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Retaining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1초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odel Us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Method for the Most Suitable Temporary Earth Retaining System

  • Jung, Bae Yu;Byung, Cho Han;Jin, Han Sang;Won, Kwon;Ho, Jo Jae;Youl, Chun Ja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20-621
    • /
    • 2015
  • In this study, the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odel based on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ethod is propose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is an attempt to link QFD method with the TOPSIS. By this effort, a model that makes client's decision-making more rational and objective in design phase is suggested. The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odel confirming to the Owner's requirements will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 Further study extending the range of the requirements, not only the Owner's requirement will be necessary to cover the various factors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finally as a flexible platform to achieve a sustainable quality management, web-base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odel can be utilized by the relevant stakeholders simultaneously with the feed-back and sha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s.

  • PDF

Dynamic stability evaluation of nail stabilised vertical cuts in various site classes

  • Amrita;B.R. Jayalekshmi;R. Shivashanka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421-437
    • /
    • 2024
  • The soil nailing method entails the utilisation of nails to reinforce and stabilise a zone of soil mass. This is wide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due to its effective performance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The seismic response of 6m high vertical soil-nailed cut in various site classes under dynamic excitations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nsidering various lengths and inclinations of nails. The influence of frequency content of dynamic excitation on the response of structure has been assess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time history data of three different earthquakes. The seismic stability of the nailed cut in retaining soil in various sites under El Centro, Kobe and Trinidad earthquake ground motion is evaluated based on maximum acceleration response, maximum horizontal deformation,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wall and maximum axial force mobilised in nails. The optimum nail inclination is identified as 15° and a minimum nail length ratio of 0.7 is essential for a stable vertical cut under dynamic excitations.

선행하중 적용시 흙막이 벽체 및 주변지반의 거동에 관한 굴착모형실험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the Effects of Pre-loading on the Ground Movement in Sand)

  • 이봉열;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5-26
    • /
    • 2003
  • 도심지에서 깊은굴착 및 근접굴착과 관련하여 흙막이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주변지반 및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신뢰할 만한 예측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깊은 굴착 및 근접굴착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지지체에 대한 사전재하의 적용이 연구되었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음은 알려져 왔으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이해되거나 인정될 만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 벽체의 수평변위를 억제하여 지반침하를 감소시키는 사전재하 적용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사질토지반에서 굴착주변지반의 변위 및 구조물의 손상을 예측하는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는 사전재하하중 50%, 70%를 적용하였을 때, 20%의 벽체수평변위가 감소하였고, 지반침하 및 지중변위는 30%내지 40% 감소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굴착시 사전재하하중에 따른 심도별 지중침하율 및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제시하였다.

띠형 섬유보강재의 크리프 특성 평가 (Assessments of Creep Properties of Strip Type fiber Reinforcement)

  • 전한용;유중조;김홍택;김경모;김영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79-289
    • /
    • 2003
  • 국내에 보강토 옹벽이 도입된지 20여 년이 다 되어가고, 많은 구조물들이 시공되었다. 특히, 콘크리트 패널식 전면체와 섬유보강재를 적용하는 시스템은 국내에 가장 널리 알려진 공법이다. 이 공법의 섬유보강재는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LDPE 피복층을 갖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설계에서는 몇가지 합리적이지 못한 부분이 존재해 왔다. 설계인자의 결정이 선행된 외국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보강재의 장기크리프 거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용된 자료를 이용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섬유보강재의 설계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설계연한동안 예상되는 크리프 허용강도는 최대파단강도의 약 60%였으며 크리프 감소계수는 1.67로 나타났다.

뒤채움재료로 단섬유혼합토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Earth Wall using Fiber-Mixed Soil Backfill)

  • 조삼덕;안태봉;오세용;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43-52
    • /
    • 2004
  • 단섬유를 혼합한 토사를 뒤채움재료로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재하하중 단계 및 보강재 포설단수 별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높이 $100cm{\times}$길이 $140cm{\times}$폭 100cm 인 모형토조를 사용하여 1m 높이의 모형 보강토옹벽을 축조하였다. 본 모형실험에서 보강재로는 최대인장강도 0.79t/m인 지오네트와 최대인장강도 2.26t/m인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였으며, 화강풍화토에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혼합한 토사를 뒤채움재로 사용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후 5단계의 등분포하중($0.5kg/cm^2$, $1.0kg/cm^2$, $1.5kg/cm^2$, $2.0kg/cm^2$, $2.5kg/cm^2$)을 재하하면서 보강재의 인장변형 보강토옹벽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하중재하시 모형 보강토옹벽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신장형 띠형 보강재의 형상에 따른 인발저항 및 시공성능 평가 실험 연구 (The Evaluation of Pullout Resistance and Installation Damage according to the Shape of Flexible Strip Reinforcement)

  • 정재형;김재홍
    • 지질공학
    • /
    • 제31권3호
    • /
    • pp.321-332
    • /
    • 2021
  • 최근 새로운 개념의 보강토 옹벽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개발된 보강재에서 발생되는 시공과정에서 문제나 붕괴와 같은 문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장형 띠형 보강재의 형상에 따른 현장 적용성을 인발저항시험과 내시공성시험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체는 일반적인 신장형 띠형 보강재, 돌기가 부착된 개발된 신장형 띠형 보강재, 지오그리드를 절단하여 만든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신장형 띠형 보강재 형상의 차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각 보강재료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보강재의 형상에 따른 장·단점을 명확하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강토 옹벽의 설치 조건과 뒤채움재의 입도를 고려하여 선택한다면 최선의 보강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n Behavior of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 유충식;이광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1999
  • 블럭식 보강토 옹벽이 매우 활발히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 벽체, 보강재, 뒤채움흙, 블럭/뒤채움흙 접촉면 등의 구성요소가 옹벽의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며,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뒤채움흙의 전단특성 및 보강재의 강성이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해석에서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각 구성요소 및 단계별 시공과정을 상세히 모델링하였으며, 해석결과를 토대로 뒤채움흙의 전단특성 및 보강재의 강성에 따른 벽체 변위 및 토압, 보강토체 저면 연직응력, 그리고 보강재 유발인장력 및 블럭/보강재 연결력 분포 경향을 고찰하고 현재 적용하고 있는 설계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깊은 굴착에서 파쇄대를 갖는 연암 및 경암 지층의 지반 거동분석 사례연구 (Case Study of Ground Behavior Analysis of Soft and Hard Rock Layers with Fractured Zones in Deep Excavation)

  • 김성욱;한병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521-532
    • /
    • 2008
  • Supporting system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for the soft and hard rock layers with fractured zones are very important theme for the safety of temporary retaining wall, surrounding ground and structures in the urban deep excav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subway, railway, building etc. The prevailing design method of supporting system for the soft and hard rock layers in the deep excavation is mostly carrying out by simplification without proper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 of rock discontinuities. Therefore the behaviors of rock discontinuities and fractured zones dominate the whole safety of excavation work in the real construction stage, serious disaster due to the failure of temporary retaining wall can be induced in the case of developing large deformations in the ground and large axial forces in the supporting system. This paper introduces examples of deep excavation where the soft and hard rock layers with fractured zones were designed to be supported by shotcrete and rock bolt, deformations of corresponding ground and supporting systems i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ments of axial force in the upper earth anchors and strut due to the these deforma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measurement data, the results were so used for the management of consecutive construction that led to the safe and economical completion of excavation work. The effort of this article aims to improve and develop the technique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coming projects having similar ground condition and supporting method.

  • PDF

압밀도에 따른 굴착시 흙막이벽 수평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teral Deformation of Retaining Walls during Excavation with Degree of Consolidation)

  • 변요셉;최동찬;신승진;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43-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해안인접지역에 위치하는 연약(해성)점성토지반에서 이루어지는 굴착공사의 조사, 설계 및 연약지반과 굴착공사 시공 중 계측관리를 통하여 수집된 연구지역의 실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연약점성토에 사용되는 흙막이벽과 지지공법의 선정 및 적용성, 연약지반 압밀정도에 따른 굴착공사 진행 중 변위크기와 형태 등을 관찰하고 이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의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연약지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굴착공사가 진행될 때 발생된 수평변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수치해석에 의한 변위량과 정량적인 비교를 통하여 굴착 공사시 연약지반의 압밀도가 수평변위에 미치는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압밀이 완료된 후 굴착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압밀중인 구간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60% 이하의 변위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 PDF

콘크리트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보강사면을 복합으로 이용한 보강토의 설계 및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Hybrid Reinforced Geo-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Block and Slope)

  • 김영남;채영수;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05
  • 산업의 발달에 따라 효율적인 부지의 활용이 요구되면서 옹벽의 사용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옹벽 중 지오그리드를 보강재로 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전면판으로 사용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dry cast modular block wall, MBW)은 그 시공의 편이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1980년대 초부터 꾸준히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토압이론에 기초하는 특성상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비하여 보강사면(reinforced soil slopes, RSS)은 $70^{\circ}$ 이하의 경사를 갖는 보강토체로서 공사에 사용되는 흙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보다는 훨씬 광범위하다. 또한 본 공법은 양질의 사질토 구득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고, 개발되는 부지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지의 경계면에서 일정 높이의 수직으로 축조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고 그 위에 보강사면을 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공법의 장점을 활용한 복합식 보강토체를 설계하고 시공한 결과에 대하여 설계 및 시공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