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R use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MR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병원 (The Case Study of EMR System Implementation)

  • 최광석;구철모;이대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58
    • /
    • 2013
  • 최근 국 내외 의료계와 정부는 병원에서 발생하는 진료기록들을 디지털화하여 모든 의료 기관의 전자의료기록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첨단 의료정보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정보시스템 구축 사례연구로서 조선대학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시스템의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정보 시스템의 도입에서부터 활용단계까지 Cooper and Zmud(1990)가 제시한 정보시스템 구축 모델을 기반으로 조선대학병원의 EMR 구축 사례를 연구하여 병원정보시스템의 특성과 이슈들을 명확히 하고, 향후 EMR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MR시스템의 도입 특성요인이 지각된 유용성, 편이성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act of Introduction Characteristics Factor of EMR System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 임형주;심정택;이상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2-50
    • /
    • 2009
  • 의료 정보화는 정보기술 발전과 사회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양질의 진료와 고객관리 및 경영효율화의 필요성으로 1990년부터 처방전달시스템(OCS)을 도입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의료계의 정보화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원격진료 시스템 도입과 각종 U-Health Care 관련 제품 및 의료 서비스 등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 최근 의료계와 정부는 병원에 발생하는 모든 진료기록을 디지털화 하여 관리하는 전자의무기록(EMR)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환자 진료데이터 기록은 계속적인 진료관리와 치료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매우 중요하며, 대형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EMR시스템 도입이 늘고 있다. EMR시스템은 진료 중 발생한 환자의 진료정보를 전산화함으로써 고객서비스 향상, 대기시간 단축, 진료의 질 향상, 진료정보의 다양한 활용, 정확한 진료, 비용 절감, 진료부서 및 진료 지원부서 등의 업무효율화를 가져와 병원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한다.

전자의무기록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Share Electronic Medical Records)

  • 김영은;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83-311
    • /
    • 2024
  • 전자의무기록 공유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합리적 행동 이론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에 기반하여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업과 개인 병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유 의도가 달라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타적 즐거움과 개인정보 보호 인식, 법·제도적 역할 인식 및 건강에 관한 관심 정도가 전자의무기록 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가 법·제도적 역할 인식과 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공유 과정에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참여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유로 인한 공익적 혜택을 강조해야 할 것이며 법적으로 개인정보의 보안과 올바른 활용을 보장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환자 접근형 EMR 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Patient-Accessible EMR System)

  • 김진호;권대규;원용관;김정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95-602
    • /
    • 2010
  •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종이문서 방식을 사용하는 의료차트 대신에 모니터로 출력되는 형식의 의료차트를 말한다. 현재 통용되는 EMR은 전문 의료인이 전문적인 용어 써놓은 양식이기 때문에, 그 의료기록의 실제 주인인 환자는 의료인의 부가적인 설명 없이는 자신의 자세한 증세는 물론 병명조차 정확히 확인하기 힘들다. 이에 환자에게 있어 매우 시간 소모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과정으로 환자가 의료인을 거쳐서 자신의 의료정보를 얻는 방식보다는 환자가 직접 그 정보를 얻는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EMR이 갖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가 의료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자신의 의료정보를 얻기 위한 환자 접근행 EMR 응용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공인전자서명 적용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Guideline on Electronic Signatures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 박정선;신용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20-128
    • /
    • 2005
  • 전자정보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가장 안전한 보안방법 중의 하나가 공인전자서명이다. 이를 의료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자서명법과 의료법에 기반을 둔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공인 전자서명의 구체적인 적용 지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침은 공인전자서명의 주체 및 시점, 공인인증서의 유효성 확인, 공인전자서명의 관리 책임, 전자의무기록의 보관 및 관리에 관한 적용 지침과 관련 해설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향후에는 이 지침을 토대로 의료기관과 관련 업체에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구축 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예시들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그 보급을 촉진할 뿐 아니라 의료기관과 관련 업체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환자 자동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Patient-aware System using Mobile Device)

  • 임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96-1504
    • /
    • 2007
  • 본 논문은 헬스케어 연구의 일환으로 병원 내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지원할 수 있는 환자 자동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다. 기존의 종이형 차트를 대신할 수 있으면서, 빠르고 정확한 환자 인식이 가능하고, 기존 EMR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환자의 인식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d)를 사용하였으며, RFID와 시스템의 연동을 통해 자동화 된 환자 인식이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은 테스트 베드에서 테스트하여 기존 종이형 차트에 비해 빠른 진료가 가능함을 실험하였다.

  • PDF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한 건강검진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creening Solution b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25-830
    • /
    • 2015
  • EMR(전자의무기록)이란 일반적으로 진료정보를 서면이 아닌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EMR은 서면작성 시 문제점이던 서류보관, 배열, 공간확보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객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진료를 가능하게 하여 병원측에는 관리비용의 감소 및 업무 효율성 증대를 가져온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1990년대 이후 각 병원 및 의원에서 EMR이 급속도로 도입되며 현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중인 건강검진 시스템의 경우 EMR과 별도로 건강검진에 사용되는 서식지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보관하고 있다. 서면으로 보관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병원에서 사용중인 EMR은 진료기록만을, 건강검진 시스템은 건강검진과 관련된 로직만을 수행하는 각각의 단위프로그램(unit prog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강검진 시스템에서 서면보관이 불가피 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강검진시스템에 EMR 기능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검진 솔루션 운영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환자정보관리 중심- (A Study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Model for EMR 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Focus 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 최준영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실시하는 EMR 인증기준울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에 인증기준을 추가한 모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실습 프로그램은 EMR 인증제의 기능성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정보관리를 실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시스템에 환자정보관리에 대한 인증기준 기능을 추가하였다. 환자정보관리를 위한 EMR 인증기준 실습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었다. 등록번호 및 인적사항 관리, 진료예약 일정관리, 인적사항 수정이력관리, 동명이인 구분자 표시, 다중 등록번호 통합관리,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검색, 진료형태에 따른 환자 검색, 수술시술 동의서 기록·조회, 개인정보활용동의서 기록·조회, 연명의료결정정보 표시, 외부 의료기관문서 등록·조회, 외부 검사결과 등록·조회. 이와 같이 인증기준에 의한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의 기능을 운영하여 실습해봄으로써 인증기준의 기능성 영역에서 환자정보관리의 인증기준과 내역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다. EMR 인증 기준에 맞춰 환자정보관리 실습을 수행해봄으로써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서의 표준화된 환자정보관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EMR 인증기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Secured Different Disciplinaries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based on Watermarking and Consortium Blockchain Technology

  • Mohananthini, N.;Ananth, C.;Parvees, M.Y. Mohame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3호
    • /
    • pp.947-971
    • /
    • 2022
  •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is a valuable source of medical data intelligence in e-health systems. The watermark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authenticate the owner and protect the EMR from illegal copying. The existing distributive strategies, successfully operated to secure the EMR, are found to be inadequate. Blockchain technology, mainly, is employed by a sharing database that allows the digital crypto-currency. It rapidly leads to the magnified expectations acme. In this excitement, the use of consortium adopting the technology based on Blockchain, in the EMR structure, is found improving. This type of consortium adds an immutable share with a translucent record of the entire business and it is accomplished with responsibility, along with faith and transparency. The combination of watermark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provides a singular chance to promote a secured, trustworthy electronic documents administration to share with the e-records system. The authors, in this article, present their views on consortium Blockchain technology which is incorporated in the EMR system. The ledger, use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block structure, has team healthcare models based on dissimilar multiple image watermarking techniques.

우리나라 전자의무기록의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Electronic Medical Record)

  • 최찬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21
    • /
    • 2014
  • The rapi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facilitates the changes of hospital administration, introducing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nstead of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the medical field.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have established EMR system after in the middle of 1970s because the primary advantages of EMR is to store and handle vast amounts of records efficiently and increase the quality of health care. Most of health organizations in Korea also apply medical record system to their administration. As the result, they have accomplished a scientific administr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medical record to handle a variety of patient's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s confidentiality and privacy such as family history, social status, income level, and so on. However, access to and the misuse of EMR causes illegal infringement of patient's information and finally it becomes a very serious medical issue. Potential leakage and misuse of records may seriously infringe patient's privacy rights. In this respect, the related agenc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have been making efforts to prevent patient's records leakages. Especially, the revision bill of Medical Law in 2002 establishes the ways on the security and standards of electronic records. However, it does not provide the proper guidelines which is applied to the rapid changes of the medical environment. One of the most priorities in the hospital administration is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an accurate medical records fulfilled by medical record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health care providers to hire ethical-based medical recorders. But, unfortunately most of hospitals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ll parts including government, physician and patient must have more concerns on the problems related to EM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proper ways to resolve the problems coming from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