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por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산 채소류에 함유된 플라바놀, 플라보놀 및 플라바논에 대한 함량 및 분포 조사 (Content and Distribution of Flavanols, Flavonols and Flavanones on The Common Vegetables in Korea)

  • 신재형;김헌웅;이민기;이성현;이영민;장환희;황경아;조영숙;김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5-212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s of flavonoid compounds in vegetables. Generally vegetables have contributed to a healthy diet, arisen from contains a large amount of fiber and functional ingredients. And flavonoid compounds are one of major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vegetables. currently research of flavonoid contents does not enough, specially in the part of homegrown vegetable. METHODS AND RESULTS: Vegetable samples were purchased in domestic market. Sample extraction by methanol, distilled water, and formic acid based solvent. Also same solvent used for mobile phase in UPLC. Eleven types of flavonoid compounds were analyzed with same kind of external standard and one kind of internal standard (galangin) for quantification. Standard calibration curve presented linearity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8, analysed from 1 to 50 ppm concentration. The quantitative valu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Excel and SIMCA-P11. Overall, onion has largest amount(916.5 mg/100 g) of flavonoid and also other vegetables have has significant amount[Mugwort: 138.8, Galic stem:123.6 mg/100 g etc.] of flavonoid compounds. Edible portion of vegetables per share for simulating by SIMCA-P11, root vegetables has had difference with other vegetables according to distributions and amounts of flavonoid compounds. CONCLUSION: Optionally,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can use to select the material for flavonoid researches. And based on these results, if this experiment will be continuously complemented, and performed, could used in various fields.

Degummed crude canola oil, sire breed and gender effects on intramuscular long-chain omega-3 fatty acid properties of raw and cooked lamb meat

  • Flakemore, Aaron Ross;Malau-Aduli, Bunmi Sherifat;Nichols, Peter David;Malau-Aduli, Aduli Enoch Othni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8호
    • /
    • pp.17.1-17.13
    • /
    • 2017
  • Background: Omega-3 long-chain (${\geq}C_{2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mega}3$ LC-PUFA) confer important attributes to health-conscious meat consumers due to the significant role they play in brain development,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obesity and hypertension. In this study, the ${\omega}3$ LC-PUFA content of raw and cooked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LTL) muscle from genetically divergent Australian prime lambs supplemented with dietary degummed crude canola oil (DCCO) was evaluated. Methods: Samples of LTL muscle were sourced from 24 first cross ewe and wether lambs sired by Dorset, White Suffolk and Merino rams joined to Merino dams that were assigned to supplemental regimes of degummed crude canola oil (DCCO): a control diet at 0 mL/kg DM of DCCO (DCCOC); 25 mL/kg DM of DCCO (DCCOM) and 50 mL/kg DCCO (DCCOH). Lambs were individually housed and offered 1 kg/day/head for 42 days before being slaughtered. Samples for cooked analysis were prepared to a core temperature of $70^{\circ}C$ using conductive dry-heat. Results: Within raw meats: DCCOH supplemented lambs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concentrations of eicosapentaenoic (EPA, $20:5{\omega}3$) and EPA + docosahexaenoic (DHA, $22:6{\omega}3$) acids than those supplemented with DCCOM or DCCOC; Dorset sired lambs contained significantly (P < 0.05) more EPA and EPA + DHA than other sire breeds; diet and sire breed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P < 0.05) in affecting EPA and EPA + DHA concentrations. In cooked meat, ${\omega}3$ LC-PUFA concentrations in DCCOM (32 mg/100 g), DCCOH (38 mg/100 g), Dorset (36 mg/100 g), White Suffolk (32 mg/100 g), ewes (32 mg/100 g) and wethers (33 mg/100 g), all exceeded the minimum content of 30 mg/100 g of edible cooked portion of EPA + DHA for Australian defined 'source' level ${\omega}3$ LC-PUFA classific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present that combinations of dietary degummed crude canola oil, sheep genetics and culinary preparation method can be used as effective management tools to deliver nutritionally improved ${\omega}3$ LC-PUFA lamb to meat consumers.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청둥오리알 -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s in poultry eggs -cage system, open barn system's hen egg,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 홍이진;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45-651
    • /
    • 1999
  •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둥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 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 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 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갈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갈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건조조건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핵산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 of Nucleotides, Free Amino Acids in Kwamaegi Flesh by Different Drying for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 오승희;김덕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9-255
    • /
    • 1998
  • 경북 동해안 일대의 전통 향토식품인 꽁치 과메기의 건조방법을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로 달리하여 각각 15일 건조기간 중의 핵산 관련물질,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핵산 관련 물질은 건조기간 중 ADP, AMP 함량은 서서히 감소한 반면 IMP함량은 증가하여 IMP 축적현상을 보였으며 건조기간 중 inosine과 hypoxanthi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K value의 변화는 건조과정 중 점차 증가하여 건조 중 핵산 물질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신선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산 물질의 변화에 의한 신선도 측면에서 인공건조가 자연건조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P 등의 조합에 의한 맛의 상승작용으로 과메기 특유의 맛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98이었으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34% 이상 차지하였다. 자연 및 인공건조동안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glutamic acid, histidine은 건조 3일째 이후부터 9일째까지 급속히 감소하였고 자연건조보다 인공건조의 감소가 더 크다. 자연 및 인공건조 중 lysine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threo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각종용매(各種溶媒)로부터 추출(抽出)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의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btained from A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 원종태;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1
    • /
    • 1980
  • $100^{\circ}C$에서 12시간 가열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을 8개의 용매(溶媒)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抽出物)의 산화억제(酸化抑制) 작용(作用)을 대두유(大豆油)를 기질(基質)로 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조(實驗對照)와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탄올, 에테르,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석유에테르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저장 12일 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 16일 후의 TBA값은 각각 66.0, 31.9, 37.6, 48.1, 11.9, 48.5, 11.5, 45.3, 43.3 (m. mole/kg oil)과 0.28, 0.20, 0.21, 0.26, 0.16, 0.28, 0.17, 0.33, 0.31이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이 30이 되는 데 소요한 시간을 유도기간(誘導期間)으로 할 때 실험대조(實驗對照)와 각용매추출물(各溶媒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유도기간(誘導期間)은 각각 193, 280, 252, 220, 478, 229, 455, 217과 214시간이었다.

  • PDF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일반 성분, 물성 및 미생물학적 변화 (Studies on the General Composition, Rheometric and Microbiological Change of Pacific Saury, Coloabis saira Kwamaegi on the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 이호진;오승희;최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5
    • /
    • 2008
  •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kwamaegi, is a traditional local food of the Eastern sea area centering around Pohang. It is well-recognized as being both tasty and nutritious. Nevertheless, bacterial contamination, excessive dryness, and compositional changes have made it edible only during the winter months. Therefore, to improve its storag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orage material, typ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compositional changes in kwamaegi. The studied samples were kwamaegis that had been dried naturally for 15 days. The storage materials included an A-film, a self-developed multi-film made of polyethylene, polyamide, EVOH, and polyethylene; as well as a B-film made of polyethylene, nylon, polyethylene, nylon and polyethylene. The B films were used after pressing and laminating. The storage types included one whole fish(1G), or 2 divided fish(2G), to increase eating convenience. The 2G type was the muscle portion divided vertically after discarding the jowl, skin, and internal organs. The storage temperatures were $0^{\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the storage durations were 2, 4, and 6 months. Pathogenic bacteria and rheology were measured to observe general compositional changes. The whole kwamaegi showed a total cell number of $1,565{\pm}112$ CFU/100 g flesh, while the divided Kwamaegi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bacterial numbers at $2,031{\pm}145$ CFU/100 g flesh. Psychrophils and halophil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coliform were not found; the number of mesophils also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ell number variations between the A-film and B-film. At $0^{\circ}C$, both the A-and B-films resulted in cell numbers of $115{\sim}212$ CFU/100 g flesh, revealing just $7.3{\sim}10.4%$ of the initial storage levels.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orage materials. Generally, as the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wamaegi decreased. Also, as storage dur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increased; in addition, they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sh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ash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torage materials, storage temperatures, or storage durations.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wamaegi samples naturally dried for 15 days and those stored in the B-film vacuum storage for 6 months for strength,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water activity.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 이기동;김정숙;배재오;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2
    • /
    • 1992
  • 탈지된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으로부터 물 추출물 및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시판용 식용 대두유를 기질로 하여 $45^{\circ}C{\pm}1^{\circ}C$, 빛이 없는 항온기에서 32일간 저장하였으며, 매 4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와 TBA치를 측정하였다. 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항산화 효력이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BHA와 유사한 효력을 보였으나 BHT보다는 모두 항산화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았으며 유리형은 항산화 효력이 BHA와 유사했고 에스터형은 BHA보다 높고 BHT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불용성 페놀산은 BHT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세가지 페놀산 추출물 중에서는 불용성 페놀산이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스터형, 유리형 순이었다. Gas chromatography 로 부터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vanillin, umbellinferone,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산쑥은 caffeic acid, catechol, protocatechuic acid등의 항산화 효력이 강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좋은 항산화 효력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 PDF

식용 해조류의 품질구성요인과 그 기능성 성분 I. 서식지에 따른 10종 해조류의 n-3 지방산의 분포 (Quality Factor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Edible Seaweeds I. Distribution of n-3 Fatty Acids in 10 Species of Seaweeds by Their Habitats)

  • 정보영;조득문;문수경;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1-628
    • /
    • 1993
  • 10종 해조류(녹조류 2종, 갈조류 5종, 홍조류 3종)의 n-3 지방산 조성을 우리 나라 남해안의 주요 서식지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지질(TL)은 녹조류 중에서는 파래(약 7~10%),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과 톳(약 3~5%),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김(약 5~6%)에서 각각 많았다. 미역과 톳의 TL함량은 충무에서 채취한 것이 기장 및 여수에서 채취된 것들보다 많은 경향이 있었으나, 파래의 경우에는 기장 및 연수에서 채취된 것에서 더 많았다. 녹조류는 16 : 4(n-3), 18 : 4(n-3) 및 18 : 3(n-3)과 같은 비교적 탄소수가 적은 n-3지방산(28.0~66.3%)이 풍부하였다. 갈조류는 녹조류에 비하여 적은 양의 n-3 지방산(17.9~36.5%)을 함유하였으나, n-6 지방산을 상당량 함유하였다. 홍조류의 n-3 지방산은 대부분 20 : 5(n-3)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낙동에서 채취된 것이 53%의 20 : 5(n-3) 를 함유하였다. 이들 n-3 지방산의 함량은, 동일종에 속하는 해조의 경우, TL함량이 높은 종류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시험된 해조류는 TL함량과 n-3 지방산의 함량이 서식지에 따라 다른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 손주용;반성철;홍성회;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0-205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 PDF

방사선조사(放射線照査)에 의한 밤저장연구(貯藏硏究) -제1보 저산소상태(低酸素狀態)에서 방사선조사효과(放射線調査効果)-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hestnnt by Gamma Irradiation -Part 1. Radiation Effect of Low Oxygen Atmosphere-)

  • 박노풍;김연진;김성기;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6-40
    • /
    • 1977
  • 밤 품종(品種)에 따른 적정선량(適正線量)을 구하고 조사(照射)밤의 저장말기(貯藏末期)에 발생(發生)하는 과육흑반점(果肉黑斑點) 억제(抑制)에 대한 실험(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기하(大氣下)에서 방사선(放射線)을 조사(照射)할 경우 밤의 발근(發根), 발아율(發芽率), 부패율(腐敗率) 및 과육흑반점(果肉黑斑點) 발생율(發生率)을 고려(考慮)할 때, 품종(品種)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적정선량(適正線量)은 25~35Krad였다. 2. 저산소상태(低酸素狀態)에서의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는 부패(腐敗), 과육흑반점(果肉黑斑點)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抑制)할 뿐 아니라 15Krad로서도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현저하였다. 3. 저장중(貯藏中)인 밤의 품종(品種)별 화학성분(化學成分)의 큰 변화는 없고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로 인한 영양소(營養素)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4. 호흡(呼吸)은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 직후(直後)에 급격(急激)히 상승(上昇)하였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정상화(政常化)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