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ssing Yield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초

재식거리와 추비 시용량이 Burley 21과 KB 101의 수량과 단백질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SPACING AUD AMOUNT OF SIDE DRESSING ON THE YIELD AND PROTEIN PATTERN IN BURLEY 21 AND KB 101)

  • 김용규;김상범;김대송;류점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6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t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spacing and amount of side dressing on the yield, quality and protein pattern in burley 21 and KB 101.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Yield and alkaloid content are increased In high plant population and side dressing. 2 . Quality is not affected by plant population and side dressing. 3 . Nitrogen content is decreased by late growing stage. 4. The bands of burley 21 seed are fewer than KB 101 seed bands in protein pattern. 5. In protein pattern, the bands of KB 101s leave are thicker than that of burley21s leave between 18,000∼14,000 of molecular weight.

  • PDF

질소시비수준과 시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s and Treatmen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 권병선;박희진;성낙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3-418
    • /
    • 1992
  • 질소시비수준과 추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비량과, 추비 횟수가 증가할수록 초장, 엽수, 주당경수, 정립비율, 1$\ell$중, 100립중, 10a당 종실중의 수량형질은 질소 14kg / 10a의 적은 량을 기비로 40%, 1차 추비로 30%, 2차 추비로 20%, 그리고 3차로 10%를 시용했거나 180kg / 10a의 많은 량을 전량기비로 시용했을 때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분산분석에서도 시비량간, 시비방법간, 시비량과 시비방법간의 교호작용에서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질소의 추비기 및 추비방법이 소맥의 수량 및 수량요인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nfluence of the Time of Nitrogen Top-dressing and Top dressing Method to the Yields and the Various Factors concerned with Yields in Wheat)

  • 조재영;이동우;조장환;홍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15
    • /
    • 1969
  • 다수확 비료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추비기 및 추비바업이 소맥의 수량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비구는 보비구에 비하여 수수 1수립수 및 수량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저온 건조한 기상조건으로 말미암아 비료의 흡수 소화가 원활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2.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토양시비 한 것은 6~7% 감소되었다. 3.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요소엽면산포한 것은 4~6% 증수하였으며 1수립수와 천립중이 증대되었다. 4. 추비시기는 3월중하순이 가장 증수되었다. 유효경비율과 수중이 훨씬 크고 간장, 수장, 수수, 1수립수 및 천립중도 약간 컸다.

  • PDF

일품벼 도정 및 쌀 품질 향상을 위한 분시비율 개선연구 (Improving Grain Quality by Controlling Top Dressing of Nitrogen Application Ratio)

  • 원종건;안덕종;김세종;최충돈;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47-52
    • /
    • 2008
  • 일품벼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분상질미를 경감시켜 외관상 품위 및 도정수율을 향상시키고, 쌀의 단백질 함량을 줄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배방법을 개발코자 질소 분시비율을 조정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고 분얼기의 경수는 기비와 분얼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엽면적지수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기의 경수 및 엽면적 지수 등은 수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대체로 수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수장, 영화수, 백미 수량 등은 수비 시비량의 증감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3. 쌀의 이화학적 특징은 단백질 함량이 수비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아졌고, 특히 분상질미, 피해립이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아져 완전미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따라서 쌀의 외관상 품위 및 도정 특성은 총질소 시비량이 동일할 경우 수비의 시비량을 50% 감비하여 시용한 구에서 향상되었으며, 완전미 수량도 높았다.

맥후작(麥後作) 황도(黃芩)의 시비량(施肥量)에 따른 수량성(收量性) (Effect of Fertilizer Levels on Dry Root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Cultivated after Barley)

  • 박규철;권병선;박홍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4-317
    • /
    • 1997
  •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시 적정(直播栽培時 適定) 시비량(施肥量)을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無肥區)$(N-P_2O_5-K_2O\;=\;0\;-\;0\;-\;0kg/10a)$의 개화기(開花期) 7월(月) 20일(日)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7월(月) 21일(日)${\sim}$23일(日)로 $1{\sim}2$일(日) 늦게 개화(開花)하였다. 2. 생육형질(生育形質)인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생경엽중(生莖葉重), 건경엽동(乾莖葉重)은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 양호(良好)하였으나 다비구(多肥區)$(N-P_2O_5-K_2O\;=\;12-18-12kg/10a)$ 3. 수량형질(收量形質)인 건근중(乾根重)은 무비구(無肥區)보다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양호(良好)하였으나 그 중에서 중비구(中肥區)$(N-P_2O_5-K_2O\;=\;9-13.5-9kg/10a)$에서 10a당 건근중(乾根重)이 178kg으로 무비구(無肥區)의 126kg에 비(比)하여 41%가 증수(增收)되었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N-P_2O_5-K_2O\;=\;6-9-6kg/10a)$의 167kg에 비해서는 7%가 증수(增收)되었다.

  • PDF

N Top-Dressing and Rice Straw Application for Low-Input Cultivation of Transplanted Rice in Japan

  • Cho, Y.S.;Kobata, T.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3-278
    • /
    • 2002
  • An efficient low-input system (LIS) for fertiliser use in rice cultivation is necessary to reduce fossil energy use and pollution. Japanese people like Japonica rice, especially cv. Koshihikari. However, it has very low lodging resistance in Japanese weather condition. Our objective was to develop a LIS with the minimum sacrifice of grain yield in rice. Koshihikari was grown using conventional fertilization as a control (CON) with 4 g N $m^{-2}$., 8g $P_2$ $O_{5}$ $m^{-2}$ and 8 g $K_2$O $m^{-2}$ as a basal fertilizer dressing. It was compared with a low fertilizer treatment (LF) with only 4 g $P_2$ $O_{5}$ $m^{-2}$ as a basal dressing in the first year and no basal phosphorus fertilizer in the second year. Chopped rice straw was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the cropping season in both years. Fertilizer of 4 g N $m^{-2}$ was top-dressed at 15 days before heading in CON plots and 30 days before heading in LF plots in both years. Lodging was significantly less in LF than in CON plots, however, no rice straw effect was found in low fertilized condition. Grain yields in LF plots were reduced by 15-16% below those of CON plots. Lower yields in LF plots were associated with a reduced number of spikelets per unit area. However, big spikelet size was acquired in LF by 10 days earlier N top dressing than CON plots. A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pikelet numbers and N content of the plant at heading, and between grain yield or shoot dry weight and N content of the plant at maturity. Regardless of the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s, N use efficiency for the number of spikelets, final total dry matter and grain yield was essentially identical among fertilizer treatments. The reduced growth and yield in the LF plots resulted from low absorption of nitrogen. Conclusively, LIS can drastically reduce chemical fertilizer use and facilitate harvest operations by reducing lodging with some yield reduction..

수년간 질소, 인산 및 가리를 시용하지 않은 답토양에서 그들의 수비가 수도의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 $P_{2}O_{5}$ and $K_{2}O$ Top Dressing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Plants in Differently Fertilized Soil)

  • 이석순;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30
    • /
    • 1980
  • 수도에 대한 질소, 인산, 가리의 수비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5년간 무비구와 인산과 가리를 시용한 무질소구에서 수비로 질소 0, 1.2, 2.4, 3.6kg/10a의 4수준으로 시용하고 또 5년간 질소와 가리를 시용한 무인산구에서는인산을, 질소와 인산을 시용한 무가리구에서는 가리를 수비로 각각 0, 4, 8, 12kg/10a의 4수준으로 시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무비구와 무질소구에서 질소를 기비로 시용한 무인산구, 무가리구, 3요소구에서 보다 7 일간 늦었으나 무비구와 무질소구에서는 질소의 수비량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출수가 1~4일 늦었다. 인산과 가리는 기비나 수비로 시용하여도 출수기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2. 무비구에서는 질소의 수비량이 증가할수록 등숙비율과 천입중은 감소경향이지만 주당수수와 1 수영화수가 모두 증가하여 질소 수비량이 2.4kg/10a 까지는 정조수량이 증가하였다. 무질소구에서는 질소수비량이 증가하면 주당수수는 증가하나 1 수영화수 는 차이가 없고 등숙비율과 천입중이 감소경향이어서 수양은 질소 수비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3. 간장은 무비구와 무질소구에서 질소수비량이 증가할수록 커졌으나 질소를 기비로 시용한 3요소구에서 간장은 질소 수비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유효기비율은 무비구와 무질소구에서 질소수비량이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제 1 차최고분벽기의 분벽수를 기준으로 하면 최고 130%까지 증가하였다. 5. 무인산구에서 인산의 수비시용과 무가리구에서 가리의 수비시용은 수량과 기지 조사형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질소(窒素)의 만기추비(晩期追肥)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r Stages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Rice)

  • 한문갑;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4-182
    • /
    • 1985
  • 우리나라 수도재배상(水稻栽培上) 중요(重要)한 과제(課題)의 하나인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면서 다수확(多收穫)을 기(期)할 목적(目的)으로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질소추비(窒素追肥)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자 실험(實驗)한 바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질소(窒素) 증시(增施)에 의해서 엽면적(葉面績)과 순동화율(純同化率)이 향상(向上)되고 많은 영화수(穎花數)가 확보(確保)되었다. 2 질소(窒素)의 생육후기(生育後期) 중점시용(重點施用)은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와 결실기(結實期)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높였으며 분얼(分蘖)의 유효화(有效化)및 생산기관(生産器官) 대(對) 비생산기관(非生産器官) 비율(比率)을 크게 만들어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는데 기여(寄與)하였다. 3. 수도(水稻) 다수확재배(多收穫栽培)에서 질소(窒素)의 생육후기중점시용(生育後期重點施用)은 내파성(耐把性) 품종(品種)의 재배(栽培)및 지력배양(地力培養)과 함께 유효(有效)한 방법(方法)이었다.

  • PDF

춘파초지조성시 질소 및 가리의 분시방밥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 Nitrogen and Potassium on th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Spring sowing Pasture)

  • 이혁호;박근제;정연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0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_2O_5:K_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복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84년 3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이나 관리시(管理時)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 대차(大差)없었다. 2.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N=160, $P_2O_5=200$$K_2O=140kg/ha$ 시용(施用)한 처리(處理)가 4,854kg/ha로서 보비(普肥)에 비(比)해 16% 증수(增收)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3.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총(總)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 증시(增施)한 구(區)가 보비(普肥)에 비(比)해 23%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3%, 가을다비(多肥)는 9% 감소(減少)되었다. 4. 야초(野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조성시(造成時)의 기비수준(基肥水準)에는 대차(大差)없었으나 분시방법(分施方法)에서는 봄 다비(多肥)에 비(比)해 균등분시(均等分施)는 6% 감소(減少)되었고 가을 다비구(多肥區)는 11% 증가(增加)되었다. 5.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에 있어서 조성시(造成時)의 다비(多肥)는 보비(普肥)에 비(比)해 화본과(禾本科)는 증가(增加)되었고 두과(荳科)는 감소(減少)되었으며 분시방법(分施方法)에 있어서는 균등분시(均等分施)가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하였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의 목초(牧草) 정착(定着)을 위(爲)한 기비량(基肥量)은 N : 160, $P_2O_5$ : 200 및 $K_2O$ : 140kg/ha가 수량(收量) 및 식생유지면(植生維持面)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시방법(分施方法)은 균등분시(均等分施)가 좋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추비량(加里追肥量)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 of Potassium Application Time on Rice Plant under The Limed Condition)

  • 오왕근;김태순;한강완;박찬호;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1-151
    • /
    • 1979
  •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加里)의 기추비량(基追肥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기 위(爲)하여 갈색(褐色) plastic pot에 수도(水稻) 밀양(密陽)21호(號)를 심어서 시기별(時期別)로 생육(生育) 상황(狀況)을 관찰 조사하는 동시(同時), 토양(土壤)과 식물체(植物體)를 분석(分析)하고 또 식물체(植物體)의 건물중(乾物重) (정조중포함(正租重包含))을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무석회집구(無石灰集區)에서 보나 석회집구(石灰集區)에서 영양생육(營養生育)이 양호(良好)한 편이였으며 가리(加里)가 기추비(基追肥)로 분시(分施)되었을 경우 후자(后者)에서 정조(正租) 수량(收量)이 높았다. 2. 무가리구(無加里區)에서는 이앙(移秧) 약(約)20일후(日后)까지 생육(生育)이나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이 타구(他區)와 비슷했으나 그 이후(以后)에 차이(差異)가 크게 벌어져서 수확기(收穫期)에 가서는 타구(他區)의 몇분의 1에 불과(不過)하였고 정조수량(正租收量)도 매우 적어졌다. 이 경향(傾向)은 석회집구(石灰集區)에서 더 심(甚) 하였다. 3. 무석회집구(無石灰集區)에서는 가리(加里)의 기비량(基肥量)이 많을수록 증수(增收)하여 전량(全量)을 기비(基肥)로 했을 때 최다정조(最多正租) 수량(收量)이 되었는데 석회집구(石灰集區)에서는 가리(加里)의 기비량(基肥量)이 $\frac{2}{3}$이상(以上)이 되고 추비량(追肥量)이 줄면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 가서 식물체(植物體)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낮아지고 분벽자당(分蘗子當) 생산능력(生産能力)이 떨어져서 저수(低收)가 되었다. 특(特)히 추비(追肥)없이 전량(全量)을 기비(基肥)로 했을 때는 더 심(甚)하여 무가리구(無加里區) 정도(程度)의 정조수량(正租收量)밖에 생산(生産)하지 못했다. "pot 재배(栽培)이었기 때문에 무추비(無追肥)의 피해(被害)는 더욱 컸던 것 같다 ". 4. 가리(加里)의 흡수(吸收) 장해(障害)를 빨리 심(甚)하게 유발한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조건(본시험(本試驗) 무석회집구(無石灰集區)와 같은 조건(條件))하(下)에서는 가리(加里)의 기비량(基肥量)을 많이 해야하며 석회집구(石灰集區)에서와 같이 吸收障害(흡수장해)를 가져올 염려(念慮)가 적으면서 가리(加里)의 절대량(絶對量)이 부족(不足)한 조건하(條件下)에서는 상당량(相當量)의 가리(加里)를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동시(同時) 일부(一部)를 추비(追肥)로도 시용(施用)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5.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 가리함량(加里含量)이 높은 벼가 평균풍건중(平均風乾重)이 무거운 분벽자(分蘗子)(수확기(收穫期))를 만들고 더 무거운 분벽자(分蘗子)가 정조(正租) 생산능력(生産能力)(정조(正租)/짚 중량비(重量比))이 커서 더 많은 정조(正租)를 생산(生産)하였다. 6. 식물(植物)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시기(時期)(7월(月)29일(日) 이내(以內))에는 토양(土壤)의 E. C값과 벼의 가리(加里) 흡수량간(吸收量間)에는 정상관(正相關)이 있었다. 이로 보아 영양생장기말경(營養生長期末頃)에는 가리(加里)의 추비량(追肥量)을 많이해도 무방(無妨)할 것이며 이때 충분량(充分量)을 추비(追肥)하는 것이 식물체(植物體)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을 높여서 증수(增收)하는 방법(方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