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upply-side Structural Reforms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중국 문화산업의 공급 측 구조 개혁(供給側改革) 의의와 시사점 연구

  • 김경영 (중국해양대학교 문화산업관리학과)
  • Received : 2017.06.08
  • Accepted : 2017.08.08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Regarding "Supply-side Structural Reforms of Chinese Cultural Industry(供給側結枸性改革)" that has been genuinely promoted since 2016 in China,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circles and policie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nd draw implications about what culture industry should pursue in Korea. First of all, research conducted through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mainly and commonly points out such problems as im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versupply, low culture consumption, absurdity in loans and investments structures, and lack of international influence and demands reformation. In the side of the government, <13.5 Plan for Developing Culture Industry promoted from 2016 to 2020 reflects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aking structural reformation in the side of supply as its major route and presenting tasks to reform culture industry in general. Next, concerning implications for Korea, this author suggests them in five areas: to establish directions for new culture industry policies reflecting the changes of environment in culture industry, say,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increase valid supply correspondingly to consumer demand, to improve loans and investments systems, to enlarge demand markets, and to form environment for fair market competition.

본 연구는 중국에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문화산업 공급 측 구조 개혁(供給側結枸性改革)"과 관련하여 학계의 연구동향과 정부의 정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문화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의 학계 등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문제점으로 수요공급의 불일치, 과잉공급 문제, 낮은 문화 소비율, 투융자 구조의 불합리, 국제적 영향력 부족 등을 지적하고 개혁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되는 <13.5 시기 문화산업 발전 규획(十三五時期文化産業發展規劃)>의 지도 사상에서 공급 측 구조 개혁을 주 노선으로 설정하고,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개혁 과제들을 반영하는 등 정부차원이 강한 의지를 반영, 개혁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한국에의 시사점으로는 4차 산업혁명 등 문화산업 환경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문화산업 정책 방향을 제시할 것과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유효한 공급 확대, 투융자시스템 개선, 수요시장 확대, 공정한 시장경쟁 환경 조성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mt.sohu.com/20170111/n478468827.shtml
  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년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2017.
  3. http://news.sina.com.cn/o/2016-01-27/doc-ifxnuvxh5208564.shtml
  4. 胡惠林, "關於我國文化產業發展戰略研究的思考," 東岳論叢, 02期, pp.5-12, 2009.
  5. 胡惠林, 王婧, 2014中國文化產業發展指數報告, 上海人民出版社, 2014.
  6. 張曉明, 王家新, 文化藍皮書:中國文化產業發展報告(2015-2016),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6.
  7. http://www.stats.gov.cn/tjsj/sjjd/201609/t20160902_1395871.html
  8. http://www.mofcom.gov.cn/article/ae/slfw/201703/20170302530610.shtml
  9. 呂煒等, 中國文化消費報告(2015)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6.
  10. 鄭海江, 陳建祥, "從供給側發力推動文化產業創新發展," 中國出版, pp.6-10, 01期, 2017.
  11. http://www.jlonline.com/yule/20170309/news197741.html,
  12. http://www.askci.com/news/chanye/20160417/1551365907.shtml
  13. 范周, "關於文化產業供給側結构性改革的几点思考," 人文天下, pp.2-6, 12期, 2016.
  14. 高書生, "文化產業發展的需求側和供給側改革," 党政干部参考, 10期, pp.30-31, 2016.
  15. 李向民, "文化產業供給側結构性改革問題初探," 福建論壇(人文社會科學版), 02期, pp.22-28, 2017.
  16. http://www.ce.cn/culture/gd/201605/04/t20160504_11178593.shtml
  17. 鄭海江, 陳建祥, "從供給側發力推動文化產業創新發展," 01期, 中國出版, pp.6-1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