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ness Evaluation Indicator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Granisetron-Based versus Standard Antiemetic Regimens in Low-Emetogenic Chemotherapy: A Hospital-based Perspective from Malaysia

  • Keat, Chan Huan;Ghani, Norazila Abd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701-7706
    • /
    • 2013
  • Background: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antiemetic therapy conducted in Malaysia, a total of 94 patients received low emetogenic chemotherapy (LEC) with or without granisetron injections as the primary prophylaxis for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CINV).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st analysis of two antiemetic regimens from the payer perspective. Materials and Methods: This cost evaluation refers to 2011, the year in which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Direct costs incurred by hospitals including the drug acquisition, materials and time spent for clinical activities from prescribing to dispensing of home medications were evaluated (MYR 1=$0.32 USD). As report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regimens (96.1% vs 81.0%; p=0.017), the complete response rate of acute emesis which was defined as a patient successfully treated without any emesis episode within 24 hours after LEC was used as the main indicator for effectiveness. Results: Antiemetic drug acquisition cost per patient was 40.7 times higher for the granisetron-based regimen than for the standard regimen (MYR 64.3 vs 1.58). When both the costs for materials and clinical activities were included, the total cost per patient was 8.68 times higher for the granisetron-based regimen (MYR 73.5 vs 8.47). Considering the complete response rates, the mean cost per successfully treated patient in granisetron group was 7.31 times higher (MYR 76.5 vs 10.5). The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ICER) with granisetron-based regimen, relative to the standard regimen, was MYR 430.7. It was found to be most sensitive to the change of antiemetic effects of granisetron-based regimen. Conclusions: While providing a better efficacy in acute emesis control, the low incidence of acute emesis and high ICER makes use of granisetron as primary prophylaxis in LEC controversial.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고찰 2017년도 교육(지원)청 지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ssue and Resol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 Targets of the 2017 Education Department Indicator)

  • 권도균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51-75
    • /
    • 2016
  • 기록관리 기관평가는 실제 기록관리를 하는 현장의 상황조건과 실현 가능성을 반영해야 한다. 기관평가 제도와 지표는 기록관리를 잘 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관의 자원과 노력으로 수행이 어렵다면 현실성이 없다. 2016년 3월 국가기록원이 발표한 2017년 평가제도와 지표는 일선기관에서 1년동안 1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하기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직원 10% 이상 3회 교육, 전체학교 문서고 사진 제출, 모든 문서의 색인목록 제출, 전자문서 이관이 몇 년 동안 안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도 높이기, 모든 기관의 비전자기록물 이관, 비공개기록물 재분류 실시 등 현장에서 실현하기 힘들고 실제 효과가 있을지 의문스러운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기록관리 평가제도와 2017년 지표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정하고, 수년간 일선현장의 경험을 반영하여 더 나은 기록관리를 위한 지혜를 모을 때다.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Research Libraries)

  • 김상준;황재영;박계숙;최호남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97-120
    • /
    • 2008
  • 경쟁력 향상과 생산성 제고의 도구로서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문도서관의 경우 다른 도서관과 달리 다양한 주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고, 1인 운영 소규모 도서관도 많다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평가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작성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를 기초로 하여 이해하기 쉽고 적용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는 선행연구와 타관종의 평가지표를 충분히 검토하였으며, 다양한 주제 분야 전문도서관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수차례의 회의를 거쳐 완성되었다. 새 평가지표의 개발 후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평가지표 타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일부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도 실시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로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정착시킨다면, 새 평가지표는 전문도서관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미래 지향적 전문도서관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Hourglass 기반 공공도입연계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프레임워크 제안: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도시계획 기술개발 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Proposal for the Hourglass-based Public Adoption-Linked National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 이승하;김대환;정광식;박건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1-39
    • /
    • 2023
  • 본 연구의 목표는 통합형 국가연구개발 사업에서 정보화사업, 공공조달 등 공공수요 기반의 상용화로 연계되는 복잡한 형태의 사업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성과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데 있다. 다수의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하나의 최종성과물을 이루는 통합형 국가연구개발사업과 사업의 결과물이 수요기반의 실증 및 상용화까지 이루어지는 사업의 경우, 연구개발사업을 구성하는 세부과제의 단기적 산출물을 바탕으로 성과를 평가하는 기존의 평가체계로는 통합적 연구성과물에 대한 중장기적 효과와 실용성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패러다임이 효율성을 중시하는 임무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가연구개발과제의 성과평가도 결과의 효과와 실용성을 중심으로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ourglass 모델을 활용하여 각 국가연구개발과제의 성과가 단순한 단기적 산출을 넘어, 실제 그 효과성 등 실용적 관점에서 완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구조적 관점의 성과평가 프레임을 제시한다. 이는 연구개발과제의 구조에 따라 Tool-System-Service-Effect로 이어지는 하향식(Top-down) 및 상향식(Bottom-up) 접근을 연계한 통합적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제시된 세부 평가지표와 성과평가 프레임을 실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함으로써 지표의 타당성과 제안된 성과평가 프레임의 효용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효율성을 강조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산업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Use of hazardous event frequency to evaluate safety integrity level of subsea blowout preventer

  • Chung, Soyeon;Kim, Sunghee;Yang, You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262-276
    • /
    • 2016
  • Generally, the Safety Integrity Level (SIL) of a subsea Blowout Preventer (BOP) is evaluated by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on Demand (PFD), a low demand mode evaluation indicator. However, some SIL results are above the PFD's effective area despite the subsea BOP's demand rate being within the PFD's effective range. Determining a Hazardous Event Frequency (HEF) that can cover all demand rates could be useful when establishing the effective BOP SIL. This study focused on subsea BOP functions that follow guideline 070 of the Norwegian Oil and Gas. Events that control subsea well kicks are defined. The HEF of each BOP function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PFD by investigating the frequency for each event and the demand rate for the components. In addition, risk control options related to PFD and HEF improvements are compared, and the effectiveness of HEF as a SIL verification for subsea BOP is assessed.

교육기능성게임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Outcome Variable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윤수민;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46-552
    • /
    • 2016
  • 컴퓨터게임이 새로운 인기 레저활동으로 변화되고, 기능성게임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기능성게임의 효과 평가, 종류, 개발 등에 국한되어진 반면, 게임 활용이후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기능성 게임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에 사용된 효과성 검증에 사용된 성과 변수들을 분석하고, 특히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효율적인 효과성검증을 위해 필요한 성과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게임사용 이 후 변화된 학습효과, 인지 효과 등을 검증하기 위한 성과지표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가 사이버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GCI의 지표개선 방안 (Proposals for GCI Indicators to Improve a National Cybersecurity Level)

  • 김대경;이주현;김예영;현다은;오흥룡;진병문;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289-307
    • /
    • 2022
  •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에서 개발한 글로벌사이버보안지수(Global Cybersecurity Index, GCI)는 국가의 사이버보안발전 수준을 진단하고,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GCI를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GCI 버전1~GCI 버전4 평가지표를 사전 분석하고, SWOT 분석을 통해 발전 방안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GCI 개선 및 활용을 위한 기본원칙을 수립하고, GCI 버전5 설문지 관련 신규 지표를 발굴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GCI의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GCI 평가에서 적용 될 보다 발전된 사전대응 지표와 사후대응 지표를 제안하여 GCI의 효과성을 높이고 국가의 사이버보안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1]의 연구 결과를 개선 발전시킨 것이다.

마이코박테리아 검출을 위하여 MGIT 양성 신호를 보인 세균에 오염된 검체 재처리 과정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Re-decontaminating Process with Bacterial Contaminated Specimens Showing a Positive MGIT Signal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a)

  • 정해용;방해인;최태윤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76
    • /
    • 2019
  • BACTEC MGIT 960 system의 mycobacteria growth indicator tube (MGIT) 오염 제거과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3% Ogawa media와 마이코박테리아의 배양 양상을 비교하였다. 검체는 5% sodium hydroxide (NaOH)과 0.5% N-acetyl-L-cysteine (NALC)를 처리하여 MGIT와 Ogawa media에 접종하였다. 배양된 마이코박테리아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TB) 항원 kit로 동정하였다. 만약 MGIT에서 5일 이내에 오염균 배양되면 오염제거 과정을 반복하였다. BACTEC MGIT 960 system에 장착한 MGIT 4,790건 중 1,190건(24.8%)이 배양 양성의 결과를 보였고 이중 278건을 재처리 하였다. MGIT와 Ogawa media 사이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불일치 결과(weighted kappa value: 0.283)를 보였고, 특히 TB 1건과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10건이 재처리한 MGIT에서만 배양되었다. 비록 소수이지만 재처리 과정으로 검출할 수 없었던 마이코박테리아를 검출하였다. 이는 마이코박테리아 검출을 위하여 MGIT와 Ogawa media을 동시에 시행할 뿐 아니라 MGIT에서 위양성을 보이는 경우, 검체의 재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체계적 고찰 방법을 이용한 임상진료지침 정책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sing Systematic Review)

  • 이선희;하귀염;김주혜;서주현;김현미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2-98
    • /
    • 2009
  •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77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a computerized search of published research on MEDLINE, Science-Direct and Blackwell synergy from January, 1997 to October, 2007. The main search terms we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effectivenes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impac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evaluation". These studies were assessed the Quality twice by one Qualified expert and converted into weighted scale. The 63 studies were eligible inclusion criteria and subdivided into type of effect. Final indicator using for policy effec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classified as 4 categories; "improvement of outcomes" in 81 studies, "betterment in practice patterns" in 68 studies, "rationalization in resource utilization" in 84 studies and "cost containment" in 31 studies. The vote-counting method, one of meta-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summarized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test statistically. From results of meta analysis, all indi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showed that introduc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resulted positive outcomes in health policy.

  • PD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n Ecosystem Service to Regulate Air Quality in Wetland, South Korea

  • Kim, Jung In;Lee, Kyungeun;Yeo, Inae;Choi, Tae-Young;Lee, Beom Hee;Jung, Pil Mo;Joo, Wooyeo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62-69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an air quality regulating service for wetland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ducing particulate matter (PM) on vegetation in wetlands. We installed tunnel-type experimental plots at Yonghwasil Pon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and set up the input and output of PM by applying the natural vegetation of the relevant wetlands. We took measurements by replicating four different conditions four times each. The air quality regulating service in each experimental plot was measured based on PM10 concentration;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and the output concentration of PM passing through the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tunnel was measured using a light scattering method.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in the outdoor conditions and bare land, the PM concentration was measured with the same specifications as tunnel-type experimental plots without setting up the input and output. For the tunnel-type experimental plots, PM10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utput than in the input. Furthermore, in the outdoor conditions, a comparison between the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and bare land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This confirmed the PM reducing effect due to the blockage and absorption of PM depending on the growth of Phragmites austral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ssessed the air quality regulating service in wetlands as an evaluation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