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Environment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9초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Improvement of methods of teaching-learning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neral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mathematics)

  • 표용수;조성진;정진문;심효섭;박동준;차지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83-497
    • /
    • 2007
  •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열 기피현상, 다양한 형태의 대학 입학전형제도, 교육환경의 변화 등으로 대학에서의 교양수학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지도 방안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력 차 해소를 위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을 마련하고, 이공계열 전공영역별 맞춤 교재개발과 함께 효율적인 교양수학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상호 이익을 위한 학습 에이전트 기반의 효율적인 다중 속성 협상 시스템 (An Efficient Multi-Attribute Negotiation System using Learning Agents for Reciprocity)

  • 박상현;양성봉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731-7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상거래에 참여한 구매자와 판매자가 협상을 통하여 서로의 이익을 보장하면서 합의를 도출 할 수 있는 협상 에이전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기존의 협상 에이전트 시스템에 기계 학습을 적용함으로써, 학습 에이전트의 도입이 협상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매자 및 판매자 에이전트는 상품의 다중 속성을 고려하여 협상을 수행하며, 구매자와 판매자의 이익은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학습 가능한 협상 에이전트는 Faratin이 제안한 협상 시스템의 제안 생성(counter offer) 과정에 인공신경망을 통한 점진적 학습 기업을 추가함으로써 협상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점진적 학습기법을 이용한 협상 에이전트 시스템의 경우, 동일한 협상 조건 하에서 상대방 제안과의 유사도(similarity)를 바탕으로 제안을 생성하는 기존의 다른 협상 에이전트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좋은 협상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협상 수행시간에 있어서는 매우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협상 결과 및 협상 수행 시간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기존의 협상 시스템에 비하여 효율적인 협상 능력을 보여 주었다.

고령층 정보화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 김재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7-69
    • /
    • 2017
  • The ability to use and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shows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 elderly suffer difficulties in acquiring information technology due to their aging characteristics, so they can not easily adapt to rapidly changing societies. Therefore,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educate the elderly who are trying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researchers related to the elderly informatization education and the report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igital divide of the government, and identifi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ways to activate the effective education for the ag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activate information education. First,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promotion and professional counseling on the need for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learners.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um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Third, development of customized learning materials. etc. Fourth, Obtain a professional lecturer for the elderly. It is limited to lecturers who have comple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ifth, the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the elderly learners. Sixth, building e-learn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Seventh, to establish a new organization dedicated solely to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hen these parts are realized, it will help elderly peopl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alleviation of solitude and alienation.

컴퓨터지원협동학습 환경 하에서 네트워크 마이닝을 통한 학습자 상호작용연구 (A Study on the e-Learning Communities Interaction Under the CSCL by Using Network Mining)

  • 정남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2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지원협동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학습자, 학습자-온라인교사간 상호작용을 계량화시켜 파악할 수 있는 기법으로서 네크워크 마이닝 기법의 일종인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사회학과 인류학 분야를 중심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이 기법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웹 기반 기업교육 운영 과정에서 생성된 질문방 로그파일을 활용하여 SNA변인 중 하나인 중심도와 학업 성취도 및 팀활동 기여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탐색적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심도는 학업 성취도, 특히 적용 평가 등 고차학습 성취도 및 동료들에 의해 평가된 팀 학습 기여도와 높은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으로서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교수 설계적 함의 및 그 제한성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Performance based on Surveillance Camera Locations

  • Yejin SHIN;Seungwon SEO;Choongwan K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82-1282
    • /
    • 2024
  • Given the widespread use of intelligent surveillance cameras at construction sites, recent studies have introduced vision-based deep learning approaches.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vision-based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to automatically monitor productivity metrics such as activity time and work cycle. However, acquiring a large amount of training data, i.e., videos captured from actual construction sites, is necessary for developing a vision-based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model. Yet, complexities of dynamic working environments and security concerns at construction sites pose limitations on obtaining such videos from various surveillance camera locations. Consequently, this leads to performance degradation in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models, reduc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heavy equipment productivity analysi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ed to conduct sensitivity analysis of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performance based on surveillance camera location, utilizing synthetic videos generated from a game-engine-based virtual environment (Unreal Engine). Various scenarios for surveillance camera placement were devised, considering horizontal distance (20m, 30m, and 50m), vertical height (3m, 6m, and 10m), and horizontal angle (0° for front view, 90° for side view, and 180° for backside view). Performance analysis employed a 3D ResNet-18 model with transfer learning, yielding approximately 90.6% accuracy. Main findings revealed that horizontal distance significantly impacted model performance. Overall accuracy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76.8% for 20m, 60.6% for 30m, and 35.3% for 50m). Particularly, videos with a 20m horizontal distance (close distance) exhibited accuracy above 80% in most scenarios. Moreover, accuracy trends in scenarios varied with vertical height and horizontal angle. At 0° (front view), accuracy mos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height, while accuracy increased at 90° (side view) with increasing height. In addition, limited feature extraction for excavator activity recognition was found at 180° (backside view) due to occlusion of the excavator's bucket and arm.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vision-based recognition models by determining optimal surveillance camera locations at construction sites, utilizing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video super resolution, and establishing large training datasets using synthetic videos generated from game-engine-based virtual environments.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참여적 학습 방식이 '창의적 문제해결' 및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 on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 이선영;김승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201-219
    • /
    • 2023
  • ESG는 지구 위기에 있어 우리가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핵심 사안이다. 최근 ESG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초기 수준에서 ESG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제로 편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위기 극복에 있어서 ESG의 실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실천을 위한 'ESG 교육'에 주목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육을 통해 실천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우선 현직에 있는 초·중·고 교사, 대학 교수, 교육 컨설턴트 등이 함께 참여하여 이전부터 초·중·고에서 실시되고 있었던 「기업가정신교육」을 ESG와 접목하여 'ESG기업가정신교육'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토대로 참여형 학습 기법을 접목하여 현장에서 실행하고 학습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SG 교육프로그램의 핵심 특성 변수로 「ESG기업가정신교육」, 「학생 참여형 수업」, 「팀 기반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과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창의적 문제해결」이 「사회적 가치 인식」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적 가치 인식」사이에서 「학교 분위기」, 「교수자의 열정」이 조절효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프로그램 특성 하위 변수인 「ESG기업가정신교육」, 「학생 참여형 수업」, 「팀 기반 학습」은 「창의적 문제해결」과 「사회적 가치 인식」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고, 「창의적 문제해결」은 「사회적 가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의 열정」이 교육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적 가치 인식 사이에서 조절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중·고로 이어지는 ESG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육 현장에서 바로 접목할 수 있는 콘텐츠·프로그램·학습 방식을 제시하였고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적극적 참여 학습을 접목한 교육이 사회적 가치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교수자의 열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Detecting response patterns of zooplankton to environmental parameters in shallow freshwater wetlands: discovery of the role of macrophytes as microhabitat for epiphytic zooplankton

  • Choi, Jong-Yun;Kim, Seong-Ki;Jeng, Kwang-Seuk;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33-143
    • /
    • 2015
  • Freshwater macrophytes improve the structural heterogeneity of microhabitats in water, often providing an important habitat for zooplankton. Som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verall influence of macrophytes on zooplankton, but the effects of macrophyte in relation to different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e.g., epiphytic and pelagic) have not been intensively studied. We hypothesized that different habitat structures (i.e., macrophyte habitat) would strongly affect zooplankton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zooplankton density and diversity, macrophyte characteristics (dry weight and species number),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40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Patterns i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which extracts information through competitive and adaptive properties. A total of 20 variables (11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9 zooplankton groups) were patterned onto the SOM. Based on a U-matrix, 3 clusters were identified from the model. Zooplankton assemblag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crophyte characteristics (i.e., dry weight and species number). In particular, epiphytic species (i.e.,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exhibited a clear relationship with macrophyte characteristics, while large biomass and greater numbers of macrophyte species supported high zooplankton assemblages. Consequently, habitat heterogeneity in the macrophyte bed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zooplankton distribution, particularly in epiphytic spec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macrophytes are critical for heterogeneity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plant species in wetland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is expected to generate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참여 저해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Hindering Learners' Participation in Cyber Home Study in Elementary Education)

  • 신현정;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5-182
    • /
    • 2013
  • 이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참여율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8가지 잠정적 저해요인(학습동기 및 태도의 문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 컴퓨터 사용의 어려움, 새로운 학습방법의 어려움, 학습설계의 문제, 상호작용의 어려움, 화면설계의 문제, 환경상의 문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참여 저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과 새로운 학습방법의 어려움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에서 참여저해에 대한 영향력은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즉,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과 새로운 학습 방법에 대한 어려움이란 문제가 클수록 사이버가정학습에의 참여를 더욱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삼아 다음과 같은 초등사이버가정학습 참여율을 제고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참여 저해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학습자가 컴퓨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고 컴퓨터가 학습에 유용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사전 컴퓨터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이 학교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이나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지 고려해 초등학생에 맞는 적절한 학습설계를 제공해야 한다.

초·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for Par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Mathematics Education)

  • 이형주;김형식;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13-231
    • /
    • 2021
  •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학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부모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교육 및 자녀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초등학생 학부모 133명, 중·고등학생 학부모 411명에 따른 학부모의 응답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학부모가 수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도 긍정적이고, 학부모의 수학 관련 교육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지는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초등학생 학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초등학생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미래 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및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전문가들이 향후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로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학교육의 확대, 미래 수학학습을 위한 수학 학습 환경의 조성, 수학교육 관련하여 다양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Analysis)

  • 박혜연;손복은;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21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본격 활용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유연한 학습 환경 구축의 방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에듀테크가 수학 교과에서 활용되기 위하여 그 현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에듀테크 현황 및 활용 동향을 확인하며, 수학교과에서 활용되는 에듀테크 플랫폼의 기능과 그 역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듀테크 플랫폼은 위계적 학문인 수학교육에서 학습자 개별 맞춤 학습에 유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나아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추구하고 있었다. 또한 각 수업 단계에 맞는 활동 및 평가가 가능하여 교사의 업무경감 및 학습관리와 역량 강화 수업 등에 유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 및 학생의 개별 맞춤형 학습 지원 활용 방안이 함께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