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space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16초

지식정보사회의 신경제공간과 지리학 연구의 방향 (New Economic Spaces and Directions of Geographical Research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39-656
    • /
    • 2006
  •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신경제공간 형성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향후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화 사회에서 신경제공간의 형성 배경에 대해 개관하고, 그 메커니즘으로 네트워크, 착근성, 집적 및 분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혁신활동이 활발한 서울의 강남지역과 낙후지역 중의 하나인 전북 순창지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낙후지역에서도 신경제공간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크게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 지리학연구 방법론 개발, 정책관련연구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 코워킹 스페이스 (Coworking Spaces Being a Creative Community in a Region)

  • 정수희;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2-311
    • /
    • 2020
  • 코워킹 스페이스는 지역의 창업 및 혁신공간의 조성과 인구 유입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개념과 특징을 구체화하고,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코워킹 스페이스의 여러 유형을 살펴보았다. 일본과 한국의 중소도시에 소재하거나 계획 중인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로컬지향의 코워킹 스페이스만의 차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융합공간이자 지역혁신의 장으로서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고, 근무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지역의 코워킹 스페이스는 대안적 근무·여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의 기능과 방향성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이 공간을 통해 지역에는 새로운 삶과 근무형태를 희망하는 창조 인력이 유입되고 지역 사회의 잠재력을 활용할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방소도시 지역재생 방안: 홍천군 사례를 중심으로 (Methods for Regional Regeneration of Local Small City by Utilizing Idle Spaces: Focusing on the Case of Hongcheon-gun)

  • 이나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3-4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홍천군을 사례로 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을 통해 지방소도시의 지역재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홍천군은 강원국제예술제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그 용도가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하였고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장소성과 특성을 바탕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 시킨 사례지역이다. 그러나 향후 유휴공간의 효과적 활용과 지역재생을 위해서는 첫째, 유휴공간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유휴공간의 관리 및 운영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유휴공간의 특성과 지역여건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유휴공간의 재생 및 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연계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Cities in the Sky: Elevating Singapore's Urban Spaces

  • Samant, Swinal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37-154
    • /
    • 2019
  • Singapore has seen a phenomenal and an unprecedented transformation from a swampland to a high density urban environment since its independence in 1965, made possible largely and single-handedly by the sustained efforts of its government. Indeed, urban space is a key vehicle for achieving urban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e dense urban context in Singapore has seen an emergence and increase in elevated spaces in the form of sky-gardens, sky-bridges and sky-courts in a range of building types, seemingly seeking to tie together the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the city.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elevated urban spaces and pedestrian networks in Singapore and their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horizontal to vertical transitions, and consequently to the urban vitality and accessibility. It does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key developments: Marina Bay Sands and the Jurong Gateway. In particular, it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certain constraints placed on urban spaces by their inherent location at height, in addition to the familiar privatization of public spaces, over-management of spaces, and their somewhat utilitarian characteristics. The paper argues that some of these issues may pose detrimental effects on the publicness of these spaces that in turn may lead to such spaces being underused and therefore adding redundancies and further stress to Singapore's urban land. Finally, the paper outlines key strategies that may help overcome the aforementioned issues, including the disjuncture associated with elevated spaces such that they may become a seamless extension of the urban spaces on ground.

소형 주거공간을 위한 가변형 시스템가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System Furniture for Studio)

  • 김상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6-363
    • /
    • 2015
  • Recently,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re remarkable in Korean society due to various social and economic reasons such as aging and changes in values, and it is expected to bring many changes to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and residential spaces.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is a result of complex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factors. It is because as the individual's financial independence increases due to elevated income and education level, the age of marriage is going up and the individualism, which values the individual's value rather than custom, is spreading. It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in structure of population, such as a low birth rate and aging. As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is increasing,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for single household products are actively growing. With the increase in consumption demand and need of growing single households, the multi-functional system furniture that can b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used in small spaces are needed, but the furniture manufactured in Korean companies are designed for regular housing and is not suitable for single household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functional system furniture can be freely used in the housing structure of single household and small spaces.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친환경 요소의 적용현황 및 개선점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at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 최윤;송병화;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49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xternal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ado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spaces have been designed and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areas should be improved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ways to create natural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and enhance their availability and usefulness. For this study, 21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were chosen and a checklist by specific item was prepared. This study examine how these items were applied to basic planning, detail design, and construction in 4 target are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residential areas was an ultimate goal of the project during basic planning and design. All target areas focused on developing an inner greens network, eco-pond, brook, and pedestrian track as well as the growth of a variety of plants. Some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however, in terms of method. Furthermore, due to economic and technological problems and poor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green walls/green roofs/pedestrian tracks/use of rainwater have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se kinds of problems must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the expansion of natural grounds areas, economic support, a satisfactory repair and maintenance system.

비수도권 주민들의 녹지공간 경제가치 추정 (Economic Valuation of Green Spaces for Residents in non-Capital Areas)

  • 최성록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6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그 동안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비수도권 지역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녹지공간 경제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주거 공간의 특징이 명확하게 대비되는 비수도권 대도시와 농촌지역의 주민들이 가지는 어메니티 가치를 주택 유형별, 녹지 유형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선택실험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주시와 같은 비수도권 대도시뿐만 아니라 완주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도 녹지공간에 대한 명확한 선호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아파트 거주자들의 경우 하천과 산림을 중심으로 조망의 가치는 서울시의 경우보다 작았지만, 접근성의 가치는 유사하거나 더 크게 추정되었다. 단독주택 거주자들의 경우 하천에 대한 접근성을 제외하고는 서울시보다 전주시가 월등하게 높은 어메니티 가치를 가지고 있어서, 녹지관리 정책에 있어서 그 원인과 대안의 제시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완주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도 녹지공간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정책이 요구된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The Triple Helix System of Innovation in the Oresund Food Cluster)

  • 이종호;김태연;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8-405
    • /
    • 2009
  • 본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스케네 지방을 아우르는 초국경적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외레순 지역 식품 클러스터의 성격을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는 3가지 차원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과 혁신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트리플 힐릭스 지식공간(knowledge spaces)은 지역 대학들의 연합 조직인 외레순 대학을 통해 식품산업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들이 생성해 내는 강력한 지식창출 체계와 자발적 및 정책적 노력에 의해 활성화된 산 학 협력을 통해 지식 이전과 활용 체계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둘째, 트리플 힐릭스 합의공간(consensus spaces)으로는 외레순 푸드 네트워크(Oresund Food Network)가 핵심 매개조직으로 기능하면서 식품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조직자이자 비전 제시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트리플 힐릭스 혁신공간(innovation spaces)은 이데온 사이언스 파크를 비롯한 다수의 인큐베이터 및 비즈니스파크들이 단순한 물리적 컨테이너 역할을 벗어나 식품 클러스터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공간적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는 이러한 3가지 층위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을 통해 산 학 관이 역동적인 상호작용 네트워크 체계를 형성하면서 진화하고 있다.

  • PDF

공공주택 주차장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 하남시 사례의 헤도닉가격접근법 중심으로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Public Housing Parking Lot : Focusing on the Hedonic Price Approach in the Case of Hanam City)

  • 허은진;최성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9-5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헤도닉 모형을 활용하여 공공주택가격(복합재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분리하여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변수로 주차장(세대당 주차면수)을 포함하여 금전적 가치를 추정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차장을 비시장재화로 보고 공동주택에서 주차가 갖는 금전적 가치를 공동주택의 실거래가를 활용하여 추정하고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보인다. 하남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차 1면의 증가는 약 2,597만원~5,968만원의 가격상승에 영향을 주며, 이는 주차 1면에 대한 경제적 가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주차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재정투자사업 평가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in Apartment Housing)

  • 이송현;황연숙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79-8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lanning features of apartments that are people-friendly, nature-friendly and one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the apartments through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partment community space. This study found the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 of 8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in the Seoul-Gyeunggi area. Sustainable design was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 social sustainability b) economic sustainability c)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ly sustainable design which included plans for various types of squares, spaces for pedestrians showed high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lans. While, plans to maximize open spaces that facilitate the social exchanges among residents showed low application. Second, economically sustainable design showed high application in term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bicycle storage facilities. However, planning factors such as alternative energy facilities, recyclable materials, reuse of rainwaterand heavy water showed low application. Thir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sign included high application of promenades, artificially created green space and various types of water space. On the other hand, nature study centers, biotope and environment friendly parking space showed low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