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ISA

검색결과 2,975건 처리시간 0.03초

세포에 의한 아메바성 수막뇌염에 대한 피동면역의 전달 (Passive Immunity by Splenocyte Transfer against Amebic Meningoeneephalitis in Mice)

  • 임경일;유재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69-174
    • /
    • 1988
  • Naegleria fowleri로 면역된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입(이입)함으로써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 뇌염의 발생을 방어할 수 있는지 즉 방어면역을 피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무균 배양한 N. fowleri, ITMAP 359 영 양형 7×l04개를 생후 6주된 ICR 마우스에 감염시켰다. 살아있는 N. fowleri 영양형 106개씩을 1주일 간격으로 3회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켰다.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을 적출하여 107개의 비장세포가 함유된 부유액을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키고 3일 후 N, fowleri를 감염시켰다. 비장세포에 Con. A와 lipopolysaccharide(LPS)를 처리한 후 배자발생 정도를 methyl-[3H]-thymid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 fowleri를 감염시킨 마우스의 사망률을 보면 정상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대조군에서 84%, 면역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72%로서, 정상 대조군에서의 사망률 100%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된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LPS를 처리한 비장세포의 배자발생정도는 감염 7일 후 실험대조군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Con. A처리에 의한 배자발생 정도도 감염 7일 후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 12일 후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과 실험대조군에서 높았다.

  • PDF

자돈 설사병 방지를 위한 경구백신용 형질전환 당근 개발 (Development of Transgenic Carrot Oral Vaccine to Protect against Diarrhea of Piglets)

  • 이영선;황철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87-293
    • /
    • 2002
  • 병독성 대장균 (K88ac)의 pilin gene을 분리하여 이를 당근에 도입한 후 이의 발현을 유도하여 자돈 설사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당근경구백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494 세포주를 확립하였고, western분석을 통하여 0.1~4 $\mu\textrm{g}$/g의 pilin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백신식물 생산에 적합한 세포주 2종 (M1-17, Y14-1)을 선발하여 포장생산 및 임상실험에 적용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당근 경구 투여시 병원균 항체 생성 여부와 면역 유도를 위한 최적 농도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1주 간격으로 형질전환 당근 1g, 3g, 5g을 경구투여 한 결과 백신 당근 3g 투여시 10$\mu\textrm{g}$의 재조합 pilin 백신을 경구 투여한 것에 비해 다소 높은 항체 생성을 나타냈으며 3g의 분량이 쥐 면역 유도를 위한 적정량으로 확인하였다. 자돈에 대한 백신당근 경구 투여시 자돈 설사병 보호 효과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분석한 자돈의 일당 증체량은 형질전환 당근 투여시 평균 60g 이상 더 높은 증체량을 보였으며, 질병방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장독성 병원균을 인위 접종한 결과 대조구에서만 fecal score 3의 심각한 설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당근백신은 효율적 투여방법 등에 대한 후속 실험을 통하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탐색될 예정이다.

창원에서 유행한 백일해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rtussis Epidemic in Changwon)

  • 장준원;강진한;최재원;이학성;마상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37-43
    • /
    • 2017
  • 목적: 백일해는 백신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지만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최근 창원 지역에서 발생한 백일해 환자의 역학적인 특징과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는 환자 중 1주 이상의 기침을 하면서 발작적인 기침, 기침 후 구토, 흡기 시 '흡' 소리(whooping), 야간 기침이 동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백일해에 대한 배양, 중합연쇄반응검사를 실시하였고, 혈액의 항백일해 독소 항체검사(anti-pertussis toxin of ELISA kit, IBL International GmbH)를 실시하였다. 기저에 질환이 있거나 최근 1년 안에 DTaP 혹은 Tdap 백신 접종을 한경우에는 제외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대상 환자 50명 중 진단된 환자는 37명이었다. 이 중 중합연쇄반응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2명이었고 혈청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37명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생후 1개월부터 15세였다. 항생제 사용 후 모든 환자가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론: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창원 지역에 백일해의 유행이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발생하는 백일해 역학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Sampling Time for Job Stress Assessment: the Salivary Chromogranin A and Cortisol in Adult Females

  • Hong, Ran-Hi;Yang, Yun-Jung;Kim, Sang-Yon;Lee, Won-Young;Hong, Yeon-Py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4호
    • /
    • pp.231-236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ampling time of the salivary stress markers, chromogranin A (CgA) and cortisol as objective indices of job stress assessment in adult femal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20${\sim}$39-year-old women (13 office workers, 11 sales-service workers, and 11 college students) who were eligible for the study and free of acute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Salivary CgA and cortisol levels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2 $m{\ell}$ each) at 7:00, 8:00, 10:30, 12:00, 17:30, and 22:30 on a typical day. Salivary CgA and cortisol levels, according to sampling time,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using general linear model. The full version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nclude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BMI, was used to access the subjects' job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job stressors identified by the KOSS was performed on salivary CgA and cortisol levels. Results : The salivary CgA level peaked at 7:00 (time of awakening), then decreased and were maintained at a low level throughout the day, and increased slightly at 17:30. The salivary cortisol level increased steeply within the 1st hour after awakening,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 by 12:00, and was then maintained at a low level throughout the day. The salivary cortisol levels of subjects who worked ${\leq}$5 days per week and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were significantly lower at 8:00 (p=0.006). The salivary cortisol levels of non-smoker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7:00 p=0.040) and 8:00 (p=0.003) compared to smok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ivary CgA and cortisol levels at 10:30 and 12:00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n salivary CgA level were significant with interpersonal conflict at 17:30 and job insecurity at 22:30. Regression coefficients on salivary cortisol level were significant with organizational system and total job stressors at 17:30.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sampling times for the salivary stress markers, CgA and cortisol, are at 7:00 (time of awakening), 8:00 (1 hour after awakening), 17:30 (early evening), and 22:30 (before sleep).

$Henoch-Sch\"{o}nlein$ Purpura 신염에서 Interleukin-6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Interleukin-6 in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in Children)

  • 이재승;권민중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2호
    • /
    • pp.130-135
    • /
    • 1997
  • 목적 : Interleukin-6는 광범위한 영역의 조직과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기능 사이토카인으로 사구체 메산지움 세포의 성장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산지움 세포의 증식과 IgA의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IgA 신병증에서 IL-6가 메산지움 세포의 성장 인자임이 입증되었고 요중 IL-6치가 메산지움 증식의 정도나 예후 판정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SP 신염은 병리조직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IgA 신병증과 유사해 HSP 신염에서도 IL-6가 병리 기전에 관여할 것이 예상되므로 HSP 신염 환아에서 IL-6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 환아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HSP 환아 30명과 HSP 신염환아 18명 및 정상 대조군 10명으로 혈청 및 요중 IL-6치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HSP 환아, HSP 신염 환아 및 정상 대조군의 혈청 IL-6치는 각각 $36.03{\pm}87.56pg/ml,\;32.68{\pm}71.59pg/ml,\;3.17{\pm}3.78pg/ml$로 HSP 환아와 HSP 신염 환아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p<0.05), 요중 IL-6치는 HSP 신염 환아에서 $62.23{\pm}73.53pg/ml$로 HSP 환아($9.05{\pm}8.35pg/ml$)와 정상 대조군($5.83{\pm}5.62pg/ml$)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p<0.05). HSP 신염 환아에서 24시간 요단백량과 요중 IL-6치는 24시간 요단백량이 증가할수록 요중 IL-6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중가하였으나며(y=51.923x-45.091, $R^2=0.6185$, p=0.0014), 혈청 IL-6치와 요중 IL-6치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결론 : IL-6는 IgA 신병증에서와 마찬가지로 HSP 신염에서 메산지움 증식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경과나 예후 판정에 유용한 보조 지표가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추후 관찰이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토마토 종자와 식물체로부터의 TMV, ToMV 및 CMV 검출 (Detection of TMV, ToMV, and CMV from Tomato Seeds and Plants)

  • 박경훈;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01-106
    • /
    • 2002
  • 시판중인 18품종의 토마토 종자에 대하여 TMV, ToMV, CMV의 오염률과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TMV와 ToMV는 각각 9품종에서 오염이 확인되었으며, CMV는 3품종에서 바이러스 오염을 확인하였다. TMV는 3.8%로 가장 높은 오염률을 보였고, ToMV는 2.6%, CMV는 1.4%의 오염률을 보였다. 자연적인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공시한 9품종의 토마토종자에서 ToMV는 3품종에서 4.4%, CMV는 4품종에서 2.2%의 종자 전반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MV는 본실험에서는 종자 전반을 확인할 수 없었다. 1999년 10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충청북도 주요 토마토 재배지역에서 TMV, ToMV CMV의 지역별 바이러스 감염률과 병정별 감염률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세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각 지역의 토마토 포장에서는 잎말림, 괴저 및 왜화 등의 다양한 병징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포장에서 잎말림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모자이크 증상과 누렁증상 등의 병징도 많이 관찰되었으며, 로꾸산마루 품종에서 다양한 병징이 관찰되었다. 지역별로는 옥산 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과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 및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TMV와 ToMV 및 CMV의 감염률이 높았으며, ToMV의 감염률은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에서 43.3%로 가장 높았으며, CMV의 감염률은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40.0%로 다른 포장보다 높았다. 병징에 따른 바이러스의 감염률은 누렁증상을 보이는 병징에서 ToMV가 가장 높았고, 괴저 증상을 보이는 잎에서는 CMV가 가장 높았으며, 잎말림 과총생 및 얼룩무늬 등 대부분의 병정에서 ToMV의 감염을 확인하였고, TMV의 감염률은 낮았다. 생육단계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생육초기보다 생육중기와 후기가 바이러스의 오염률이 높았으며, 생육중기와 생육후기의 감염률은 차이가 없었다.

2006~2010년도 국내 노지재배 고추의 바이러스병 발생현황 (Occurrence of Viral Diseases in Field-Cultivated Pepper in Korea from 2006 to 2010)

  • 이장하;홍진성;주호종;박덕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3-131
    • /
    • 2015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고추 노지재배 포장을 대상으로 경상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11개 지역 등 전국에 걸쳐 총 83개 지역을 중심으로 바이러스 이병체를 채집하여 연차별 고추 발생 바이러스의 발병률, 바이러스 종류 및 감염 형태를 조사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고추에서의 평균 단독 감염률은 46.6%, 복합 감염률은 48.0%로 조사되어 고추 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위해요소는 바이러스 발병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별로는 CMV가 평균 34.8% 발병률로 가장 우점 바이러스로 조사되었다. 반면 BBWV2는 낮은 발병율을 보여주었으며, TSWV는 충남과 전남지역에 국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노지재배 시 발생하는 바이러스의 위해도를 발병률에 따라 구분하면 CMV, PMMoV, 그리고 PepMov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복합 감염의 발생도 모든 조사지역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감염 별 바이러스 종류와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복합 감염에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바이러스는 CMV로, CMV+BBWV2, CMV+PepMoV, CMV+PMMoV의 복합 감염형태가 검출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추의 유기농 재배 생산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바이러스의 적절한 대책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바이러스 모니터링과 3종 이상의 복합 감염 위해성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우방자에서 분리한 주름개선 화합물 (Anti-wrinkl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eeds of Arctium lappa L.)

  • 황주영;박태순;김동희;황은영;이정노;이지영;이강태;이건국;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92-10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방자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로 순차용매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해 activity-guided isolation을 수행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실시하였다.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silica gel chromatography (230 mesh), sephadex LH 20, recrystallization method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하였고 arctiin, arctigenin, diarctigenin, matairesinol 으로 동정하였다. 이들을 human dermal fibroblast HS68 세포에 처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은 ELISA kit를 활용하여 procollagen type I 생합성과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procollagen type I 생합성과 MMP-1 저해활성 결과 모두 arctiin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방자에서 분리한 리그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MiR-29a and MiR-140 Protect Chondrocytes against the Anti-Proliferation and Cell Matrix Signaling Changes by IL-1β

  • Li, Xianghui;Zhen, Zhilei;Tang, Guodong;Zheng, Chong;Yang, Guofu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2호
    • /
    • pp.103-110
    • /
    • 2016
  • As a degenerative joint disease, osteoarthritis (OA) constitutes a major cause of disability that serious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a large population of people worldwide. However, effective treatment that can successfully reverse OA progression is lacking until now.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wo small non-coding RNAs miR-29a and miR-140, which a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OA, can be applied together as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OA treatment. MiRNA synergy score was used to screen the miRNA pairs that potentially synergistically regulate OA. An in vitro model of OA was established by treating murine chondrocytes with IL-$1{\beta}$. Transfection of miR-29a and miR-140 via plasmids was investigated on chondrocyte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nine genes such as ADAMTS4, ADAMTS5, ACAN, COL2A1, COL10A1, MMP1, MMP3, MMP13 and 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1 (TIMP1). Western blotting was used to determine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MMP13 and TIMP1, and ELISA was used to detect the content of type II collagen. Combined use of miR-29a and miR-140 successfully reversed the destructive effect of IL-$1{\beta}$ on chondrocyte proliferation, and notably affected the MMP13 and TIMP1 gene expression that regulates extracellular matrix. Although co-transfection of miR-29a and miR-140 did not show a synergistic effect on MMP13 protein expression and type II collagen release, but both of them can significantly suppress the protein abundance of MMP13 and restore the type II collagen release in IL-$1{\beta}$ treated chondrocytes. Compared with single miRNA transfection, cotransfection of both miRNAs exceedingly abrogated the suppressed the protein production of TIMP1 caused by IL-$1{\beta}$, thereby suggesting potent synergistic action. These results provided1novel insights into the important function of miRNAs' collaboration in OA pathological development. The reduced MMP13, and enhanced TIMP1 protein production and type II collagen release also implies that miR-29a and miR-140 combination treatment may be a possible treatment for OA.

전염성 조혈기 괴사 바이러스(IHNV)의 항원 유도 단백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Immunogens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solated in Korea)

  • 박명애;손상규;박정우;정영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2
    • /
    • 1994
  • 우리나라에 존재하며 외국에서 분리된 것과 다른 특성을 보이는 IHNV를 대상으로 하여 이 바이러스의 면역유도단백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4종류의 IHNV를 미국에서 분리된 3종류의 IHNV(OSV, SRCV 및 RB-76)와 SDS-PAGE상에서 구조단백질의 크기와 혈청학적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4종류의 IHNV중 2종류(PRT, MRT)의 IHNV는 미국에서 분리된 IHNV와 차이가 있었으며 (Park et al., 1993), IHNV-PRT를 대상으로 면역유도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IHNV-PRT에 대한 monoclonal antibodies(MAbs)를 만들었다. 이들 중 4종류의 hybridoma를 선택하여 hybridoma cell들이 분비하는 MAbs가 어떤 class인지를 ELISA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4종류 모두 IgG class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만들어진 4종류의 MAbs가 IHNV-PRT 구조단백질들 중 어떤 것에 대한 것인지를 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2종류의 MAbs는 G단백질과 특이성이 있는 것들이었고, 나머지 2종류는 G보다 조금 큰 size의 단백질에 대한 것들이었다. 다음은 IHNV-PRT에 감염된 무지개송어의 혈청을 뽑아 여기에 존재하는 IHNV-PRT에 대한 항체를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G, $M_1$, $M_2$ 및 G 보다 조금 큰 size의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HNV-PRT의 구조단백질들 중 G, $M_1$, $M_2$ 및 G 보다 조금 큰 size의 단백질들이 면역 유도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