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Uterotrophic Assay

자궁비대시험 연구에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내분비독성

  • Jo Eun-Hye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Ji-Youn (Department of Companion and laboratory Anim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eol-Beom (Biotoxtech Co. Ltd.) ;
  • Park Sun-Hee (Biotoxtech Co. Ltd.) ;
  • Shim Yhong-Hee (Biotoxtech Co. Ltd.) ;
  • Kang Dae-Hyuck (Biotoxtech Co. Ltd.) ;
  • Lee Sung-Ho (Biotoxtech Co. Ltd.) ;
  • Yu Jong-Hoon (Biotoxtech Co. Ltd.) ;
  • Kim Sun-Jung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Hoo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Ra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Soo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Kyung-Su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은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정지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특수동물학과) ;
  • 박철범 ((주)바이오톡스텍) ;
  • 박선희 ((주)바이오톡스텍) ;
  • 심용희 ((주)바이오톡스텍) ;
  • 강대혁 ((주)바이오톡스텍) ;
  • 이성호 ((주)바이오톡스텍) ;
  • 유종훈 ((주)바이오톡스텍) ;
  • 김선중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이성훈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박정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이영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강경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ation of the endocrine distruptor function of 'Parabens' by dosing ethyl paraben, propyl paraben, isopropyl paraben, butyl paraben and isobutyl paraben to the immature SD rats. 18 groups were given vehicle control group, negative control group (Dibutyl phthalate), postive control group ($1'7-{\alpha}$ Ethynylestrdiol) and each paraben groups involved 3 dose level. Rats were injected with 62.5, 250 and 1,000mg/kg from postnatal day 19 till 21 once a day in subcutaneous and a total 3, times. There was no treatment related death. but, subcutaneous nodule, edema, alopecia and scrub formation on injection site was observed. These signs was become worse in high dose level. these signs was cause from physical stimulation by test substance which parabens were mix with com oil as vehicle. In the analysis of organ weights, absolute and relative weights of brain, spleen, liver, thymus, heart, kidneys, adrenals, ovaries and vagina were no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 but, wet and blotted weight of uterus was increased in every high dose parabens treat group. Especially, all dose level of isobutyl paraben was showed increment of uterus weight. uterus dilatation of parabens treated group was observed in gross anatomic pathology and these result was agree with wet and blotted weight of uteru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estrogenic effect as endocrine distruptor was observed in ethyl paraben, propyl paraben, isopropyl paraben, butyl paraben and isobutyl paraben. and it was considered isobutyl paraben has highest estrogrnic effect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본 시험은 암컷 랫드에 파라벤류(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를 생후 19일령부터 21일령까지3일간 투여하여 자궁비대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시험물질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투여기간 동안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용량결정시험에서 관찰된 것과 같이 투여부위의 피하결절 및 부종의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점차 투여부위의 탈모 및 가피형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 발전되었다, 이러한 증상은 투여용량이 다소 낮은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발생하지 않아, 분말상태의 시험물질이 고용량으로 현탁되어 투여되며 생긴 물리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성의 영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체중, 사료 및 음수섭취량에서 대조군과 시험물질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혈중 호르몬 농도에서 혈중 에스트로겐의 농도는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에틸 파라벤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고, 이외의 시험물질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중 난포자극 호르몬 및 혈중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아 파라벤류에 의한 혈중 에스트로겐, 난포자극 호르몬 및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장기중량에서 생식기계를 제외한 장기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또한 난소 및 질의 중량에서 시험물질과 연관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자궁의 wet weight 및 blotted weigh에서는 각 시험물질군에서 대조군에 대해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은 모든 용량군이 자궁중량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여 가장 에스트로겐성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었고, 250 및 1,0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인 이소프로필 투여군이 그 다음으로 에스트로겐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검결과, 자궁의 확장정도는 자궁의 중량에서 관찰된 바와 대부분 일치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자궁상피세포를 관찰한 결과,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이 가장 높은 세포질과 핵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소프로필 파라벤 및 부틸 파라벤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다소 작게 관찰되었다. 자궁의 영상분석결과, 대부분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자궁직경의 장축 및 단축, 자궁벽의 최소 및 최대치에서 대조군에 대해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이소부틸 파라벤에서 자궁비대 반응이 관찰되어 파란벤류의 물질은 내분비 장애물질로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부틸 파라벤이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성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ristian M.S., Hobennan A.M., Bachmann S. and Hellwig J. : Variability in the uterotrophic response assay (an in vivo estrogenic response assay) in untreated control and positive control (DES-DP, 2.5 microG, bid) wistar and Sprague Dawely rats. Drug chem. Toxicol. 1, 51-100 (1998)
  2. Kang K.S., Kim H.S., Ryu D.Y, Che J.H. and Lee YS. : Immature uterotrophic assay is more sensitive than ovariectomized uteritrophoc assay for the detection of estrogenicity of pnonylphenol in Sprague -Dawely rats. Toxicology Letters 118, 109-115 (2002) https://doi.org/10.1016/S0378-4274(00)00272-1
  3. Yamasaki K., Sawaki M., Noda S. and Takatuki M. : Effect of Olive, Com, Sesame or Peanut Oil in the Body Weights and Reproductive Organ Weights of Immature Male and Female Rats. Exp. Anim. 50(2), 173-177 (2001) https://doi.org/10.1538/expanim.50.173
  4. Koda T., Umezu T., Kamata R., Morohoshi K., Ohta T. and Morita M. : Uterotrophic effects of benzophenone derivatives and a p-hydroxybenzoate used in ultraviolet screens. Environ.Res. 98(1), 40-45 (2005) https://doi.org/10.1016/j.envres.2004.05.015
  5. Seidlova-Wuttke D., Jarry H. and Wuttke W. : Pure estrogenic effect ofbenzophenone-2 (BP2) but not of bisphenol A (BPA) and dibutylphtalate (DBP) in uterus, vagina and bone. Toxicology 205(1-2), 103-112 (2004) https://doi.org/10.1016/j.tox.2004.06.031
  6. Gelbke H.P., Kayser M. and Poole A. : OECD test strategies and methods for endocrine disruptors. Toxicology 205(1-2), 17-25 (2004) https://doi.org/10.1016/j.tox.2004.06.031
  7. Yamasaki K., Noda S., Imatanaka N. and Yakabe Y. : Comparative study of the uterotrophic potency of 14 chemicals in a utertrophic assay and their receptor-binding affinity. Toxicology Letters 146, 111-120 (2004) https://doi.org/10.1016/j.toxlet.2003.07.003
  8. Kim H.S., Shin lH., Moon H.J., Kang LH., Kim T.S. Kim I.Y., Seok J.H., Pyo M.Y. and Han S.Y.. : Comparative estrogenic effects of p-nonylphenol by 3-day uterotrophic assay and female pubertal onset assay. Reproductive Toxicology 16, 259-268 (2002) https://doi.org/10.1016/S0890-6238(02)00028-X
  9. Oshi: S. : Effect of propyl paraben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0,1807-1813 (2002) https://doi.org/10.1016/S0278-6915(02)00204-1
  10. Thigpen J.E., Haseman J.K' Saunders H., Locklear J., Caviness G, Grant M. and Forsythe D. : Dietary factors affecting uterine weights of immature CD-1 mice used in uterotrophic bioassays.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6, 381-393 (2002) https://doi.org/10.1016/S0361-090X(02)0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