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ing weigh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Aminoglycosides계 약물의 투약 체중 결정 (Determination of Dosing Weight on Aminoglycosides)

  • 이내영;김호순;신완균;조남춘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18
    • /
    • 1999
  • Ascertainment of accurate pharmacokinetic parameters for aminoglycoside dosing remains critical, as the serum drug concentration relates directly to both the therapeutic response and toxic effect. In the initial dosing of aminoglycosides, the volume of distribution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 dosag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volume of distribution by the desired serum concentration. Aminoglycosides distribute into mainly the extracellular fluid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volume of distribution is 0.25 L/kg. Penetration of polar aminoglycosides into adipose tissue occurs to some extent, but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Therefore, dosages may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osing weight in overweight or underweight patients. Prior investigations have suggested various dosing weights which are multiplied by the popular volume of distribution to calculate the total volume of distribution. Based on other investigations, we calculated a new dosing weight which was applicable to all patients regardless of obesity in order to use the popular volume of distribution. We estimated IBW+$0.414^{\ast}$(TBW-IBW) as a new dosing weight with the SAS program. A new dosing weight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which examined in morbidly obese patients. Consequently we suggests that the dosing weight reported in morbidly obese patients can be extended to a broader patients population. But we found that the volume of distribution per kilogram from our pati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for foreign patients(0.343L/kg vs 0.25 L/kg)(Kor. J. Clin. Pharm. 1999; 9(1): 15-18)

  • PDF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이 Doxorubicin에 의해 유발(誘發)된 간장(肝臟) 및 비장(脾臟) 독성(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anhasasim-tang on the Hepatic and Splenic Toxicity induced by Doxorubicin)

  • 황희정;신민규;곽민아;이윤희;김상찬;변준석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21
    • /
    • 2002
  • Object The effect of Banhasasim-tang extracts on the hepatic, splenic toxicity and induced by Doxorubicin administration(Three injection protocol) were monitored using male ICR mice. Method The changes of body weigh, organ weights of liver and spleen were observed with blood GOT and GPT level. Results 1. In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liver weight observed in Doxorubicin treatment group were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Banhasasim-tang extracts. In addition, the degrees of liver congestion and necrotic spot were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decreased after Banhasasim-tang extracts dosing groups compared to that of Doxorubicin treatment group.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elevated serum GOT and GPT levels in Doxorubicin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anhasasim-tang extracts dosing groups. 2. De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spleen weight observed in Doxorubicin treatment group were dose dependently inhibited by Banhasasim-tang extracts. In addition, the degrees of splenic atrophy were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decreased after Banhasasim-tang extracts dosing groups compared to that of Doxorubicin treatment group.

  • PDF

자궁비대시험 연구에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내분비독성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Uterotrophic Assay)

  • 조은혜;정지윤;박철범;박선희;심용희;강대혁;이성호;유종훈;김선중;이성훈;박정란;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8
    • /
    • 2006
  • 본 시험은 암컷 랫드에 파라벤류(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를 생후 19일령부터 21일령까지3일간 투여하여 자궁비대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시험물질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투여기간 동안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용량결정시험에서 관찰된 것과 같이 투여부위의 피하결절 및 부종의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점차 투여부위의 탈모 및 가피형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 발전되었다, 이러한 증상은 투여용량이 다소 낮은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발생하지 않아, 분말상태의 시험물질이 고용량으로 현탁되어 투여되며 생긴 물리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성의 영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체중, 사료 및 음수섭취량에서 대조군과 시험물질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혈중 호르몬 농도에서 혈중 에스트로겐의 농도는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에틸 파라벤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고, 이외의 시험물질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중 난포자극 호르몬 및 혈중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아 파라벤류에 의한 혈중 에스트로겐, 난포자극 호르몬 및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장기중량에서 생식기계를 제외한 장기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또한 난소 및 질의 중량에서 시험물질과 연관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자궁의 wet weight 및 blotted weigh에서는 각 시험물질군에서 대조군에 대해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은 모든 용량군이 자궁중량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여 가장 에스트로겐성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었고, 250 및 1,0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인 이소프로필 투여군이 그 다음으로 에스트로겐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검결과, 자궁의 확장정도는 자궁의 중량에서 관찰된 바와 대부분 일치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자궁상피세포를 관찰한 결과,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이 가장 높은 세포질과 핵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소프로필 파라벤 및 부틸 파라벤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다소 작게 관찰되었다. 자궁의 영상분석결과, 대부분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자궁직경의 장축 및 단축, 자궁벽의 최소 및 최대치에서 대조군에 대해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이소부틸 파라벤에서 자궁비대 반응이 관찰되어 파란벤류의 물질은 내분비 장애물질로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부틸 파라벤이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성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