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ers

검색결과 2,349건 처리시간 0.028초

고령운전자의 상황적응능력과 만성질환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riving situational adaptability and chronic disease on driving behavior of elderly drivers)

  • 박선진;이순철;장혜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2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지나친 조심운전 뿐만 아니라 고령운전자가 경험하고 있는 만성질환과 만성질환으로 인한 약의 복용 여부가 사고위험성 증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운전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 65세 이상의 고령운전자 91명에게 자기운전능력평가지와 운전경험조사지를 실시하였다. 고령운전자의 운전패턴을 살펴 본 결과, 고령운전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운전속도와 운전양이 감소하였다. 운전상황적응능력은 사회적 적응환경과 물리적 적응환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령운전자는 사회적 적응환경보다 물리적 적응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더 높은 수준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상황적응능력은 가해사고, 피해사고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고령운전자의 지나친 조심성이 교통사고경험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만성질환이 고령운전자의 가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경계질환이나 위염이 있는 운전자가 더 많은 가해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으로 인해 약을 복용하고 있는 고령운전자의 대다수는 복용하고 있는 약이 운전에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준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약을 복용하고 있는 기간에도 운전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반화선형모형과 헤크먼모형을 활용한 성별 자동차사고 위험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ccident Risk using Generalized Linear and Heckman Methods)

  • 김대환;박화규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147-157
    • /
    • 2014
  • 최근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지위가 상승함에 따라 여성운전자도 급격히 증가해왔다. 이에 주요국에서는 성별 자동차사고 위험도를 분석하고, 성별 위험도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든 운전자 중 50만 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성별 자동차사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로 사고심도와 사고빈도를 활용하였는데, 사고심도 변수에는 헤크먼모형(Heckman Method)을, 사고빈도 변수에는 일반화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ethod)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은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피해액이 여성보다 8.3%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반대로 사고빈도의 경우에는 여성의 위험도를 1로 설정할 경우 남성의 위험도는 0.88로 남성의 위험도가 오히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성별로 상이한 자동차사고 위험도의 원인이 규명된다면 좀 더 실효성 높은 정책을 통해 자동차사고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Safety belt effectiveness versus crash types

  • Park, S.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5
    • /
    • 1994
  • Based on Fatal Accident Reporting System (FARS) data, safety belt effect- tiveness in preventing fatalities is investigated for the following five types of crashes: frontal, left, rear, right, and rollover. Passenger cars containing two occupants, a driver and a right front passenger, are included in this analysis. For each crash type, these cars containing the two occupant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afety belt usage categories for the two front seat occupants, namely, both belted, both unbelted, and either one was belted but not both. Relative risks of driver and right front passenger fatalities are compared among these four cases. For each crash type, two independent estimates of safety belt effectiveness are obtained for drivers and for right front passengers. The weighted average of the two estimates is calculated for drivers and for right front passengers for the five crash types. Using FARS data starting 1978 throught 1983, safety belts are more effective in rollover accidents than in frontal collisions. In rollover accidents, safety belt effectiveness estimate for drivers is $68%{\pm} 6% $ and that for right front passengers is $71%{\pm}6% $ , in which the error limits indicate one standard error. Sfety belt effectiveness estimates for drivers and right front passengers involved in frontal collisions are $41%{\pm} 9% $ and $37%{\pm} 10% $ , respectively. For left and right sided collisions and for both drivers and right-front-passengers, none of the four estimat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0%, statistically : however, when left and right sided collisions are combined with far sided occupants(drivers involved in right sided collisions and right front passengers involved in left sided collisions) safety belt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38%{\pm} 12% $ . For rear collisions, the estimate for driver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60%{\pm}23% $ . while for right-front-passengers the estimat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0%. These results show that a safety belt is an effective restraint system not only in frontal crashes but also in a variety of crashes.

  • PDF

교통정보 제공 매체별 이용자 만족도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Model by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Media)

  • 홍지연;이수범;임준범;김장욱;강원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9-117
    • /
    • 2010
  • 첨단교통정보제공시스템(ATIS)분야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가변전광표지(VMS), 인터넷, 교통방송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정보제공매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주어진 교통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도로 이용자들이 목적지까지의 통행함에 있어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는 시간적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심리나 정서적인 부분, 즉 교통정보를 제공받음으로 인한 불안감 해소와 같은 심리적인 부분에서도 상당한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교통정보의 효용성을 평가하고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의 정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교통정보 제공 매체별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각 매체별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정도가 조금씩 다르나,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운전자들이 교통정보를 보고 그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감이나 경로선택 및 변경에 도움이 있었는지에 여부를 나타내는 효율성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사업용 운전자를 위한 상황인식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ituation Awareness Tests for Commercial Drivers)

  • 이경수;강의진;박상혁;정혜승;이용찬;손영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5-37
    • /
    • 2011
  • 본 연구는 사업용 운전자들의 상황인식 능력이 사고 유발 회수나 심각성, 벌점 등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황인식의 지각 단계와 이해 단계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상황지각 검사와 위험판단 검사를 제작하고, 운전정밀 특별검사 대상자인 사업용 운전자 228명에게 새로 개발된 시뮬레이터 기기를 이용하여 상황지각 검사와 위험판단 검사를 시행하였다. 개발된 과제의 수행 결과는 최종 5등급으로 판정이 내려지도록 설계되었는데 가장 수행이 좋은 경우 1등급, 수행이 나쁜 경우 5등급 판정을 받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지각 검사에서의 저조한 등급은 누산벌점과 사고 다발도, 안전도 지수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위험판단 검사의 등급은 사고 다발도와 안전도 지수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는 사업용 운전자들의 상황인식 능력이 법규위반 및 사고 유발 경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운전자 사고취약 도로형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nalysis of the Vulnerable Roadway Designs for Elderly Drivers and Its Improvement Schemes)

  • 김상옥;장일준;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62-172
    • /
    • 2009
  • 최근 급속한 고령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고령운전자의 저하된 운전행태를 수용할 수 있는 도로환경 개선에 대한 노력이 시급하나 아직까지 고령운전자의 사고취약 도로형태에 대한 통계도 집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청 사고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운전자가 사고에 취약한 도로형태 및 취약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고령운전자 사고취약 도로형태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고령운전자는 비고령운전자 대비 교차로 사고, 곡선로에서의 차대차 사고 발생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곡선로 상 차대차 사고는 두 집단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도 고령운전자 사고취약 도로 형태에 포함시켜 램프 부근에서의 사고감소방안을 살펴보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itness and Break Response in Elderly Drivers: Comparison with Young Driver

  • Kim, Ga Eun;Choi, Ye Eun;Yang, Su Seong;Kim, Sun A;Bae, Young Soo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0권5호
    • /
    • pp.187-19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functional fitness and brake response of elderly and young drivers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fitness and brake response.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observational design. Older drivers (>65age, n=21) and young adult drivers (20-40aged, n=20) were enrolled as subjects. The functional fitness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using a senior fitness test consisting of a back scratch (BS), chair sit and reach (CSR), arm curl (AC), chair stand up (CSU), foot up and go (8-FUG), and 2-minute step (2-MS). The brake response used the virtual driving simulator to measure the brake reaction time (BRT) and braking distance (BD) according to the pedestrian protection and traffic signal compliance. Results: The older drivers had a lower BS (p<0.000), CSU (p=0.040), and 8-FUG (p=0.011) than the young adult drivers. BS and 8-FU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RT and BD of pedestrian protection and traffic signal compliance. CSU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RT of pedestrian protection and traffic signal complianc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lexibility of the upper extremity, lower extremity strength, and agility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driving performance of elderly drivers.

퍼지집합이론을 이용한 야간 도로 시인성 평가 (An Analysis of Driver Perception of Nighttime Visibility Using Fuzzy Set Theory)

  • 이동민;윤천주;김영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57-66
    • /
    • 2015
  • PURPOSES: Nighttime driving is very different from daytime driving because drivers must obtain nighttime sight-distances based on road lights and headlights. Unfortunatel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in Korea are far from ideal due to poor lighting and an insufficient number of road lights and inadequat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delineato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velop new standards for nighttime road visibility based on experiments of driver perception for nighttime visibility conditions. METHODS : In the study, perception level and satisfaction of nighttime visibility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60 drivers participated, including 34 older drivers and 31 young drivers. To evaluate driver perceptions of nighttime road visibility, fuzzy set theory was used because the conventional analysis methods for driver perception are limited in effectiveness f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which are subjective and vague, and are generally expressed in terms of linguistic terminologies rather than numerical parameters. RESULTS : This study found that levels of nighttime visibility, as perceived by drivers, are remarkably similar to their satisfactions in different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with a log-function relationship. Older drivers evaluated unambiguously degree of nighttime visibility but evaluations by young drivers regarding it were unclear. CONCLUSIONS : A minimum value of brightness on roads was established as YUX 30, based on final analyzed results. In other words, road lights should be installed and operated to obtain more than YUX 30 brightness for the safety and comfort of nighttime driving.

고령운전자를 고려한 도시부 교차로 기하구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Higher Accident Rates for Older Drivers at Specific Urban Intersection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oad Geometry)

  • 정상민;최재성;이종학;이현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53-165
    • /
    • 2017
  • PURPOSES :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lder drivers in an aging societ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research and planning on traffic safety for the older drivers using an improved road geometry design. This study also proposed a modified urban road interchange design, which aims to keep the older drivers away from accident-prone and high-traffic areas of the city. METHODS : In this study, we examined accident data records of older drivers to identify accident-prone zones and intersections; we studied the road geometry at these zones and analyzed if it was an underlying cause for higher number of accidents. Based on the research and subsequent analysis, we suggested plans for improvement of road geometry design at these intersections. RESULTS :By studying historic data and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the likelihood of accidents of vehicles driven by older drivers and after studying suitabl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we identified the major variables that need to be modified at accident-prone intersections, such as the width of a left turn lane at an intersection and the radius of the right turn lane at a street corner. The results have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less than 0.001 and a 95% confidence level. To improve safety at the identified intersection, this study suggests the installation of a left-turn-lane-shaped Positive Offset and a right-turn-lane-shaped Slip Lane concept and an adjustment of intervals between intersections.

성격과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고경험 기관사와 무사고 기관사의 비교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Personality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e Comparison between Accidents-laden and Accidents-free Train Drivers)

  • 신택현;송성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42-451
    • /
    • 2011
  • 본 연구는 철도기관사를 대상으로 성격특성 요인인 자기효능감, 내적통제위치, 그리고 조직기반 자긍심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사고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현직기관사 212명의 설문에 대해 통계분석을 행한 결과, 무사고 기관사의 경우 성격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무만족을 높이거나 낮추는 유의한 조절작용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이는 사고경험자와 무사고자 간에 성격요인이 일정한 설명력을 지니는 판별변수라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기관사의 선발과정에서 성격요인의 철저한 검증이 그만큼 중요함을 시사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