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G 5.5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ies on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for Simple Freezing of Hanwoo Embryos (한우 수정란의 간이 동결을 위한 유리화 동결법에 관한 연구)

  • Lee, Hae-Lee;Kim, Sang-Hun;Kim, Yong-Jun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9 no.1
    • /
    • pp.13-19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survival rate of thawed Hanwoo embryos frozen by the slow-rate freezing or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Hanwoo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recovered from ovaries at a slaughter house, matured for 20~22 hours, fertilized with Hanwoo semen for 5~6 hours, and cultured for 7~9 days in $38.5^{\circ}C$, 5% $CO_2$ incubator. For freezing, Day 7~9 blastocysts were collected. Embryos for the slow-rate freezing were equilibrated in 1.8 M ethylene glycol (EG) with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Programmable cell freezer was precooled down to $-7^{\circ}C$, and the straw was seeded during 8 minutes-holding time, and was cooled to $-35^{\circ}C$ at the cooling rate of $0.3^{\circ}C/min$, and then was plunged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Embryos for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treated in TCM199 with 0.5 M sucrose, 16% EG, 16% dimethylsulfoxide (DMSO). Embryos were then loaded individually onto cryotop and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itrogen.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frozen by these two freezing methods were evaluated at 12 to 24h post-thawing.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method ($56.86{\pm}26.53%$)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55.07{\pm}26.4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blastocysts on Day 7 following in-vitro fertilization (IVF) treatment,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Hanwoo embryos were $72.65{\pm}18.3%$ and $79.06{\pm}17.8%$,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by the cryotop vitrif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by the slow-rate freezing on both Day 8 and 9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on Day 9 (p<0.05). Using the cryotop vitrification and the slow-rate freezing of Hanwoo embryos to compare between three different blastocyst stages, the survival rates of the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66.22{\pm}18.8%$ and $45.76{\pm}12.8%$, respectively with higher survival rate by the vitrification method (p<0.05). And the survival rate of expanded blastocysts was higher than those of early blastocysts and blastocysts in two freezing methods with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by the slow-rate freezing method (p<0.05).

A New Efficient Cryopreser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by a Minimum Volume Cooling Method (Minimum Volume Cooling 방법을 이용한 효율높은 인간배아줄기세포동결)

  • Kim, Eun-Young;Park, Sae-Young;Yoon, Ji-Yeon;Ghil, Gwang-Su;Lee, Chang-Hyun;Lee, Gun-Soup;Tae, Jin-Cheol;Kim, Nam-Hyung;Lee, Won-Don;Chung, Kil-Saeng;Park, Se-Pill;Lim,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1 no.1
    • /
    • pp.41-50
    • /
    • 200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인간배아줄기세포 동결에 minimum volume cooling (MVC) 초자화 동결방법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인간배아줄기세포 콜로니는 0.05% collagenase 처리와 기계적 처리에 의해 작은 clumps로 자른 다음 동결 방법에 따른 효율을 비교 검토하고자, i) 대략 40-50개의 clumps를 10% DMSO가 들어있는 동결액에 $5{\sim}10$분간 처리하여 1ml cryo-vial에 넣고 slow-cooling용 cryo-module에 장착하고 -80C에서 overnight한 후 $LN_2$에 침지하여 완만동결을 실시하거나 ii) 10% ethylene glycol (EG)이 들어 있는 동결액에서 5$\sim$10분 처리하고 30% EG과 0.5 mol sucrose가 들어 있는 동결액에서 30초간 처리하여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MVC straw에 10 clumps씩 적재한 다음 $4{\sim}5$ MVC straw를 $LN_2$가 들어있는 cryo-vial에 넣어 MVC 초자화동결을 실시하였다. 융해 후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융해 후,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생존율은 완만동결을 실시했던 군 (20.0%) 보다 MVC 초자화동결을 실시했던 군에서 (76.0%)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회복과정에서 완만동결을 실시했던 군에서는 세포성장이 매우 더디고 안 좋은 반면, MVC 초자화동결을 실시했던 군은 배아줄기세포의 증식이 동결을 실시하지 않은 세포와 같은 상태로 2주 이후부터 빠르게 전환되고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MVC 초자화동결-융해 후 회복된 배아줄기세포에서 정상 핵형, alkaline phosphatase acitivity, SSEA-4와 TRA-1-60 염색 및 Oct-4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체외분화의 특성도 확인하였다. 결 론: 새로이 개발된 MVC 초자화동결을 이용하면 인간배아줄기세포는 고유의 특성을 잃지 않고 성공적으로 동결될 수 있다.

재래돼지 수정란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

  • 연성흠;허태영;강석진;서국현;최선호;이장희;박성재;류일선;김남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2-132
    • /
    • 2003
  • 멸종위험성이 높은 재래돼지를 유전자원으로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내수정란의 동결보존 방법을 수행하였다. 재래돼지의 과배란유기는 altrenogest를 1일 20mg씩 18일 경구투여하고 PMSG 500~l,000IU 근육주사후 80시간에 hCG 500~750IU를 근육주사하였다. 발정이 관찰된 개체는 발정개시후 12시간과 24시간에 자연교배 또는 액상정액을 이용하여 2회씩 수정시켰다. 최종 수정후 5일째에 외과적으로 개복수술하여 FBS가 5% 첨가된 D-PBS 관류액으로 자궁으로부터 수정란을 회수하여 상실기, 배반포기, 확장배반포기의 수정란으로 구분하였다. 회수된 수정란은 FBS가 20% 첨가된 D-PBS의 0.4, 0.8, 1.4M glycerol 항동해제에 각 단계별로 10분씩 평형시킨후 수정란동결기(CL863, Australia)를 이용하여 18$^{\circ}C$부터 -7$^{\circ}C$까지 2$^{\circ}C$/min의 냉각속도와 -7$^{\circ}C$부터 -35$^{\circ}C$까지 0.5$^{\circ}C$/min의 동결속도(실험1), 1$^{\circ}C$/min의 냉각속도와 0.3$^{\circ}C$/min의 동결속도(실험 2)로 동결시켰다. 또한 FBS가 20% 첨가된 D-PBS의 ethylene glyco1(EG) 1.8M의 항동제에 15분간 평형시킨후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시켰다(실험 3). 동결수정란의 융해는 37$^{\circ}C$의 항온수조에서 30초간 실시하였다. 항동해제로 glycerol을 이용한 수정란은 융해후 3가지 농도로 0.3M sucrose, 0.8M glycerol, 0.4M glycerol을 첨가한 D-PBS에 각각 10분씩 단계적으로 정치시킨 다음, 10% FBS 첨가 mNCSU-23으로 3회 세척했다. 항동해제로 EG를 이용한 수정란은 융해후 즉시 D-PBS에 각각 10분간 정치시킨 다음, 10% FBS 첨가 mNCSU-23으로 3회 세척했다. 항동해제가 제거된 수정란은 FBS가 10% 첨가된 mNCSU-23 배양액에서 39$^{\circ}C$, 5% $CO_2$ 배양기에 48시간 배양하면서 생존여부를 판단하였다. 실험 2에서 확장배반포배 수정란이 25.3%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실험 1과 실험 3에서는 수정란의 형태와 관계없이 생존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lycerol 완만동결에서는 확장배반포기 수정란 이상이 보존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나 더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유리화 동결법에 의한 난자의 동결 중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tabilizer, Taxol의 처리 후 배발달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형민;박성은;임정묵;고정재;정미경;차광렬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4-74
    • /
    • 2001
  • 난자 동결방법의 선별은 보다 효과적인 난자은행의 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결융해후의 난자는 방추사와 염색체의 이상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융해후의 배발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화동결법동안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ystem을 안정화시키는 cytoskeleton stabilizer인 taxol을 첨가시킨후 동결시켰을때 생존율과 발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axol을 첨가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첨가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시킨후 5.5 M EG와 1 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정자와 체외수정을 시킨 후 수정된 난자는 modified P1 배약액에 124 h까지 발달율을 관찰하였고, 배양 후 발달된 배반포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4마리의 발정동기화된 recipient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배발달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4세포기 (48 vs. 84.4%), 8세포기 (34% vs. 70.6%), 상실배 (26% vs. 58.6%) 그리고 배반포 발달율은 (24% vs. 58.6%)로 높게 관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ing and

  • PDF

마우스 성숙난자의 유리화동결법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분석

  • 박성은;신태은;김승범;차수경;임정묵;정형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5-75
    • /
    • 2001
  • 유리화 동결법은 동결중 ice crystal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난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유용한 동결방법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물과 인간 난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난자의 경우 동결 융해후 염색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소관인 방추사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염색체 이상성이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숙난자를 유리화동결법에 의해 동결 융해후 난자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성이 증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fresh한 대조군과 동결음해 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 시킨후 5.5 M EG와 1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 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생존된 난자는 tubulin 항체를 이용한 immunostaining 방법으로 방추사의 이상성을 관찰하였고, 염색체는 난자를 고정 후 10% Giemza로 염색 후 염색체의 수적인 이상성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분석결과 염색체 이상 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19.6%, 동결융해군은 32.8%로 관찰되었다. 또 방추사의 이상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20.2%, 동결 융해군은 32.3%로 관찰되어 동결 융해후의 난자에서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 빈도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 PDF

Biological activity of supercritical extraction residue 60% ethanolic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 60% 주정추출물의 생리활성)

  • Mun, Myung-Jae;Park, Kwang-Hyun;Choi, Sun 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29-36
    • /
    • 2018
  • Ulmus davidiana supercritical fluid residue EtOH extracts(USCFR) and ethyl acetate solvent fraction (USCFREA) of supercritical extraction foil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cycling of supercritical extraction foil in the process of studying Ulmus davidiana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 content. The $IC_{50}$ value(ppm)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42{\pm}0.09$, $7.50{\pm}0.05$, $22.94{\pm}0.09$, $6.43{\pm}0.10$, and USCFREA,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vitamin C) with values $17.80{\pm}0.14$ and $5.34{\pm}0.06$,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USCFR and USCFREA were confirmed to be superior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anti-allergic activity studies, both USCFR and USCFREA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anti-allergic activity, and USCFREA showed strong anti-allergic activity even at very low concentrations. Thetotal phenolic contents (ugEG, ugGA; ppm) of USCFR were $134.17{\pm}0.13$, $132.02{\pm}0.24$ and USCFREA were $154.77{\pm}1.05$ and $153.18{\pm}1.10$,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USCFR and USCFREA hold the potential to be considered as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supplements based medicines or functional cosmetics related to chronic inflammatory skin immunity diseases.

Parametric Study on Gloss Property of UV Curable Coated Steel (자외선 코팅 강판의 광택도에 미치는 공정 변수에 대한 연구)

  • Hwang, Dong Seop;Cho, Dong Chul;Yoo, Hye Jin;Kim, Jong Sang;Cheong, In Woo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15 no.3
    • /
    • pp.116-122
    • /
    • 2014
  • This work deals with the effects of different oligomers, monomers, photoinitiators, and steel plates on the variation of gloss for UV coated steel plates at $20^{\circ}$ and $60^{\circ}$ (ASTM D523). The gloss value was more significantly varied with $20^{\circ}$ angle as compared with $60^{\circ}$. No substantial change in gloss was observed for the type of single oligomer; however, the gloss varied with the mixing ratios of oligomers, type and mixing ratio of monomers, type and concentration of photoinitiator, and type of steel plate. The maximum gloss value was observed when the mixing ratio of polyurethane acrylate (UA) to epoxy acrylate (EA) was 70 : 30, the mixing ratio of trimethylolpropantriacrylate (TMPTA) to tetrahydrofurfurylacrylate (THFA) was 5 : 5, the content of the mixed oligomer (UA : EA = 70 : 30) was 90 wt%, respectively. Darocur MBF of liquid type showed better gloss property than the solid type of Irgacure 184, and the gloss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Darocur MBF increased from 1 to 4 wt%. Regarding the type of steel plate, GI steel plate showed better gloss property as compared with EG and primer-coated steel plates. The maximum gloss values of 95 GU and 120 GU, respectively, at $20^{\circ}$ and $60^{\circ}$ angles throughout the parametric study in the absence of leveling agents enhancing the gloss.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ester-imide) Resin for High Temperature Resistant Electrical Insulation (고내열성 전기 절연용 Poly(ester-imide) 수지의 합성 및 물성)

  • Huh, Wansoo;Lee, SangWon;Kim, Jeongyeol;Park, Leesoon;Kim, Soonhak;Haw, JungRim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0 no.5
    • /
    • pp.767-771
    • /
    • 1999
  • Poly(ester-imide)(PEI) for the electrical insulation coating was synthesized and evaluated with one-step method as well as two-step method. For the synthesis of poly(ester-imide), imide repeat unit of N,N'-(4,4'-diphenylmethane) bistrimellitimide(DID) was initially made from trimellitic anhydride(TMA) and methylene dianiline(MDA), followed by the second stage reaction of esterification. One-step reaction was performed by reaction of TMA, MDA, dimethyl terephthalate(DMT), ethylene glycol(EG), and 1,3,5-tris-(2-hydroxy ethyl) isocyanurate(THEIC) in m-cresol solvent at a time. The synthesized poly(ester-imide) was cured with xylene, P-5030K(phenol-formaldehyde resin), TK-8(TDI type blocked polyisocyanate) and tetrapropyltitanate(TPT).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hydroxyl group, amount of DMT, and imide repeat unit played important role for the properties of electrical insulation coating film.

  • PDF

Effect of Culture Condition on Hanwoo Embryonic Developments and Their Sunrival after Vitrification (배양 조건에 따른 한우 수정란의 발달과 초자화 동결 후 수정란의 생존성 비교)

  • Cho, Sang-Rae;Choi, Sun-Ho;Choe, Chang-Yong;Son, Jun-Kyu;Lee, Poong-Yeon;Ko, Yeoung-Kyu;Kim, Hyun-Jong;Yeon, Sung-Heum;Son, Dong-Soo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5 no.3
    • /
    • pp.189-193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cleavage rate and blastocyst yield for each culture condition to enhance tolerance of cryo-preservation of bovine IVF embryo with relatively lower cryo-tolerance compared to in vivo embryo. The cleavage rate and blastocysts yield for CR1aa, IVMD, IVD, CR1aa+10% FBS were 73.2, 69.3, 72.8, 68.5% and 44.1, 30.8, 33.3, 48.0%, respectively. The values did not differ among each treatments without serum. For embryo vitrification, In vivo and In vitro blastocysts were exposed to VS1(10% glycerin, 0.1 M glucose, 0.1 M sucrose, PEG 1%) for 5 min, and VS2 (10% glycerin, 10% EG, 0.2 M glucose, 0.2 M sucrose, PEG 2%) for 5 min and then VS3 (10% glycerin, 30% EG, 0.3 M glucose, 0.3 M sucrose, PEG 3%) for 1 min. The exposed embryos were then loaded into the 0.25 ml plastic straws and then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The straws were held for period of 1 to 2 weeks before thawing. In embryo viability, no differences in blastocyst re-expansion rates were found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embryos. whereas expansion-BL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 vivo-derived embryos (72.7%) when compared to in vitro-derived embryos (51.4%), respectively (P<0.05).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bined use of CRIaa culture medium with vitrification might enhance tolerance of cryopreservation for bovine IVF embryo production.

Relationship between oral environment and halitosis (구강환경과 구취와의 관련성)

  • Lee, Young-Ok;Lee, Tae-Yong;Min, Hee-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9 no.1
    • /
    • pp.125-139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halitosis prevention and establish a device to efficiently eliminate halitosi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litosis. Methods : Oral examination on the Gingival index, CPITN, Tongue Plaque index, and OHI-S as well as halitosis measurement among 293 rural residents. Results : Gingival index was high at mild on female and at moderate on male(p=0.025). Sorting the result by age, mild was 54.1% in the 40s, and moderate was 49.5%, 42.0% and 70.0% each in the 50s, 60s, and the 70s(p=0.005). The need for dental plaque management was 100%. The need for scaling was high with 78.3%, 93.0%, 89.9%, and 9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 The need for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was also high with 32.4%, 47.5%, 48.7% and 6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p=0.050). The highest bad condition for OHI-S was 69.5%, and good being 18.9%, and very bad being 11.6%. For moderate tongue plaque index was 74.4% as the highest.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the slight tongue plague was increased, but in contrast, the moderate and higher tongue plague index was decreased(p=0.010). OG under 50ppm was 61.1% on male and OG over 50ppm was 50.9% on female(p=0.041). In OG over 50ppm, CPITN was 52.1% and 41.9% in scaling and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group(p=0.018). OHI-S, in bad and very bad condition with OG, over 50ppm, was 48.7% and 46.9%(p=0.019). The higher tongue plague index showed significant amount of increase at OG and EG above 50ppm(p=0.006). $NH_3$, as the tongue plaque index increased, the wider range of distribution was shown(p=0.000).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OG. There have been selected age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EG and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s factors affecting on $NH_3$. Conclusions : With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mind, the status of halitosis among rural residents is considered to bare a close relation with oral environments. we have to focus on correct tooth brushing methods and tongue brushing, with using tongue cleaner to remove fur of tongue plaque. Also, in order to analyze exactly the factors of individual halitosis, we need continuous and systematic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