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Reform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8초

1990년대 이후 의학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9)

  • 이무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1호
    • /
    • pp.37-49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and discours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0.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ing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itiated in 2002, has explored the discussions that led to the system's establishment and what the context of those discussions.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report related to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uthored by members of the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discussion materials, and data with regard to the Medical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reform by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years of higher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increased levels of professional knowledge by improving public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 basic formation policy of higher education consisting of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Nevertheless, the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on improving medical education system have made an obvious difference. This was due to different aims about how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different perception of the degre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 The medical community at least tended to prefer the status of academic positions over professional positions. The policy of medical education for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which was introduced in 2002 spread to many colleges of medicine based o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olicy. Even so, the absence of accompanying policy by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and department of education, which could have ensured the success of the system, has led to continued debate. In conclusion, without a consistent and persistent government policy,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many medical institutions. Above all, a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 and policy approach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중국 문화산업의 공급 측 구조 개혁(供給側改革) 의의와 시사점 연구 (Study on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upply-side Structural Reforms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 김경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41-352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에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문화산업 공급 측 구조 개혁(供給側結枸性改革)"과 관련하여 학계의 연구동향과 정부의 정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문화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의 학계 등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문제점으로 수요공급의 불일치, 과잉공급 문제, 낮은 문화 소비율, 투융자 구조의 불합리, 국제적 영향력 부족 등을 지적하고 개혁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되는 <13.5 시기 문화산업 발전 규획(十三五時期文化産業發展規劃)>의 지도 사상에서 공급 측 구조 개혁을 주 노선으로 설정하고,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개혁 과제들을 반영하는 등 정부차원이 강한 의지를 반영, 개혁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한국에의 시사점으로는 4차 산업혁명 등 문화산업 환경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문화산업 정책 방향을 제시할 것과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유효한 공급 확대, 투융자시스템 개선, 수요시장 확대, 공정한 시장경쟁 환경 조성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교원정보활용능력기준(ISST)에 따른 사범대 예비 교사의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준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Analysis and Suggestions on the Present Levels of ICT Utilization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College of Education according to ISST)

  • 전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37-840
    • /
    • 2006
  • 교육정보화에 따라 교수 학습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이 통합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교사교육의 개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교원양성기관에서는 교사가 수업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절하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활용 교육에 대한 능력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 나가서도 7차 교육 과정에 따라 ICT 활용 교수-학습을 전개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대학 4학년)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근대 한국 도서관사 연구 -개화기에 있어서 근대도서관사상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istory of Modern Library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ormation of Modern Library Thought in the Late Yi Dynasty-)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71-110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creating the modern library thought in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 After Korea was forced to make a treaty opening up the country in 1876, Western civilization was introduced and reforms were carried out eventually. Various influential factors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follows. (1) The envoys to Japan after 1876 (2) Tourists party to Japan organized by Gentlemen in 1982 (3) The persons who studied abroad (4) Establishment of modern schools and development of publications: on the new learning. (5) News media and others Above all, the persons who studied abroad, such as Yu Gil Jun, Yun Chi Ho, etc., in early stage has contributed most to the extension of public recognition for modern library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ormation of modern library thought in Korea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Western library as was the Japan in the period of Meiji Restoration. Patriotic intelectualls in these days believed that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diffusion of knowledge was very much meeded in order to preserve an independent Korea and to build up national strength, and then nation-wide campaign for enlightenment was earried on. For that reason the movement of the national library establishment in 1906 also should be regarded from the same point of view, that is, as a part of the enlightenment campaign. Therefore it should not go unheeded that strong patriotism was always streamed under the ground of the library campaign as well as the new learning and new education campaign. Unfortunately every plan of Korean library movement had broken down and missed the chance for having experience of self-development because of the Japanese invasion.

  • PDF

미국 고등학습위원회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개혁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 from Reform of HLC Institutional Accreditation Model)

  • 이영학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245-265
    • /
    • 2014
  • 본 연구는 미국 북중미학교기관협의회 산하 고등학습위원회의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개혁에 따른 시사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제2주기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 수립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관평가인증제 평가모형의 주요 요소인 인증모형, 인증 주기 및 종합평가, 평가준거, 결과판정, 인증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고등학습위원회 및 한국대학평가원의 기관평가인증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제2주기 기관평가인증제 시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대학의 특성과 질 수준 차이를 반영한 다양한 인증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소 수준 질 인증과 함께 기관의 지속적인 질 제고를 유도하는 평가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 사명에 근거한 평가를 강화하고 정량적 평가를 최소화하며 평가위원 풀을 확대하고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질 제고 강화를 위해 중간평가를 엄격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정부는 기관평가인증제 결과를 대학구조조정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여섯째, 기관평가인증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및 대학정보공시제와 연동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시대, 광고학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Renovation on the Advertising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41-147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산업계 현장에서 원하는 광고학 광고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교육의 이해 당사자인 광고대행사의 인사담당자, 신입사원 교육 경험이 있는 121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광고교과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광고학 교육의 교과과정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준비는 미흡하며, 교과과정의 개선 필요성이 높고, 실습교과과정 강화, 이론과 실습을 융합한 실무교과과정 개설, SW교육과 연계한 광고 테크놀로지 교과과정 운영, 그리고 PBL 형식의 교과과정 강화와 같이 실무 연계 교육, 그리고 문제해결능력 배양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교과과정 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학계와 광고실무계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 가를 논의하였다.

북미 의학교육 사례가 한의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The Implications of the Case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on Korean Medicine Education)

  • 홍지성;강연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1-101
    • /
    • 2018
  • Over the past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medical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1900s, the results of extensive field research and practice in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nd professional education have led the flow of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over the past 100 years were examined through major literature review, leading to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Th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published by the Carnegie Educational Foundation in 1910, which is considere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 health care education, was reviewed. Next, "Educating physician: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published in 2010, which is known to have proposed a future-oriented goal for the training of medical professional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biomedical knowledge which is the basis of clinical competence, is a basic competency that should be provided to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2) Beyond education to cultivate clinical competence of individuals directly affecting the medical treatment, various professionalism education programs that capture the specificity of Korean Medicine doctors should be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국내외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Archival Sciences in Korea and the Foreign Countries)

  • 이윤정;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67-591
    • /
    • 2021
  •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23개 기록관리학 대학원과 국내 25개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조사하고 기록관리 지식범주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평균 과목수는 비슷하나 국외는 대학마다 필수과목을 설정하였고 국내는 필수과목을 거의 설정하지 않았다. 북미는 모든 지식범주가 개별 교과목으로 개설되었지만, 영국과 호주는 아웃리치, 지도, 옹호와 전문직 지식범주에서 개별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다. 한국은 아웃리치, 지도, 옹호와 전문직 지식, 정보기술 지식범주에서 개별 교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지 않은 반면, 역사학과 행정학 관련 과목이 세분화되어 있었다. 우리나라는 기록관리 교과목 개편을 위해 가이드라인과 인증기준을 제정하여 기록전문가가 배워야 할 지식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시급하며, 디지털 기록을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기술 지식범주의 확충이 필요하다.

국립대학 교원 임용 및 보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OECD 회원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aculty Personnel Management and Their Salary Scheme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System and Practices with OECD Countries)

  • 장덕호;변기용;이석열
    • 비교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7
    • /
    • 2011
  • 이 연구는 OECD 국가와 한국 국립대학의 교원 임용 및 보수체계를 비교함으로써 국립대학 인사 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OECD 회원국인 상당수의 고등교육 선진국들은 관료적 통제 모형에서 벗어나, 자율과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분권적 계약형 제도의 채택을 확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별 국립대학의 여건과 특성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국가교원인사체계 내에서 관료적 통제를 지속시키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대학 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인력관리 측면에서 교원분류체계의 유연성 강화, 정원관리의 탄력성 확대, 공무원 신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고, 보수체계 측면에서도 플러스섬 방식의 성과연봉제 검토, 합리적 교수업적 평가체제 정착, 국립대학 보수체계 개편을 위한 선행 여건의 정비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Establishing veterinary graduation competencies and its impact on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in Korea

  • Sang-Soep Nahm;Kichang Lee;Myung Sun Chun;Jongil Kang;Seungjoon Kim;Seong Mok Jeong;Jin Young Chung;Pan Dong R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1.1-41.9
    • /
    • 2023
  • Competencies are defined as an observable and assessable se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Graduation competencies, which are more comprehensive, refer to the required abilities of students to perform on-site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As graduation competencies set the goal of education, various countries and institutions have introduced them for new veterinary graduates. The Korean Association of Veterinary Medical Colleges has recently established such competencies to standardize veterinary education and enhance quality levels there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raduation competencies as well as their implication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Graduation competencies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comprise 5 domains (animal health care and disease management, one health experti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research and learning, and veterinary professionalism). These are further divided into 11 core competencies, and 33 achievement standards, which were carefully chosen from previous case analyses and nation-wide surveys. Currently, graduation competencies are used as a standard for setting clear educational purpos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Establishing these competencies further initiate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learning outcomes, and of a list of basic veterinary clinical performances and skills, which is useful for assessing knowledge and skills. The establishment of graduation competenci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veterinary education in many ways. These include curriculum standardization and licensing examination reform,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competencies of new veterinary gradu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