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G management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2초

패션 기업의 ESG 활동등급 수준이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Fashion Companies' ESG Activity Grade Levels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Value)

  • 김유빈;장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09
    • /
    • 2024
  •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specifically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ctivity grade level,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value among the 25 fashion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that completed their ESG evaluation in 2022. The compan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based on their ESG evaluations: ESG Integrated Grade (ESG-T), ESG-E (Environmental), ESG-S (Social), and ESG-G (Governance). The study then empirically analyzed how these levels affected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value.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value depending on the ESG activity grade level. Companies with higher ESG grades exhibited bet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higher corporate values across all ESG sub-variables (ESG-T, ESG-E, ESG-S, ESG-G)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grades. This finding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ESG activity grade levels on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hancing corporate value in fashion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ESG activities in fashion companies.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Library)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09-338
    • /
    • 2023
  • 사회적·환경적 이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ESG 경영평가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으며, 도서관도 ESG 경영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ESG 경영을 도서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ESG 경영을 정의하고 범주를 확인한 후, 먼저 적용과 지속적인 환류를 전제로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을 포함하여 공공기관 ESG 경영평가지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ESG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SG 관련 선행연구 조사·분석, 선행연구 기반 도서관 ESG 예비경영평가지표 도출, 예비경영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FGI 의견 수렴, 전문가 FGI 의견 수렴 기반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의 적합도 조사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환경 영역은 총 25개 항목, 사회 영역은 총 56개 항목, 지배구조 영역은 총 32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지표를 기반으로 도서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식품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 Companies on Corporate Performance)

  • 정서영;최규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30
    • /
    • 2023
  • Purpose: Corporate management is under pressure to contribute to social values beyond profit-seeking, and interest in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s increasing worldwide. In the recent global climate change crisi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importance of non-financial values such as ESG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strategy for future ESG management activities by analyzing the impact of it on corporate performance by food compan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ESG-related research trends, ESG activ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were analyzed. After that,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evaluation grade and corporate performance. Result: ESG management activities measured by ESG scor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turn on assets, one of the variables of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as a result of setting the return on equity as a dependent variable, ESG management activities have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corporate performance, and ESG management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when investment in ESG management activities is reasonable.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food companies should engage in an appropriate level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ESG경영 -LX하우시스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ESG Manag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 Focusing on LX Hausys Case)

  • 김성건;김중화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21-133
    • /
    • 2023
  • Sustainability is bound to be an eternal topic for managers who run companies. This sustainability is required not only by managers but also by various stakeholders. As a result, many companies are implement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are actively utilizing ESG, which has become a hot topic since 2020. In this study, we examined sustainable management and ESG, focusing on LX Hausys, which was the first in the interior industry to write a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 and received an ESG evaluation grade A for five consecutive years. As LX Hausys promoted sustainable management, it naturally focused on ESG management. As a result of meeting with LX Hausys HR executives and ESG managers for this study, ESG is not accepted as a new one. Rather, he emphasized that there is no need to approach this approach to ESG with grandeur and difficulty. This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argument that ESG is a true approach to sustainable growth, not a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times. Like LX Hausys, ESG management can be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when implementing ESG strategies based on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companies, which can be seen as leading to corporate sustainability. This ESG management will be the right way to create a permanent company.

ESG 정보공시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Information System for ESG Disclosure Management)

  • 김승욱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77-90
    • /
    • 2024
  • ESG에 대한 논의가 유럽 및 여러 국가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상장회사의 비재무 정보와 관련된 ESG 정보공시의 의무화를 추진하는 국가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이 글로벌 ESG 정보공시 의무화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 글로벌 ESG 공시기준의 요구사항이 까다롭거나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과 ESG 제도 자체에 대한 이해 및 준비가 부족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업경영의 기회와 위험요인이 기업의 재무 영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분석을 요구하고 있어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분석하기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처럼 ESG 경영활동 및 정보공시 업무 등의 업무를 수행하려면 다양한 유형과 출처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를 투명하게 측정하고 오류 없이 취합하여 누락 없이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ESG 활동을 ESG 정보공시를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 다양한 관련 지표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ESG 데이터 통합관리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주요 프로세스별로 ESG 업무와 관리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SG 공시업무에 어려움에 당면한 기업에게 ESG 정보공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실무적인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ESG 공시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데이터 통합관리 모델 제시 및 ESG 정보공시를 지원하기 정보시스템의 개발은 향후 ESG를 연구하는 데에 필요한 학술적인 측면에 연구에 의의가 있었다.

소규모 제조기업의 ESG경영 도입 및 활성화방안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ESG Management of Small Manufacturing Companies)

  • 박익구;박수용;이동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59
    • /
    • 2024
  • Recently, ESG management has become a global trend,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from stakeholders such as consumers, investors, and governments, as regulations related to ESG disclosure and supply chain due diligence have been strengthened since the United Nations Principles of Responsible Investment (UN PRI) was announced in 2006. ESG is an acronym for the environment (E), social (S), and governance (G) and is accepted as a key factor for the continuous survival and growth of a company. As a result, there are over 600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oper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numerous global initiatives have emerged. Korea'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lso announced "K-ESG Guidelines (December 2011)" and "K-ESG Guidelines for Supply Chain Response (December 22)" to help SMEs introduce ESG management and respond to supply chain due diligence. However, small-scale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poor financial,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face significant challenges in introducing ESG manage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SG management adoption in small-scale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less than 150 people in Korea and propose activation plan ESG management based on the diagnostic requirements of the "Supply Chain Response K-ESG Guidelines."

ESG 경영, 기업의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전략 : KT의 전사적 목표와 전략 (ESG Management, Strategies for corporate sustainable growth : KT's company-wide goals and strategies)

  • 강윤지;김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3-244
    • /
    • 2022
  • 최근 기업경영과 관련되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일 것이다. ESG 경영을 선언한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KT는 2021년 본격적인 ESG 경영을 선언하며 지속가능경영의 전략을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있다. 또한 KT는 국내 ICT 업계 최초로 ESG 채권을 발행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정보기술산업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에서 본 연구는 KT의 ESG 경영 목표와 전략의 사례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KT는 환경 영역에서 '환경경영', '환경대응', '에너지 자원', '친환경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건전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 영역에서 '사회공헌', '동반성장', '인권경영' 등을 통해 진정성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배구조 영역에서는 '윤리·컴플라이언스',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경제적 신뢰성을 추구하기 위한 투명한 기업 경영 체계를 지향하고 있었다. 특히 KT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AI, BigData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며 KT만의 ESG 경영을 도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화두로 떠오른 ESG 경영과 관련해 KT의 ESG 경영 사례를 통해 ESG전략 수립과 ESG 경영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내부고객의 ESG중요도 인식이 조직의 ESG경영 필요성과 ESG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공공기관(직업능력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Internal Customer Awareness of ESG Importance on the Organization's ESG Management Needs and ESG Performance Awareness -Focusing o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 김동태;이은영;박지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63-670
    • /
    • 2023
  • 본 연구는 소비자(외부고객) 관점에서 ESG 경영과 ESG 성과를 살펴 왔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조직 구성원인 내부고객의 관점에서 ESG에 대한 태도와 ESG 성과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SG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내부 구성원의 인식이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과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세 가지 연구질문으로 정리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해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내부고객은 E(환경)영역, G(지배구조)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면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지만 S(사회) 영역에서는 ESG 경영 필요성과의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연구질문 1). 또한 ESG 영역별 중요도 인식과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간 관계는 내부고객의 ESG에 대한 관심이나 지식정도,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질문 2). 끝으로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내부고객은 조직의 ESG 성과 수준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질문 3).

중소기업의 ESG평가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ategic Responses to ESG Evaluation of SMEs)

  • 박윤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47-65
    • /
    • 2023
  • 이해관계자 요구와 지속가능금융 성장에 따라 ESG경영과 이를 반영한 ESG평가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중소기업 또한 공급망 관리와 금융거래에 영향을 주는 ESG평가 규범화 흐름에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생존에 우선 집중할 수밖에 없어 ESG경영 도입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중소기업의 ESG경영 당위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ESG 평가체계 및 평가등급의 변동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ESG 평가동향 및 실무지침서의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탐색적 연구 결과, 중소기업은 실행전략 차원에서 생존기반이 담보되는 여건 하에 ESG경영을 도입하고 ESG창업에 특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적 학습과 소프트웨어 관리로 ESG평가에 유리한 정보 축적과 함께 다양한 평가결과의 전략적 활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소기업의 ESG평가에 있어 중소기업에 대한 분류기준과 ESG 평가등급과 장기 생존률과의 관계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정부정책 차원에서도 생존 가능성과 함께 업종과 규모별로 상이한 수준의 ESG경영 도입 및 ESG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중소기업 전용 ESG 평가제도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 PDF

A Study on How to Vitalize the ESG Management Strategy of SMEs through ESG Management Cases

  • KIM, Jin-Kwon;KIM, Min-Su;AHN, Tony-DongHui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6호
    • /
    • pp.39-4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ESG at home and abroad, and through this, seek ways to activate the ESG strategy of domestic SMEs and suggest a dire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SG management at home and abroad and examples of companies through related literature on ESG management and performance. Through this, the strategic direction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SMEs was presented. Results: Compared to the government and major corporations, SMEs can be said to lack ESG management activities. ESG activities include environmental activities such as carbon neutrality, waste management, eco-friendly supply chain management, establishment of safety and health processes to improve workers' environment, expansion of governance to guarantee autonomy and profitability such as fair trade, protection of social and shareholder rights such as anti-corruption, etc. should be based on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ies in ESG activities of SMEs that lack funds and manpower. Conclusions: Compared to the government and major corporations, SMEs can be said to lack ESG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ES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strengths of S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