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08.16
  • Accepted : 2017.08.29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study specified theoretical assumptions based on internal working model and vulnerability model.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2,058 adolescent data from 2015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adolescent depression, but have indirect effects. Self-esteem had direct and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for depression preven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울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애착이론의 내적 작용 모델 및 취약모델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2,058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 애착은 청소년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청소년 우울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 우울 예방을 위하여 친밀한 관계 강화 및 자아존중감 향상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National Research Council and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y, Depression in Parents, Parenting, and Children ; Opportunities to Improve Identific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09.
  2. 질병관리본부, (2016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 조사통계, 2016.
  3. L. E. Berk, 아동발달(7판), (이종숙, 이옥, 신은수, 안선희, 이경옥, 역), 시그마프레스(원서 출판 2006), 2008.
  4. J. F. Sowislo and U. Orth,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9, No.1, pp.213-240, 2013. https://doi.org/10.1037/a0028931
  5. 도현심, 최미경,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 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9-33, 1998.
  6. M. W. Fraser, The Ecology of Childhood: a Multisystems Perspective, In M. W. Fraser(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NASW Press, Washington, DC, 1997.
  7. J. Holmes, 존 볼비와 애착이론, (이경숙, 역), 학지사(원서 출판, 1993), 2010.
  8. M. Rutter,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2nd Ed), Pemguin, London, 1981.
  9. 김주남, 윤선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의미와 필요성: 아동기를 중심으로," 뇌교육연구, 제7권, pp.89-108, 2011.
  10.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Harper & Row, New York, NY, 1967.
  11. 김미현, 김명식, "보건계열 여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29권, 제1호, pp.23-37, 2014.
  12. 한기백, "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부.모 애착과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3065-3087, 2013.
  13. 이난희, 송태민, "부모의 양육방식이 성별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1호, pp.45-55, 2015.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1.45
  14. 염소림, 최유석,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55-26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
  15. 김선미, 고하영, 박수현, 양은주,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 아동.청소년의 우울 관련 변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제18권, 제4호, pp.533-555, 2012.
  16. 정혜정, 최인식,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 성숙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773-791, 2004.
  17. 김동영, 박기정, 김효원, "한국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부모자녀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6권, 제2호, pp.1210-128, 2015.
  18. 김진아, 이형실,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49-159, 2011.
  19. 강희경,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326-33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326
  20. 조정아, "선형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변화 경향과 개인차에 대한 성별. 또래. 교사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3호, pp.167-192, 2009.
  21. 이봉주, 손선옥, 김윤지,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제31호, pp.37-58, 2015.
  22. 박경리, 김경연, "아동의 영역별 자아존중감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 및 또래수용도의 영향: 단짝 친구 지지의 중재 효과," 아동학회지, 제22권, 제4호, pp.85-97, 2001.
  23. 임양미, "빈곤 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7-167, 2013.
  24. 김현주, 홍상황,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 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제26권, 제1호, pp.413-429, 2015.
  25. 최희철,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상호적 관계: 인지적 취약성 모델, 상처모델, 상호순환적 효과 모델의 검증," 상담학연구, 제12권, 제6호, pp.2251-2271, 2011.
  26. 박애리,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4호, pp.397-416, 2014.
  27. 최미례, 이인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2호, pp.363-383, 2003.
  2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KYPS) 제1-7차 조사 데이터 유저가이드, 2017.
  29.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0.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4, 1987.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1. 황미경,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33. 정화실, 초등학생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4.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965.
  35.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 핸드북 I, 학지사, 2000.
  36.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979.
  37.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연구소, 1984.
  38. R. B. Klei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New York, 1998.
  39. M. W. Browne and R. Cud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m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Sage, Newsbury Park, CA, 1993.
  40.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