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ing alon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고독사와 건강불평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Examination of Health Inequality among Dying Alone Cases)

  • 김혜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11-318
    • /
    • 2019
  • 고독사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주목하는 사회문제 중의 하나이다. 고독사의 대부분의 사례가 사회취약계층으로 건강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임종을 홀로 맞는 등 이들의 건강불평등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를 활용하여 고독사 사례의 건강불평등 문제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질적 접근인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3년간 신문에 보도된 89사례를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고독사 사례의 특성, 질환이나 건강문제의 유형, 그리고 의료서비스 미충족 등의 영역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독사 예방에서 보건의료 영역과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 제공 체계 간의 협력과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s of Dying Well,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Preferences for Advance Directives among Elderly Living Alone

  • Ryu, Eun-Jin;Choi, So-E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4호
    • /
    • pp.241-25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wareness of dying well, as well as attitudes and preferenc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Ds), among elderly individuals who lived alon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73 elderly people living alon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9 to September 2019 using questionnaires on perceptions of dying well,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68.2%) stated that they had never heard of advance directives. The information they requested to include in their advance directives mostly involved decisions on pain treatment, such as the use of analgesic drugs in the final stages of a terminal disease. Perceptions of dying we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attitudes and preferences of elderly living alon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systematic and active use of advance directives.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자 돌봄 경험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 설은미;고진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0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Method : Eleven critical care nurses with experience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four tertiary hospitals.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November 2016 and March 2017.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identify major themes and sub-themes that represented the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Results : The following six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identified: (1) the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2) a distorted meaning of death, (3) repeated emotional pain and stress, (4) finding a solution alone, (5) sublimation into mission and calling, and (6) integration into one's own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critical care nurses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le caring for dying patients, and they made efforts on their own to overcome them.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to support critical care nurses to tackle these challenges, create guidelines on caring for dying patients, and help promote death education.

Implementa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Ji-Hoon Lee;Gyung-Hwan Kim;Myeong-Chul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39-46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가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노령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신체, 정신적 어려움이 발생하고 고독사하는 노인들의 수가 증가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독거노인 관리를 위한 정부 인력은 한정되어 독거노인의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복대형 웨어러블 기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기는 복대에 내장된 아두이노 기반의 센서를 통해 근전도, 심전도 및 체온 정보를 원격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웹 환경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적은 관리 인력으로 다수의 대상자를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독거노인의 거주 환경에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반 복대를 이용한 저가형 모델로 보급의 효율성을 가진다. 연구의 결과물은 독거노인의 고독사 상황을 사전에 감지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즉각적인 대처를 통해 독거노인의 안전 및 복지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염료폐수의 처리기술 연구 (A Study on the Dye Wastewater Treatment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

  • 강태희;오병수;박세준;강민구;김종성;강준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7-273
    • /
    • 2005
  • Dye wastewater generally contains strong color and non-biodegradable materials. Therefore, the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can hardly meet the regulation of wastewater effluent water. In this study, a pilot plant of the conventional process followed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 was set up to treat the dying wastewater. The treatment efficiencies on the various candidate processes, such as ozone alone, UV alone, ozone/UV, $ozone/H_2O_2$, $H_2O_2/UV$ and $ozone/UV/H_2O_2$, were investigated in the various ozone and $H_2O_2$ doses. As the results, the $ozone/H_2O_2$ process, among the tested processe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for removing color and $COD_{Cr}$. For color removal, the ozone alone process was enough without combining UV or $H_2O_2$. No significantly enhanced efficiency for removing color and $COD_{Cr}$ by UV irradiation was observed because of the very low transmittance of UV light in dye wastewater.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

아동이 지각한 스트레스 사건,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 빈도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 (A Study on the stressor, frequency of the stressor,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 신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4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ressor, frequency of the stressor,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in Korea. The subject were 417 children of 80 second graders, 117 third graders, 111 fourth graders and 109 fifth graders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Pusan(214 male and 203 femal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70-item stress scale for children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used for mother.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OVA, and t-tes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vents receiving the highest ratings for magnitude of badness were mainly family related (parents separating; gradd parents getting sick/dying; parents getting sick). 2. Events receiving the highest ratings for frequency of occurrence were test, fighting with siblings, being picked on by other kids, staying home alone. 3. There appear signigcant differences for children's perception of stress due to the grade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 PDF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 허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241-2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서 이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 남성 8명이다. 의도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포커스 집단 면담과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쪽방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4가지 구성요소는 <마음 둘 곳 없어 외로운 신세: 아들, 남편, 아비구실 못해 가족을 지우고 살아옴, 몸은 머물지만 정들지 않는 쪽방 살이, 하루짜리 술친구에 머무는 사귐, 외로움을 안고가기>,<인색한 지원에 근근이 살아감: 쪽방처럼 사방이 막힌 인생살이에 우울함, 수급자라 휘둘리고 무시 받아 속상함>,<편견과 차별에 주눅 드는 삶: 아쉬워도 손 벌리지 못함, 가족을 꾸리지 못해 후회되고 냉대 받음, 다가가지 못하는 바깥세상 >,<사람노릇하며 살다가기: 홀로의 삶을 건사하여 독립을 유지하려함, 빚 갚는 마음으로 도움주기, 하릴없이 보내는 나날이 고역이라 일을 하고 싶음, 쪽방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기, 어른도리 하기, 마음을 다스려 현재의 삶을 수용함, 폐가 되지 않을 죽음을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Hospital-based Study of Endometrial Cancer Survival in Mumbai, India

  • Balasubramaniam, Ganesh;Sushama, S.;Rasika, B.;Mahantshetty, 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977-980
    • /
    • 2013
  • Background: Endometrial cancer is common in western women, and the rates are very high; however in India, the rates are as low as 4.3 per 100,000 (Delhi). Objective: To estimate the survival of endometrial cancer patients based on age, education, family history, tobacco habit, number of pregnancies, clinical extent of disease and treatment received.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Tata Memorial Hospital (TMH), Mumbai, India, between 1999-2002. 310 cases treated in TMH were considered as eligible entrants for the study. Five-year survival rates were estimated using actuarial and loss-adjusted (LAR) methods. Results: The proportions of patients dying above 50 years of age, non-residents and illiterates wa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54.8% of patients had some form of treatment before attending TMH. There were only 4.2% tobacco-chewers and only 6.1% had a family history of cancer. There were 25.8% who had 3-5 pregnancies (not living children) and 38.1% did not remember the pregnancy history.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92%. The five-year rates indicated better prognosis for those aged less than 50 years (97%), non-tobacco-chewers (94%), with no family history of cancer (93%), with localized disease (93%) and those treated with surgery either alone or as a combination treatment (95%).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endometrial cancer patients with localized disease at diagnosis have a good outcome in India. A detailed study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prognostic indicators for survival especially with the newer treatment technologies now available.

음성, 영상, 먼지 센서를 활용한 1인 가구 이상 행동 패턴 탐지 (Abnormal Behavior Pattern Identifications of One-person Households using Audio, Vision, and Dust Sensors)

  • 김시원;안준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5-103
    • /
    • 2019
  • 최근 1인 가구가 다양한 연령대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무연고자의 사망도 점차 증가한다. 1인 가구의 무연고사의 경우 주위에 돌봐줄 사람이 없어 많이 발생하며 최근에는 노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한다. 우리는 혼자 사는 사람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자 홈 CCTV를 이용한 영상 패턴 알고리즘과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패턴 알고리즘, 움직임 및 요리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탐지하는 센서로 먼지 패턴 알고리즘을 연구 및 개발하였다. 개별적으로 제안된 패턴 알고리즘은 탐지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개별 패턴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융합 방식을 연구했으며, 다수의 사용자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