically serves to collect, arrange and provide information is required to perform more diversified roles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modern society. Recent surge in demand for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is expected, but we still are in an actual condition that there is no model about the library spatial operation which considers the type and a service size of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nd systematic spatial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n today`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o make a case study on the state of spatial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rearrangement of spatial component as a solution. In this study, for rapid assembly and remodeling business plan of the library can be referred to, we should do following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which has a rational space ope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library features and services size. Firstly,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our nation's public libraries. Secondly, collect and analyze the libraries' spatial configuration in our nation and at abroad. Thirdly, define the next stretch of public library buildings by their types and develop a reasonable model a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present it.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2. 김정희. 2007.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3. 김지현, 박희령, 김용성. 2007.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따른 현대 공공 도서관의 이용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7).
  4. 양성원, 김 억. 2004. 상대주의 공간개념을 적용한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고도정보화사회에서의 커뮤니티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5. 은경원. 2007. 공공도서관의 복합화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6. 이경훈. 2003. 건축물 성격변화를 통해 본 현대도서관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7. 전홍필. 2004.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램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8. 한국도서관협회. 1991. 공공도서관 표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9. 한국문헌정보학회. 1996. 21세기 공공도서관 발전방향 및 모델개발연구.
  10. 한국비블리아학회. 2007.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11. 한화진, 박승환, 최무혁. 2004. 공공도서관 이용자공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4).
  12. Chen et al. A Research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 Case Study on the National Taichung Institute of Technology's Library. Lecture notes in c.
  13. De Laubier et al. 2003. The Most Beautiful Libraries in the World. New York: Harry N. Abrams.
  14. K.Jakovlevas-Mateckis & L. Kostinaite & J. Pupeliene. 2003. Conceptual Principles of the Planning of Modern Public Libraries. .
  15. Martensen, Anne and Lars Gronholdt. 2003. Improving library users'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an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29, Issue 3.
  16. Michael Dewe. 2006. Planning Public Library Buildings: Concepts and Issues for the Librarian. Aldershot, England; Burlington, VT: Ashgate Pub.
  17. Siva Vaidhyanathan. 2005. A Risky Gamble with Googl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52(15).
  18. McCabe, Gerard B. and Kennedy, James R. 2003. Planning the Modern Public Library Building.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Cited by

  1. 공공도서관 공간 특성에 따른 공간 유형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vol.33, pp.1, 201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