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children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아동센터 실내공간 가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 디자인가이드라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Variability of Indoor Spaces for Local Children's Center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Guideline -)

  • 김미영;문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75-82
    • /
    • 2015
  • Although the government has revised the child welfare act, institutionalized the establishment of local children's centers, and given financial support for them,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with respect to their operation. Specifically, one of main problems is their limited space. Diverse problems that go with the arrangement of limited space and usability have occurred,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rategies to use limited space flexibly. This study assumed variability as one of the methods to solve spatial problems. As a basic research for the assumption, Analyzing the variabl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care facility guidelines was performed trying to take advantage of as a basic data in order to seek a variable scheme of local children centers' indoor space. For this purpose, study analysed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ility centering on aspects related to variability which ar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required by local children's centers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ility of space should be planned according to activity and time, and consider the methods of division, storage, and other facilities necessary. Second, methods of variability in space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ng areas and structures that are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required by local children's centers, this study discover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multi-purpose usability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able devices, transition through a variable space medium and setting up areas and expansion of indoor variability assuming usability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s.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의 지원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upport Models for Children with ADHD as Special Education Subjects)

  • 강민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70-578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사회적 여건, 그리고 지원 주체와 전달 체계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지원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ADHD 아동의 적격성과 지원 요구 그리고 이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과 기대를 확인하기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대상으로서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원 모형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선별과정을 거쳐서 진단 및 평가를 하고 특수교육 대상으로 지원이 필요한 경우 ADHD 아동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지원 방법에는 가족지원, 교육지원, 의료지원, 치료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Counting in Korea)

  • 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48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수세기(counting)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세기를 주제어로 다루고 있거나 제목으로 명시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별로 보면 수세기 연구물은 2001-2005년 사이에 현저하게 많았고 그 이외의 시기 동안에는 비슷한 비율로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별로 보면 수세기의 발달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세기와 기타 수학적 개념 및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질적 연구는 매우 미미했으며, 연구대상은 3-5세의 일반 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이전에 확인된 내용들에 대해 중복적인 연구를 피하고 새로운 주제가 탐색될 필요가 있으며 영아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생활 양상 변화에 대한 연구 - 컴퓨터 사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in Dietary Patterns of Som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 concerning the Frequent Use of Computers -)

  • 강영림;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4-29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ietary attitudes and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use of comput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The total of 451 elementary school children, consisting of 235 females and 216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 of domestic characteristics, dietary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vel of the use of computers, and health-related symptoms of the subjects were achiev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s follows: The average height, weight, BMI and obesity-index of the participants were 149.0 cm, 42.4 kg, 19.0, -8.6, respectively. Anions subjects, 42.8% answered their bed times were between 11~12 pm, and 82.4% answered that they ha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most desired activity as their leisure was computer works (female: 44.3%, male: 62.5%). 38.4% of children used the computers for 1~2 hours a day and the most general usage of computers was a computer game (66.1%). The changes in dietary habits of the subjects were such as eating faster(30.2%), having lots of snacks(28.8%), eating anything at hand(26.4%), skipping breakfast due to over-sleeping(18.4%). As changes in life patterns, those in the time managements for watching T.V.(35.3%), reading(35.0%), exercising(31.9%), sleeping(27.5%), relaxing(27.5%) and other hobbies(26.4%) were observed. In conclusion, many children were being affected by the socioeconomic factors changing the environments, especially by the need for the use of computers. The rates of eating alone and skipping breakfast were getting higher in the dietary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 found that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heavy use of the computer were affecting on their dietary pattern. The direction and method of nutrition education had to be established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desirable dietary behaviors.

  • PDF

무장애 놀이공간 계획을 위한 설치유형별 놀이공간 실태분석 - 무장애 놀이공간의 계획기준 설정 및 모형개발 연구 I -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Play Space by Types of Installation for the Planning of Barrier Free Play Space)

  • 강병근;성기창;박광재;윤영삼;김상운;김은경;이기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23-31
    • /
    • 2009
  • The needs of integrated play and space for both healthy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due to positive effect of integrated play. However, existing plan of play space have not consider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 user and Integrated Perspective what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do together is insufficient. For these reasons, establishing guideline of the Barrier Free Play Space and Model Development is required to meet the New Paradigm's deman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play space through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domestic Play Space. This study hav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actual condition of play space for 3 types by Types of Installation method. As a result, there are many problems from research point of view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ilities too. Consequently, element of plan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are problems should be shown the direction focused improvement, moreover major task is build a barrier free play space as a place of social integration.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로봇활용 융합연구동향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s in The Clinical Use of Robo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윤지혜;윤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53-16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융합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장애 아동의 교육적, 치료적 중재에 연구되고 있는 로봇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자폐를 키워드로 2009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여 총 17편의 연구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고, 활용로봇,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별 범주로 묶어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중 자폐아동을 위한 로봇개발은 발전이 빠른 분야 중 하나이며,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중재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향후 로봇활용의 일반화를 촉진할 수 있는 적용 절차 및 단계 등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미취학 아동의 감성 발달을 위한 연령별 놀이가구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of Playable Furniture for 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70-81
    • /
    • 2016
  • Nowadays the preschool children spend much of the day playing indoors. Therefore, it needs the indoor environment that helps a variety of fun activities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it requires the space configuration and playable furniture considering the emotional development for mental health. However, the furniture for fast growing preschoolers has not various types because the domestic furniture market for children is mostly baby beds and the furniture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s and types of the playable furniture reflecting emotional design for preschool children's healthy emotion and suggests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playable furniture considering play behavior by 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linguistic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play behavior of preschoolers, and derived the right type of playground equipment and furniture, and examined the types of playable furniture to help the emotional development. We derived the items to be checked for developing the playable furniture by age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classified preschoolers' playable furniture into the use of learning, relaxation and storage, and suggested its basic type focusing on the cases of various playable furniture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the playable furnitur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self-play type making possible self amusement, the second is module built-up-type that consists of furniture and modules or units and creates various patterns and can be modified through the self-assembly and disassembly, and the third is IT game type grafting IT skills and a variety of electronic games to furniture. We sorted these types into three classes (1-3 years old, 4-5, 6-7) according to age and presented the type of play for each age, the play element and representative image that can be introduced to this furniture. In this study, we provided the basic design types of age-specific emotional playable furniture by analyzing these results.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Scale)

  • 박성옥;기현주;신귀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7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의 경제발전은 물론 대인관계와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취동기 중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2곳에 재학중인 5,6학년 아동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하여 구성된 81개 문항의 척도를 문항 변별도 측면에서 양호한 수준 $x^2$의 유의도 p<.01과 .25이상 V계수의 68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68개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고유치 1이상, 요인부하량 .30이상인 49개 문항을 추출한 후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설명력의 증가분이 3%미만인 13개 문항을 척도 구성에서 제외시켜 총 36개 문항으로 아동의 성취동기 최종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일치도 지수인 Cronbach의 $\alpha$계수로 산출하였는데, .85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우리나라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Department of Church School : Focusing on Domestic Dissertation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181-210
    • /
    • 2022
  • 본 연구는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회학교 유치부와 관련된 연구의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교회학교 유치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교회학교', '유치부' 주제어로 국회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50편을 추출하였다.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를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네 가지 준거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회학교 유치부 연구논문의 연구시기별 동향은 1980년부터 2022년까지 석사학위 49편(98%), 박사학위 1편(2%)으로 나타났다. 연구시기별 동향은 석사학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실천연구 27편(54%), 기초연구 23편(46%)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는 실천연구가 기초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문헌연구 30편(60%), 양적연구 19편(38%), 질적연구 1편(2%) 순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는 문헌연구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물적대상 35편(70%), 인적대상 15편(30%)으로 물적대상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물적대상에서 교회학교, 매체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서 교회학교와 가정 연계 연구가 필요하다. 교회학교 유치부 관련 연구는 성인(교사, 부모, 교육전도사)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교회학교의 유아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교회학교 유치부 현장의 목소리가 담긴 질적연구가 요구된다.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발달 관련 논문분석 (An Analysis of Korean Domestic Research Trend in English Education and Bi- lingualism of Young Children)

  • 안은숙;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101
    • /
    • 200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8년까지 8개의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 관련 논문을 37편의 연구대상, 방법, 주제,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가설 검증을 통해 경험적으로 도달한 결론들을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아동학계에서 가장 관심 있게 다루어진 주제들은 영어교육 경험과 유아의 발달, 유아기 영어교육 실태 및 인식, 그리고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정환경변인과 영어교육/이중언어 발달을 다룬 연구는 소수에 그쳤으며, 이른바 '영어유치원'을 적극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경험적으로 증명된 결론들을 요약하면, 이중언어 아동들의 언어발달의 양상은 단일언어 아동과는 약간 다를 수 있으나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단일언어 아동과 유사한 언어능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외국어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를 배울 경우 연령이 높은 아동들이 어린 아동들보다 영어와 관련된 정보를 더 잘 처리하여 결론적으로 영어학습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유아기 때의 영어교육경험이 초등학생들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은 관련 연구부족으로 아직 미지수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연구가 여러 편 이루어졌고, 모두 대상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설계나 방법이 엄정한 과학적 연구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구결과에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연구와 이중언어발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하나 이상의 언어에 노출된 경험은 유아들의 상위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