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ssue and Resol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 Targets of the 2017 Education Department Indicator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고찰 2017년도 교육(지원)청 지표를 대상으로

  • 권도균 (전남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 Received : 2016.06.13
  • Accepted : 2016.07.22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A records management agency assessment must reflect the possibility of actual situations including conditions and implementation.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tools to improve records management. However, the reality is difficult if they are not conducted through the resources and efforts of the organization. The 2017 evaluation system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index, which was published in March 2016, are expected to be highly difficult to perform as the frontline field tasks of the institution for a year. It is composed of indices with questionable effectiveness that are difficult to implement on the field. Some of these include the following: three training sessions for more than 10% of all employees, submission of document archive pictures of all schools, submission of the index items of all documents, increasing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the electronic documents that have not been transferred for several years, the transfer of non-electronic documents of all institutions, reclassification of non-disclosed records, etc. It recognizes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2017 evaluation indicators that the National Archives has mentioned about operations. As such, now is the time to reflect th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o amass knowledge that will help improve records management.

기록관리 기관평가는 실제 기록관리를 하는 현장의 상황조건과 실현 가능성을 반영해야 한다. 기관평가 제도와 지표는 기록관리를 잘 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관의 자원과 노력으로 수행이 어렵다면 현실성이 없다. 2016년 3월 국가기록원이 발표한 2017년 평가제도와 지표는 일선기관에서 1년동안 1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하기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직원 10% 이상 3회 교육, 전체학교 문서고 사진 제출, 모든 문서의 색인목록 제출, 전자문서 이관이 몇 년 동안 안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도 높이기, 모든 기관의 비전자기록물 이관, 비공개기록물 재분류 실시 등 현장에서 실현하기 힘들고 실제 효과가 있을지 의문스러운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기록관리 평가제도와 2017년 지표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정하고, 수년간 일선현장의 경험을 반영하여 더 나은 기록관리를 위한 지혜를 모을 때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표준협력과. 2011. 2012년 기록관리 평가계획.
  2.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6a. 2016년도 기록관리 평가계획 자료집.
  3.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6b. 2017년도 기록관리 평가지표.
  4. 권도균. 2016. 기록관리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기록학연구, (48), 180-208.
  5. 김솔. 2010. 기록관리 평가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기록관리 평가지표 재설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6. 백미점. 2010. 기록관리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7. 신원영. 2014. 한국 공공기록관리 평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8. 이영숙, 천권주. 2006.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제도 도입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27-56.
  9. 전수진. 2008. 공공기관의 기록관리현황 평가지표 개발. 기록학연구, (18), 3-36.
  10. 최현난. 2010. 기록관의 기록관리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11.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기록관리 국가표준의 체계적 확산 방안.
  12.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7. 기록관리표준 이행확산도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