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a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Plants in Busan

부산의 상록식물상과 분포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plants in Busan from February 2003 to September 2004. A total of 68 evergreen plant taxa belonging to 33 families, 51 genera, 60 species, and 8 varieties were recognized in Busan. 9 species was included in evergreen plant taxa such as Akebia quinata, Rosa wichuraiana, Osmanthus heterophyllus, Lonicera japonica, Lonicera japonica var. repens, and Carex boottiana. In the forests of evergreen, the canopy consisted of tall trees such as Pinus thunbergii, and understatum trees such as Eurya japonica, Elaegnus macrophylla, and Euonymus japonica. Herb layer consisted of Rubus hirsutus, Hedera rhombea,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In addition to evergreen plant communities, the patchy spaced communities occurred Neolitsea sericea-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Ficus erecta community, Hedera rhombea-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ommunity, Ardisia japonica community, Gleichenia dichotoma community, and G. Japonica community. For rate of appearance of species in 23 sites, 13 species was appeared more than 50% and 29 species less than 10%. There was marked a decrease in the number (density) of evergreen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stances from seaside to inland.

부산지역의 상록식물상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23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동정된 상록식물은 33과 51속 60종 8변종으로 총 68종류로 나타났으며, 인동덩굴, 털인동, 으름덩굴, 천선과나무, 돌가시나무, 장딸기, 순비기나무, 구골나무, 밀사초 등의 9종을 상록식물로 분류하였다. 상록식물의 수직적 식생분포에 있어서 해송군락이 상층부의 수관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아래 사스레피나무군락이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등의 군락과 함께 중층을 구성하고, 송악, 마삭줄, 장딸기 등이 하층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외의 군락으로는 참식나무-생달나무군락, 천선과 나무군락, 송악-마삭줄군락, 자금우군락, 발풀고사리군락, 풀고사리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 23개의 조사지역에서 출현율에 의한 분석 결과 출현율 50% 이상인 종은 해송을 비롯하여 13종, 출현율 10% 이하인 종은 고란초를 비롯한 29종이었다. 상록식물의 분포는 해안에서 내륙지역으로 갈수록 확연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로 해안과 인접한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부산광역시, 1995, 부산지명총람, 360pp
  2. http://www.busan.kma.go.kr. 부산기상청 홈페이지
  3. 부산광역시, 2003, 부산자연환경조사 및 관리시스템개발(2차년도), 377pp
  4. 오수영, 박재홍 2001, 한국 유관속식물 분포도, 아카데미서적, 997pp
  5. 김종홍, 1987, 한반도 상록활엽수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생물학과, 건국대학교, 서울 115pp
  6. 양인석, 김원, 1972, 한국남부도서에 대한 상록 활엽수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 식물분류 학회지, 9, 11-18
  7. 구경아, 2000,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지리학과, 경희대학교, 서울,65pp
  8. 주상우, 1974, 부산시지(상) - 식물편, 부산시, 204pp
  9. 이정석,1990, 서울시내 동계절 상록성 지피식물 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원예학과, 고려대학교, 서울,45pp
  10. 한국약용식물학 연구회, 2001, 종합약용식물학, 학창사, 360pp
  11. 하순혜, 1998, 한국화재식물도감, 광진출판사, 610pp
  12. 정규영, 정형진, 김건우, 권기석, 1997, 일월산 (경북)의 야생 약용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농업 과학기술 연구논문집, 4, 55-69
  13. 환경부,2003, 환경부등재 식물보호종
  14. UNEP-WCMC, 2003, UNEP-WCMC Species Database : CITES - Listed Species
  15. 이 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126pp
  16. 주상우, 1992, 산과 들의 계절식물, 참한출판사, 779pp
  17. 김태욱,1994, 한국의 수목, 교학사, 643pp
  18. 김태정,1996, 한국의 야생화 섬 . 바닷가에 피는 식물, 국일미디어, 266pp
  19.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 서적, 624pp
  20. 이영노,2006, 한국식물도감 I ,II. 975, 885pp
  21. 송홍선, 2004, 한반도자생 상록활엽수 도감, 풀꽃나무, 280pp
  22. Melchior H., Werderrnan E.,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lmilien, I. Banel, Allgerreiner Teil Bakterien bis Gyrrmosperrnen, Gebriider Bomtraeger . Berlin- Nikolassee, 367pp
  23. Melchior H., Werderrnan E.,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lmilien, II. Band, AngioslHllffi Ubersicht tiber die Florengebiete der Erde, Gerriider Bomtraeger . Berlin-Nikolassee, 666pp
  24. 송홍선, 1999, 한국산 자생의 상록식물 소고, 난대림연구회지
  25. 송홍선, 1999, 제주도산 자생의 상록식물 소고, 한국의 식물, 25, 20-30
  26. 홍순형, 1986, 부산지역 목본식물 조사보고, 부산대환경연구보, 4, 47-66
  27. 김종홍, 1999, 무인도서 내 자생하는 난대 수종 의 보존실태와 대책, 자연보존 108, 12-20
  28. 오구균, 김용식, 1997,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 V, 사례지의 복원전략, 환경생태회지, 11(3), 352-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