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RYA JAPONICA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9초

筽篒度와 燐近 島嶼의 植物相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Flora of Osik Island and its Neighboring Two Islands)

  • Kim, Doo Young;Jeom So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3호
    • /
    • pp.158-169
    • /
    • 1983
  • An investigation on the floras of Osik island and its neighboring two islands, 13km west of Gunsan,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305 kinds belonging to 81 families, 132 genus, 259 species, 42 varieties, 4 formas. Of the 305 kinds collected 213 kinds were herb and 92 kinds were woody plant. Seven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cluding Euonymus japonica T., Eurya japonica T. and Elaeagnus macrophylla T. etc. are listed in the Norae-sum and Ga-do. The vegetations of Norae-sum and Ga-do were more favorable than that of Osik-do which vegetation was destructed by human inerferences. Coastal plants in these areas were about 30 species. It is interest that the floras of these areas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Gogunsangun-do (r=0.97) inspite of adjacency to inland area.

  • PDF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기후 및 환경변수 영향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 권혁수;류지은;서창완;김지연;도재화;서민환;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7-27
    • /
    • 2012
  •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data. We develop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6 plant species using climate, topographic and soil factors. All 6 plants were most sensitive to climatic factors but less other factors at national scale. Meliosma myriantha, Stewartia koreana and Eurya japonica, distributed at southern and coast region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eliosma myriantha was mostly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Stewartia koreana was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elevation, and Eurya japonica was affect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On the other hand, Spiraea salicifoli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distributed at central and northern inland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vation. Spiraea salicifolia was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coldest quarter and annual mean temperatur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were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and elevation. We can apply this result to future plant habitat 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Eurya Japonica Community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장정은;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9
    • /
    • 2020
  •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I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위치하며, 낙엽활엽수림으로 천이되어도 수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는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 한 현 상태를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I은 동백섬에 위치한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었다. 교목층에는 곰솔이 단일 수종으로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였으며, 비관리지역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다수의 상록활엽수가 각각 출현하였다. 따라서 군락 III에서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가 없을 경우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관목층에 후박나무, 돈나무 등 상록활엽수종들이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면 향후 곰솔은 쇠퇴하고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89개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수종들과 사스레피나무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9가지 수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그중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은 돈나무, 떡갈나무 등 4종이 있었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수종은 5가지 수종으로 그중 사스레피나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동백나무가 -0.384로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 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41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I, II),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III, IV, V), 상록활엽수군락(군락 VI, VII)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소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 전영문;이호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7-277
    • /
    • 2007
  • Z-M방법으로 한국 전역의 소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림은 크게 1군집, 3군락, 7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 소나무림의 분류체계는 다음과 같다.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I : 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em. Kim 1992 A :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A-1 : Typical subcommunity A-2 : Vaccinium koreanum subcommunity A-3 : Rhododendron micranthum subcommunity B : Quercus serrate-Pinus densiflora community B-1 : Typical subcommunity B-2 : Juniperus rigida subcommunity B-3 : Styrax japonica subcommunity B-4 : Eurya japonica subcommunity C: Saso-Pinetum densiflorae Yim et al. 1990 Camellietalia japonicae Oda et Sumata 1966 II : Ardisio-Castanopsion Miyawaki et al. 1971 D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은 한반도 중북부지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은 한반도 중부와 남부의 저산지와 구릉지에 넓게 나타났다. 소나무-제주조릿대군집은 제주도의 소나무림에서 조사되었다. 그리고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남서해안과 도서를 포함하는 난 온대역에 분포하였다.

부산의 상록식물상과 분포 (Flora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Plants in Busan)

  • 이정훈;성정숙;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39-1245
    • /
    • 2007
  • 부산지역의 상록식물상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23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동정된 상록식물은 33과 51속 60종 8변종으로 총 68종류로 나타났으며, 인동덩굴, 털인동, 으름덩굴, 천선과나무, 돌가시나무, 장딸기, 순비기나무, 구골나무, 밀사초 등의 9종을 상록식물로 분류하였다. 상록식물의 수직적 식생분포에 있어서 해송군락이 상층부의 수관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아래 사스레피나무군락이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등의 군락과 함께 중층을 구성하고, 송악, 마삭줄, 장딸기 등이 하층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외의 군락으로는 참식나무-생달나무군락, 천선과 나무군락, 송악-마삭줄군락, 자금우군락, 발풀고사리군락, 풀고사리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 23개의 조사지역에서 출현율에 의한 분석 결과 출현율 50% 이상인 종은 해송을 비롯하여 13종, 출현율 10% 이하인 종은 고란초를 비롯한 29종이었다. 상록식물의 분포는 해안에서 내륙지역으로 갈수록 확연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로 해안과 인접한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자생완도 호랑가시나무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Habitat of Korean Native Wando Holly (llex X wandoensis))

  • 안영희;최창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11-101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ndo HolIy"$(llex{\times}wandoensis)$ which is expecting as a possible ornamental tree with its beautiful leaves, flowers and fruits, and to find special breeding material which have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also provide corr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which are required for commercial cultivation. The hill of Galmoon-Ri, Gunoei-Myon, Jeonnam Province, Korea, were reported as a original habitat of native $llex{\times}wandoensis$.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soil pH of native habitat was 6.18, hardness was 2.39, humidity was 38.6%, direction of slope is SSW, and average inclination was $15^{\circ}. The vegetation around $I.{\times}wandoensis$ is occupied by trees like an Quercus variabilis, Q. serrata, Q. acuta and so on. These are mixed forest of deciduous trees. Tree height reached up to about 12m and its coverage is about 30%. Q. salicina, Camellia japonica, I. integra, Cryptomeria japonica account for sub-tree layer. Tree height is around 8m and coverage is about 20%. Shrub layer was taken by Viburnum furcatum, Callicarpa japonica,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Ligustrum japonicum, Smilax china, Cornus walteri etc. Tree height reaches around l.2m and coverage is around 20%. Herb layer include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ymbidium goeringii, Dryopteris bissetiana, Disporum viridescens, Disporum smilacinum, Sasa borealis var. gracilis etc.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which are observed in southern evergreen zone, are dominant and its coverage is around 20%. The native habitat was in spoiled condition because of artificial thin out.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鳥島群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Chod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81-190
    • /
    • 1990
  • Chodo Archipelago ($125^{\circ}$45 $-126^{\circ}$13 E and $34^{\circ}$15 $-34^{\circ}$25 N, ca. $56.7km^2$),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largely is covered with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However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and etc. From October 1988 to June 1989,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by Braun-Blanquet 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Litsea japonca,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mixed forest,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afforestation.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Korean Plants

  • Jung, Sang-Hoon;Lim, Soon-Sung;Lee, Sang-Hyun;Lee, Yeon-Sil;Shin, Kuk-Hyun;Kim, Yeong-Sh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4-37
    • /
    • 2003
  • We examined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the Korean plants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RLAR) activity in vitro. Among 41 plant extracts, the extracts of Lagerstroemia indica, Punica granatum, Eurya japonica, Liquidambar styraciflua, and Vitis coignetiae exhibited highest inhibitory potency, even more potent than tetramethylene glutaric acid (TMG), known as one of typical aldose reductase inhibitors $(IC_{50}\;value,\;0.51\;{\mu}g/ml)$. Especially, the extract of Lagerstroemia indica (Lythraceae), exhibited the most inhibitory potency $(IC_{50}\;value,\;0.069\;{\mu}/ml)$ on RLAR.

New Record of the Existence of Sarcographa tricosa (Lichenized Ascomycota, Graphidaceace) in Korea

  • Joshi, Yogesh;Lee, You-Mi;Wang, Xin-Yu;Koh, Young-J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2-154
    • /
    • 2009
  • Lichen genus Sarcographa Fee, a stromatoid Graphidacean taxa, was newly found in Geomun Island, Jeonnam province. The lichen grew on the bark of Camellia japonica and Eurya emarginata along the coastal line of the island. It was identified as Sarcographa tricosa (Ach.) Mull. Arg. for the first tim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