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omplication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3초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 Outcome after Decompressive Hemicraniectomy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 Ham, Hyung-Yong;Lee, Jung-Kil;Jang, Jae-Won;Seo, Bo-Ra;Kim, Jae-Hyoo;Choi, Jeong-Wo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4호
    • /
    • pp.370-376
    • /
    • 2011
  • Objective :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PTCI), an infarction in well-defined arterial distributions after head trauma, is a known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head trauma. The primary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PTCI, and to assess the effect on outcome of decompressive hemicraniectomy (DHC) in patients with PTCI. Methods : We presen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0 patients with PTCI who were treated between January 2003 and August 2005. Twelve patients among them showed malignant PTCI, which is defined as PTCI including the territory of Middle Cerebral Artery (MCA).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imaging studies of patients were reviewed. Results : Infarction of posterior cerebral artery distribution was the most common site of PTCI. Fourteen patients underwent DHC an average of 16 hours after trauma.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5%. Glasgow outcome scale (GOS) of survivors showed that one patient was remained in a persistent vegetative state, two patients were severely disabled and only two patients were moderately disabled at the time of discharge. Despite aggressive treatments, all patients with malignant PTCI had died. Malignant PTCI was the indicator of poor clinical outcome. Furthermore, Glasgow coma scale (GCS) at the admission was the most valuable prognostic facto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 GCS less than 5 on admission and high mortality (p<0.05). Conclusion : In patients who developed non-malignant PTCI and GCS higher than 5 after head injury, early DHC and duroplasty should be considered, before occurrence of irreversible ischemic brain damage. High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malignant PTCI or PTCI with a GCS of 3-5 at the admission. A large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ill be required to justify for aggressive treatments including DHC and medical treatment in these patients.

중안면골 골절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A CLINICOSTATISTICAL STUDY ON MIDFACIAL BONE FRACTURE)

  • 유선열;조규승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4호
    • /
    • pp.367-376
    • /
    • 1997
  • 저자등은 1992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최근 5년간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중 추적이 가능한 중안면골 골절 환자 234례에 대해 임상통계학적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녀비는 5.3 : 1로 남자에서 호발하였고, 연령별로는 20대, 30대, 10대순으로, 월별로는 8월, 5월, 9월과 10월 순으로 발생하였다. 발생원인은 자동차사고, 추락사고, 오토바이 사고의 순이었고, 골절부위로는 관골-상악골 복합골절이 86례로 가장 많았다. 연관 손상으로는 안면열상이 가장 많았으며 신경외과적 손상, 하악골 골절순이었다. 수상후 수술시 까지 경과시간은 1주일이내가 55%였다. 사용된 금속판수는 관골 또는 상악골 단독골절시에는 2개, 관골-상악골 복합 골절시에는 3개, Le Fort I, Le Fort I, II ; II, III ; I, III ; Le Fort I,II,III 골절시에는 각각 4개, 5.5개, 7개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감염 7례, 안면비대칭 6례, 안구함몰증 5례, 부정교합 2례로 모두 20례(8%)가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중안면골 골절시에 골절 부위와 환자의 전신상태 및 연관 손상에 대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고 타과와의 협동 치료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PDF

흉부 세침 흡인 생검 후 발생한 폐암의 이식성 체벽 전이 2례 (Implantation Metastasis of Lung Cancer to Chest Wall after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 정승묵;원태경;김태형;황흥곤;김미영;정원제;임병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718-725
    • /
    • 2001
  • 세침흡인생검을 통한 폐암의 파종성 체벽 전이는 매우 드물기는 하나 환자의 예후를 현저히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그러나 그 보고가 매우 드문데, 본 저자등은 2예를 경험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3세 여자환자는 선암 IB로 수술 후 2년후에 이식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이를 종양 적출술 및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다른 65세 남자환자는 편평상피세포암 IB로 수술을 시행한 8개월 후 무통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종양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다. 그 후 이들은 체벽의 이식성 전이암을 제거한지 각각 15개월과 3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아직까지 세침흡인 생검 후 발생한 암의 이식성 체벽전이에 대한 확립된 치료 지침은 없으나, 그간의 문헌의 고찰 및 본 저자등의 경험을 비추어 암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 종양 환아의 중추 신경계 합병증 (CNS Complications in Childhood Cancer)

  • 정유진;서연경;홍승아;김흥식;김준식;이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12-1117
    • /
    • 2003
  • 목 적 : 소아의 악성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로 환아의 생존 기간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이로 인한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항암 치료를 시행한 소아 종양 환아에서 나타난 중추 신경계 합병증에 대한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동산병원 소아과에서 항암치료를 시행한 환아 중 신경계 합병증이 동반되었던 15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 전체 15례 중에서 방사선학적 검사로 원인 질환을 밝힌 경우는 모두 13례로 백질뇌병증이 7례, 무기질화 미세혈관병증이 4례, 뇌경색이 3례, 뇌출혈이 1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1례, 2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함께 나타낸 경우는 2례였으며, 혈액학적 방사선학적 검사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이 MTX의 부작용으로 생각되는 경련성 질환이 2례였다. 뇌출혈과 뇌경색이 나타낸 경우는 예후가 나빴으며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에서는 원인 교정 후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 론 : 소아 종양 환아에서 치료 중 발생한 신경계 합병증은 질환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신경인지 발달에 장애를 남기므로 이들 합병증에 대한 예방, 진단 및 즉각적인 치료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을 이용한 경골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ibial Fractures by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 정광용;이동철;서재성;김세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88-399
    • /
    • 1993
  • 1983년 2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저자들이 interlocking IM nail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경골 골절을 평균 14개월 추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38례 중 37례에서 골유합을 이루어 97.3%의 골유합율은 보였으며 평균골유합기간은 18.7주였다. 2. 금속정의 사용 범위는 경골 간부 및 근위부나 원위부 골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3. interlocking nail은 심한 분쇄성 골절, 개방성 골절, 골소실이 있는 개방성 골절 동에서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었다. 4. 불유합 및 지연유합된 경우 모두 골유합을 이루어 나사못 맞물림을 이용한 금속정 고정법은 경골 간부 골절에서 훌륭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5.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Valgus 각형성 2례 및 varus 1례와 심부감염 1례 등이었다. 6. 금속정은 고정력이 견고하여 조기 관절운동 및 보행이 가능하여 관절 강직이나 근위축을 방지할 수 있었다.

  • PDF

St.Jude 기계판막을 이용한 인공심장판막 치환의 외과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St.Jude Medical Valve Replacement)

  • 진웅;나석주;조규도;김치경;조건현;왕영필;이선희;곽문섭;김세화;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272-280
    • /
    • 1994
  • Total 400 St.Jude Medical Bileaflet Valves were implanted in 336 pts from January 1983 to June 1993; 64 were aortic, 205 were mitral, 64 were double valve and 3 were tricuspid position. The follow up period extended from 6 months to 10 years[mean 24.3 months]. Male to female ratio was 1:1.7. There were total 27 deaths[cardiac related 20, cardiac non-related 7]. Overall mortality was 2.9%/pt-yr. There were 10 early deaths[3.0%] and 10 late cardiac related deaths [3.0%]. Prosthetic valve 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19 patients[5.7%] and among them, seven died; four died of thromboembolic events, two died of anticoagulants therapy related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one died of bacterial endocarditis. NYHA class improv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double valve replacement. In AVR cases, the mean NYHA was 2.8 preoperatively and 1.3 postoperatively. And in DVR cases, 3.3 preoperatively and 2.2 postoperatively. The decision to employ a particular prosthesis was made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or known complications of the valve. The St.Jude Medical Valve retains all the hazards of other mechanical valves, most notably, thromboembolism. But the hemodynamic performance of St.Jude Medical Valve compared most favorably with other substitute valves in many reports. 0ur experience didn`t show any differences compared other authors in terms of valve related complication. So we concluded St. Jude Medical Valve can be primarily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artificial valve except in the patients when the usage of anticoagulant therapy is contraindicated.

  • PDF

승모판막 치환술에 있어 건삭 보존의 효과 (The Effect of Chordae Preservation in Mitral Valve Replacement)

  • 김공수;조중구;구자홍;김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53-357
    • /
    • 1999
  • 배경: 건삭보존 승모판 치환술이 승모판막질환에 있어서 좌심실 기능의 보존 및 술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승모판 치환술시 건삭을 절제한 20예(기존치환군)와 건삭을 보존한 10예(보존치환군)의 술후 단기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술 전 두 그룹간의 성별, 나이, NYHA 기능적 분류, 심흉비 및 심전도 소견, 심초음파 소견 및 관류량, 대동맥 차단시간등의 차이는 없었다. 술 전 심흉비에 대한 술 후 1개월 심흉비 비교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두 그룹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술 전 심흉비에 대한 술 후 3개월 심흉비 감소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술 전 심전도 소견상 대부분 심방세동이 동반되고 있었으며 심방세동이 술 후에 동성 리듬으로 변화된 경우가 기존치환군에서 2예 있었다. 심초음파에 의한 좌심실의 기능 비교에 있어서 보존치환군은 술전에비해 구혈분획(Ejection Fraction) 및, 단축분획률(Fractional Shortening)의 감소가 심하지 않았으나(p =0.47, p= 0.12), 기존치환군에서는 구혈분획 및, 단축분획률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3, p=0.04), 두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p=0.02). 또한 보존치환군에 비해 기존치환군에서 월등히 높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결론: 승모판막 질환에 있어서 건삭 보존 승모판막 치환술이 기존 승모판 치환술에 비해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보존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 PDF

Multifilament Cable Wire versus Conventional Wire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 Oh, You Na;Ha, Keong Jun;Kim, Joon Bum;Jung, Sung-Ho;Choo, Suk Jung;Chung, Cheol Hyun;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265-271
    • /
    • 2015
  • Background: Stainless steel wiring remains the most popular technique for primary sternal closure. Recently, a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Marquette, MI, USA) was introduced for sternal closure and has gained wide acceptance due to its superior resistance to tension. We aimed to compare conventional steel wiring to multifilament cable fixation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on 1,354 patients who underwent sternal closure after major cardiac surgery, using either the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or conventional steel wires between January 2009 and October 2010. The surgical outcomes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ere compar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18 baseline patient characteristics. Results: Propensity score matching yielded 392 pairs of patients in the two groups whose baseline profi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the rates of early mortality (2.0% vs. 1.3%, p=0.578), major wound complications requiring reconstruction (1.3% vs. 1.3%, p>0.99), minor wound complications (3.6% vs. 2.0%, p=0.279), or mediastinitis (0.8% vs. 1.0%, p=1.00). Patients in the multifilament cable group had fewer sternal bleeding events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wire group, but this tend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3% vs. 7.4%, p=0.068). Conclusion: The surgical outcomes of sternal closure using multifilament cable wires were comparable to those observed when conventional steel wires were used. Therefore, the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may be considered a viable option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수술 31예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31 Cases)

  • 성숙환;김관민;김주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468-473
    • /
    • 1993
  • 연구배경 : 최근의 비디오 영상기술, 내시경 수술기구 및 내시경 수술기법의 눈부신 발달에 힘입어 흉강경의 영역이 단순한 늑막질환 진단에서 여러가지 흉부질환의 치료 방법으로 넓어졌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VATS) 방법은 3년전에 개발된 새롭고 가히 매력적이라 할 만한 흉부질환 수술방법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도 1992년 7월에 도입하여서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여러가지 임상경험을 하였기에 그 결과를 분석한다. 방법 : 1992년 7월부터 1993년 4월까지 10개월간 30명 환자에게 31예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시행하였다. 폐기포 절제술이 18명(19예), 종격동 종양 절제술이 4예, 폐실질 폐조직 생검 3예, 늑막생검 3예, 늑막종괴제거술 1예 그리고 늑막심낭창형성술 1예였다. 결과 : 사망예는 없으며 8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장기간공기누출이 3예, 장기간 늑막액 유출이 2예, 기흉재발 1예, 호너씨 증후군 1예, 애성 1예였다. 31예 모두 비디오흉강경 자체로 수술을 완료하였다. 합병증이 없었던 자연기흉 환자들의 술후 입원기간은 5일정도로 평상적인 개흉술로 수술받은 환자보다 입원기간이 약간 짧았다. 결론 : 비록 비디오 흉강경 수술은 초기단계라서 비교적 술후 합병증 빈도가 높았지만 이러한 술식이 통증감소, 입원기간단축, 빠른 회복, 미용적으로 우수한 작은 수술 상처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어 환자들에게 매우 유익하다고 확신한다. 비디오 흉강경수술의 영역은 앞으로 흉곽내 여러가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심지어 심장병질환에도 응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위절제술 후 경구섭취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Intake on Nutritional Status after Gastric Resection)

  • 이규언;이혁준;김지영;김윤호;이건욱;최국진;양한광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4호
    • /
    • pp.205-212
    • /
    • 2002
  • Purpose: Malnutrition is a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that occurs after gastric resection. Several causes for malnutrition have been proposed, which include malabsorption and poor oral calorie intake.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whether nutritional counseling would increase oral calorie intake and improve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study group from amo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nd gastric polyp between October 1999 and December 2000. Body weight, hemoglobin, serum albumin, and serum transferrin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gastrectomy. Oral calorie intake was evaluated by using a 3-day oral-intake diary, and one nutritionist performed outpatient-based nutritional counseling. Eighte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ectomy for the same disease during the same period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During an average interval of 14.8 months, the study patients received nutritional counseling an average of 3.4 times at an average interval of 4.4 months. The study group took a mean of $2055.6\pm418.1$ Cal per day and the control group $1792.1\pm421.9$ Cal (P=0.05). Sixty-eight percent (15 patients) of the study group patients reached the daily-required calorie intake. Postoperative bodyweights were $64.0\pm9.9$ kg for the study group and $64.3\pm10.8$ kg for the control group (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other. Sixty-five percent of the patients (26 patients) had a weight loss of less than $10\%$ of the preoperative body weight, and $35\%$ had more than a $10\%$ weight los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alorie intakes of these patients. Conclusions: Nutritional counselling increased the oral calorie intake, but nutritional status was not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al derangement after gastrectomy cannot be corrected by adequate oral intake itsel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