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STEP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 박진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5
    • /
    • 2006
  •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child's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ere 29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 The researcher translated the Parent's guide of the Early Childhood STEP into Korean, along with the video tapes for par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with the Early Childhood STEP program (lecture, reading educational material, discussion, watching video). To determine the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t-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Early Childhoo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con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infant behavior, particularly the behaviors in the areas of incapability, revenge, and power reactions.

유아컴퓨터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교사의 욕구 탐색 ; 질적 접근 (Teacher's Viewpoint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 Qualitative Study)

  • 심현애;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7-198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point of teacher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Nondirective and open-end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teps or stages of viewpoints were found: step1-teachers want to have computers in the classroom but have no particular purpose in mind; Step 2-teachers want the children to play with the computers as if it were a toy; Step 3-teachers want to use any programs that are in the computer; Step 4-teachers want to use the computer more purposefully for educational goals; Step 5-teachers want to unify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 PDF

Q 방법론을 사용한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불안 탐색 (Exploring Science Education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Methodology)

  • 김자은;김연하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9-82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xiety regarding science education via Q-methodology. Methods: As the first step, 268 Q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sources such as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five stages of excluding and modifying, a set of 33 Q statements was finalized. The P sample consisted of 40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based on educational level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types of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NL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cience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xplaining 45.1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science anxiety stems from "prepar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terials," "instructional methods focused on process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simple science avoidance."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의 비대면 교수-학습 사례 (Case of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in the subject of "Research and Guidance on Early Childhood Material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 김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27-2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의 비대면 교수-학습 사례를 통해 비대면 수업 및 다양한 교수법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연구는 2021년 1학기 유아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강의를 수강하는 C지역의 B대학교 학생, 즉 예비유아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수-학습 전략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재교구제작과 경험을 탐색하였다. 비대면 교수-학습 전략을 위하여 동영상강의, 실시간 zoom 수업, 빈번한 피드백과 상호작용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소통'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참여'활동이 수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참여활동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 교재교구 관련 발문에 대한 댓글 달기, 반성적 저널 및 참관보고서 작성을 통한 교재교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 그리고 교재교구제작 계획, 과정, 결과의 단계별 발표 활동이 수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재교구제작 경험을 탐색한 결과, '시행착오를 통한 성장 경험', '유아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소통을 통한 효율성 증가와 부담감 감소', '결과보다는 과정', '비대면 수업 시 소통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이라는 요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유치원의 보건의료 인력 관련 법령 검토 (Review of the Law for Healthcare Workers in Kindergartens)

  • 윤재희;손희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84-9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areas by reviewing the laws related to kindergarden healthcare workers. Methods: The laws were searched at the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https://www.law.go.kr/). We review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School Health Act」, 「Medical Service Ac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and their enforcement decrees and rules. Results: The legal role of health teachers as school healthcare professionals was comprehensively specified by the 「School Health Act. However, the qualifications for and roles of health teachers were not fully describ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indicating a unclear legal basis for the qualifications for and roles of kindergarten health teachers. To support healthcare workers in kindergartens,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that provides the guidelines for qualifications for kindergarten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econdary, and special schools who have completed necessary continuing education. A health hub kindergarten could be a step-by-step option for all kindergartens to have healthcare workers. Conclusion: This review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mending the laws on kindergarten health teachers and health hub kindergartens for child health and safety.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to support policies related to kindergarten healthcare workers.

피아노앙상블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음악극 지도 방안 - 피터와 늑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reative Music Drama Teaching Plan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Piano Ensemble - Focusing on 'Peter & The Wolf' -)

  • 박주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7-129
    • /
    • 2021
  • 최근 유아교육의 흐름은 각 교과와 영역의 융합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인 경험으로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활동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극 활동은 예술 교과 간의 통합교육으로 예술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인성과 창의성 계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다양한 학습에 직접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극을 기획하고 실행,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이다. 피아노 앙상블을 활용한 창의적인 음악극 지도 방안의 개발은 교원양성과정의 통합교육활동에 대한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음악극 활동이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및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극 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과 창의적인 계획에 의하여 관람 대상에 맞게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둘째, 음악극의 등장인물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출연진의 역할을 분담하는 것은 예비유아교사 음악극 활동의 접근도를 높이고 활성화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음악극 활동 중 음악 만들기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이해력과 수준에 맞게 창작, 편곡하여 실행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 중 단기간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실행한 통합적인 경험과 평가를 통해서 나온 음악극에 대한 교수방법 및 활동자료, 기록들이 교육현장에서 유아음악극을 지도하는데 참고자료가 되도록 한다.

만 4~5세 유치원생 어머니들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

  • 문혜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009-10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in kindergarten by investigating the mother's perceptions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Mothers who have 4~5 year old children were selected for 3 focus group interview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others recognized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as an essential step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2) The mothers were found to have recognized that the cultivation of the various social situations of the children in kindergarten would be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kindergarten, because kindergarten is a place for children to be introduced to social experiences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ves. 3) Most of the mothers have the perception that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is perception wa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educational effect of kindergarten compared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 김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95-70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유치원인 연구 참여 유치원의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는 단위 유치원 차원의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인공지능교육을 실행함으로서 프로그램의 현장성 및 활용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경험의 의미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Career Portfolio Produc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29-156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K대학 3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면서 교직실무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3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해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9주 동안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Coaching Professor 프로그램 지도 보고서, 소그룹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약호화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8개 하위영역 즉, '시간의 흐름 지각하기', '흩어진 경험 모으기', '혼돈 속에서 나 찾아가기', '함께임을 인식하기', '심리적 안녕감 형성하기', '유아교사로서 나의 모습 그리기', '발전하는 나 설계하기', '세상으로 나아가기'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이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치 있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령기 전환 자녀의 어머니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to the Mother's Role Experiences during Their Child's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to Middle Childhood)

  • 김수지;송승민;도현심;신나나;김민정;김은혜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1-13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analysis of mothers' role experiences during their children's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to middle childhood. Eleven mothers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group meeting, group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described their experiences as a critical first step outwards on the journey to independence. The role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n be seen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ly, as mothers as individuals projecting a mother's worries onto their child and becoming a capable person to help their children adjust to a new school environment, secondly, as mothers as family members experiencing a mor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difficulties of co-parenting with their husbands and parents-in-law, and lastly, as mothers as members of the extended family systems experiencing communication difficulties regard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feeling uncomfortable with other parents. The findings may be used to develop support programs as well as a channel for interacting with public education bodies and community a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