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upport Models for Children with ADHD as Special Education Subjects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의 지원 모형 개발

  • 강민채 (중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Received : 2017.05.17
  • Accepted : 2017.05.30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itable and appropriate support models for ADHD children to provide effective and efficient support for the target children.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arget area, educational, social conditions, and supporting organization and delivery systems have been comprehensively considered.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review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status of support services for ADHD children to develop the model. The FGI was adapted to identify eligibility and expectations for the qualification of ADHD children and the awareness and expectations of relevant professionals. Based on the theoretical rationale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se systematic procedures, suitable and appropriate support models were developed for ADHD children as a special educational subjects. The support model include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support programs for the needs of the entire ADHD student population, which require screening and assessment of the entire student population and requiring support for special needs. Support methods were developed in a system that supports family support, educational support, medical assistance, and medical support.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사회적 여건, 그리고 지원 주체와 전달 체계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지원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ADHD 아동의 적격성과 지원 요구 그리고 이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과 기대를 확인하기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대상으로서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원 모형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선별과정을 거쳐서 진단 및 평가를 하고 특수교육 대상으로 지원이 필요한 경우 ADHD 아동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지원 방법에는 가족지원, 교육지원, 의료지원, 치료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Autho, 2013.
  2. 박선영, "성인 ADHD가 직업 장면에서 보이는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직업과 고용 서비스 연구, 제9권, 제1호, pp.93-110,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13년 학생정신건강 주요사업 추진계획 발표," 2013.
  4. 보건복지부, 2014년 정신건강사업 안내, 2014.
  5. 교육부, 2016 특수교육통계, 2016.
  6. R. A. Barkle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NY: Guilford, 2006.
  7. 윤희봉, 강민채,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243-261, 2014.
  8. 김철용, ADHD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지식과 대처방안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이상훈, "정서.행동장애학생의 교육지원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9권, 제1호, pp.1-21, 2013.
  10. 유연주, 조윤경,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실태 조사: 교사 행동평정을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69-190, 2008.
  11. 오수진, ADHD 성향을 보이는 전문계 고등학교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적 지원 가능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J. M. Kauffman and T. J. Landrum,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10th ed.), Upper Saddle River, N. J.: Pearson Education, Inc, 2013.
  13.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136.
  14. 정은, 강아롬,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교육적 이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9권, 제3호, pp.109-127, 2008.
  15. 박현진, 허자영, 김영화, 송현주, "ADHD 아동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3호, pp.25-58, 2011.
  16. 신윤희, 이효신, 정대영, 이상훈,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 정립,"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1호, pp.231-286, 2014.
  17. 이동훤, 이효신, "ADHD 아동을 위한 국내 부모 교육 연구 현황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3호, pp.219-239, 2012.
  18. 이상훈, "정서.행동장애학생과 가족을 위한 지원방안 탐색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8권, 제1호, pp.1-24, 2012.
  19. 강민채, 박현주, "ADHD 아동교육에 대한 일반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지각 수준," 발달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pp.317-338, 2014.
  20. 김태은, 정구향, 노원경, 정은주, 서영진, 김의정,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지닌 초등학생 지원을 위한 수업 전략과 학습환경 설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우수보고서 시리즈 4, 2013.
  21. 배은경, "초등교사의 ADHD, 학생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9권, 제3호, pp.433-457, 2013.
  22. 서석진, 강미라, 양경애, "ADHD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학습전략중재연구, 제4권, 제1호, pp.79-102, 2013.
  23. 정영숙, 김장회,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긍정심리학 관점의 대안적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25-48, 2012.
  24. 황순영, "ADHD아동 부모의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와 방해요인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45-61, 2011.
  25. 고은영, 정소라,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내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1-27, 2013.
  26. 반건호, 홍민하, 이연정, 한주희, 오수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의 역사적 재조명 : 약물치료적 접근," 생물정신의학, 제21권, 제2호, pp.37-48, 2014.
  27. 홍선주, 진경애, 이명진, "ADHD 학생의 뇌영상 진단 및 뇌기반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우수보고서 시리즈 8, 2014.
  28. 최고은, 권지성, "ADHD성향 아동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3호, pp.207-238, 2013.
  29. 보건복지부, ADHD 아동 조기개입서비스 모니터링 및 발전방안 연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