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 Wat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초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Deep Learning Application to Water-related Disaster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 Yusuff, Kareem Kola;Shiksa, Bastola;Park, Kidoo;Jung, Youngh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5-145
    • /
    • 2022
  • Availability of abundant water resources data in developing countries is a great concern that has hindered the adoption of deep learning techniques (DL) for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On the contrary, over the last two decades, a sizeable amount of DL publication in disaster management emanated from developed countries with efficient data management syste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DL adoption for solving water-related disaster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n extensive bibliometric review coupled with a theory-based analysis of related research documents is conducted from 2003 - 2022 using Web of Science, Scopus, VOSviewer software and PRISMA model. Results show that four major disasters - pluvial / fluvial flooding, land subsidence, drought and snow avalanche are the most prevalent. Also, recurrent flash floods and landslides caused by irregular rainfall pattern, abundant freshwater and mountainous terrains made India the only developing country with an impressive DL adoption rate of 50% publication count, thereby setting the pace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Further analysis indicates that economically-disadvantaged countries will experience a delay in DL implementation based on their Human Development Index (HDI) because DL implementation is capital-intensive. COVID-19 among other factors is identified as a driver of DL. Although, the Long Short Term Model (LSTM) model is the most frequently used, but optimal model performance is not limited to a certain model. Each DL model performs based on defined modelling objectives. Furthermore, effect of input data size shows no clear relationship with model performance while final model deployment in solving disaster problems in real-life scenarios is lacking. Therefore, data augmentation and transfer learning are recommended to solve data management problems. Intensive research, training, innovation, deployment using cheap web-based servers, APIs and nature-based solutions are encouraged to enhance disaster preparedness.

  • PDF

Determination of Water-holding Capacity of Porcine Musculature Based on Released Water Method Using Optimal Load

  • 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23-8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released water (RW) method for measuring water-holding capacity (WHC) by pressure and filter-paper absorption within two thin plastic films. One hundred fifty pork loins with considerable variations in WHC (three pork qualities: PSE, pale, soft, and exudative; RFN, reddish-pink, firm, and nonexudative; and DFD, dark, firm, and dry; 50 pork loins in each pork quality group) were used to measure drip loss (DL)% and RW % after applying different loads (1.5, 2.0, 2.5, 3.0 and 3.5 kg). Percentages of DL and RW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pork quality groups. The RW % of 2.5 kg load sampl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2.0 kg or 1.5 kg load sampl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RW % among 2.5 kg, 3.0 kg, and 3.5 kg load samples for all three pork quality groups. The RW % was highly and positively correlated (r>0.95; p<0.001) with DL %. The highes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L % and RW % of 2.5 kg load sample (r=0.97; p<0.001). Among all RW loads within each quality group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DL % and RW % was observed for 2.5 kg load sample (r=0.43, 0.66, and 0.46 for PSE, RFN and DFD quality groups, respectively, p<0.001). These results imply that applying 2.5 kg load is the best for determination of RW %. It is recommended as a reference method to assess DL % of pork muscles.

물 또는 Propylene Glycol 용매계에서 D-Glucose와 DL-Alanine 또는 DL-$\alpha$- Aminoutyric acid와의 마이야르 반응에 의한 휘발성 화합물의 생성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Maillard Reaction of D-Glucose and DL-Aranine or DL-?? -Aminobutyric acid in Water or Propylene Glycol Solution)

  • 김영회;김옥찬;이정일;양광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3-130
    • /
    • 1988
  • The volitile compounds Produced from the Maillard reaction of D-glucose and DL-alanine or DL-$\alpha$-aminobutyric acid using water or propylene glycol as a reaction amdeum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firaphy and mass spectrometry. From two kinds of reaction products in water 18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 major compounds in a reaction product of glucose with alanine were 5-hydroxy methyl-2-furfural, 2-acetyl pyrrole and 2-formyl-5-methyl pyrrole, and those in a reaction product of glucose with $\alpha$-aminobutyric acid were 2-ethyl crotonaldehyde and 2-methyl-3, 5-dihydroxy-4H-pyran-4-one including the above 3 compounds. From two kinds of reaction products in propylene glycol solution, 35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 major compounds in a reaction product of glucose with alanine were alkyl pyraainef, 2-methyl furfuryl alcohol and 2-acetyl pyrrole, and those in a reaction product of glucose with $\alpha$-aminobutyric acid were propionaldehyde PGA, 2-ehtyl crotonaldehyde, 2-acetyl pyrrole and 2-acetyl-5-ethyl furan.

  • PDF

오미자(五味子) 전탕액(煎湯液)의 투여(投與)가 흰쥐의 혈청(血淸) cholesterol 대사(代射)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on serum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한상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64-372
    • /
    • 1998
  • It was investigated effect of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on the white rat which was induced hypercholesterolemia by fatty die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Neutral lipid level in blood lipid was greatly decreased on the group being fed animal fat diet an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on the group being fed vegetative fat diet, HDL-cholesterol was shown that the group being fed vegetative fat diet an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at a time more increased HDL-cholesterol in a little than the other group, and normal fat diet group show to highest figure,38.5mg/dl. Animal fat diet group is 20.75 mg/dl. but, the group being fe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was increased to 31.00mg/dl. LDL-cholesterol had no difference between fat diet group and the group being fe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 PDF

민들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 최영준;박경숙;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1-659
    • /
    • 2015
  • 본 연구는 민들레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과 지방에 냉수 10% 첨가(대조군), 민들레 잎 추출물 10% 첨가(DL), 민들레 뿌리 추출물 10% 첨가(DR), 그리고 전체 부위 추출물 10% 첨가(DW)하여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2,07, 6.49, 3.85 및 5.77 mg/100 g으로 DL이 다른 분쇄돈육들보다 더 높았다. 명도($L^*$)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색도($a^*$)는 DL이 가장 높았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는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0.52, 0.20, 0.31 및 0.24 mg MA/kg으로 DL에서 가장 낮았다. 생육 및 가열육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분쇄돈육의 수율, 보수력, 수분 보유율, 지방 보유율 및 직경 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343.65~2,395.39 ppm으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DL이 가장 우수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첨가의 경우, 다른 부위보다 잎 추출물의 첨가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으며, 적색도와 관능적 풍미를 개선하고,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제품의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탄올의 약동학에 미치는 홍삼액기스의 효과 (Effects of Red-Ginseng Extract on Pharmacokinetics of Ethanol)

  • 배진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72-175
    • /
    • 1999
  • 홍삼액기스의 투여가 에탄올의 곡선하면적(AUC)과 제거속도상수(elimination rate constant)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웅성 백서 14마리와 건강한 남성 자원자 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백서에게 홍삼액기스 200 mg/kg를 투여하거나 같은 분량의 물을 투여한 후 즉시 $50\%$ 에탄올, 3.2g/kg의 용량을 구강 투여하였다. 에탄올의 곡선하면적(AUC)과 제거속도상수는 홍삼액기스를 투여할 경우 $29.2{\pm}6.2\;g{\cdot}min.{\cdot}dl^-$와, $0.51{\pm}0.06\;mg{\cdot}dl^-{\cdot}min.^-$를 나타내었으며, 홍삼액기스를 투여하지 않을 경우는 각각 $28.0{\pm}5.6\;g{\cdot}min.{\cdot}dl^-$$0.5{\pm}0.1\;mg{\cdot}dl^-{\cdot}min.^-$를 나타내었다. 이들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체에서는 일인당 홍삼액기스 3그램을 100 ml의 물에 희석하거나 또는 동일분량의 물을 투여하고 곧 이어서 소주 2.4 m/kg의 용량을 마시게 하였다. 자원자의 에탄올에 대한 곡선하면적과 제거속도상수는 홍삼액기스의 투여군이 $10.6{\pm}2.0\;g{\cdot}min.{\cdot}dl^{-}$$0.21{\pm}0.05\;mg{\cdot}dl^-{\cdot}min.^-$를,대조군에서는 $11.0{\pm}2.2\;g{\cdot}min.{\cdot}dl^{-}$$0.22{\pm}0.04\;mg{\cdot}dl^-{\cdot}min.^-$를 나타내었으며 역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평균${\pm}$표준편차) 이런 결과들로 미루어 홍삼액기스의 투여로 에탄올의 약동학에 의미있는 변화를 초래하기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댐 일유입량 예측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와 머신러닝&딥러닝 모델 조합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Data Preprocessing and ML&DL Model Combination for Daily Dam Inflow Prediction)

  • 조영식;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8-35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수자원분야 강우유출 해석분야에 활용되었던 대표적인 머신러닝&딥러닝(ML&DL) 모델을 활용하여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 튜닝뿐만 아니라 모델의 특성을 고려한 기상 및 수문데이터의 조합과 전처리(lag-time, 이동평균 등)를 통하여 데이터 특성과 ML&DL모델의 조합시나리오에 따른 일 유입량 예측성능을 비교 검토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1974년에서 2021년까지 축적된 기상 및 수문데이터를 활용하여 1) 강우, 2) 유입량, 3) 기상자료를 주요 영향변수(독립변수)로 고려하고, 이에 a) 지체시간(lag-time), b) 이동평균, c) 유입량의 성분분리조건을 적용하여 총 36가지 시나리오 조합을 ML&D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ML&DL 모델은 1) Linear Regression(LR), 2) Lasso, 3) Ridge, 4)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5) Random Forest(RF), 6) LGBM(Light Gradient Boosting Model), 7) XGBoost의 7가지 ML방법과 8) LSTM(Long Short-Term Memory models), 9) TCN(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 10) LSTM-TCN의 3가지 DL 방법, 총 10가지 ML&DL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일유입량 예측을 위한 가장 적합한 데이터 조합 특성과 ML&DL모델을 성능평가와 함께 제시하였다. 학습된 모형의 유입량 예측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소양강댐 유역에서는 딥러닝 중에서는 TCN모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TCN>TCN-LSTM>LSTM), 트리기반 머신러닝중에서는 Random Forest와 LGBM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RF, LGBM>XGB), SVR도 LGBM수준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LR, Lasso, Ridge 세가지 Regression모형은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소양강댐 댐유입량 예측에 대하여 강우, 유입량, 기상계열을 36가지로 조합한 결과, 입력자료에 lag-time이 적용된 강우계열의 조합 분석에서 세가지 Regression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형에서 NSE(Nash-Sutcliffe Efficiency) 0.8이상(최대 0.867)의 성능을 보였으며, lag-time이 적용된 강우와 유입량계열을 조합했을 경우 NSE 0.85이상(최대 0.901)의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주요 양식어류의 하절기 혈액성분 비교 (Comparison in Serum Constituents of Cultured Marine Fishes in Early Summer Season)

  • 전중균;김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47-556
    • /
    • 1998
  • 주요 해산 양식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하여, 적수온기(수온 16.5도씨)에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평균체중 553g),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평균체중 325g),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평균체중 390g), 돌돔(Oplegnathus fasciatus, 평균체중 490g),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 평균체중 1,750g) 및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평균체중 438g)를 사용하여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 중성 지방(TRI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아밀라제(AMYL), 아미노산전이효소(AST),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HOS) 등을 측정하였다. TP 농도는 4.4~6.0 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7~2.4g/dl의 수준이었다. A/G비는 은연어가 0.9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6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 중 TRIG 농도는 어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전갱이와 조피볼락(178~180 mg/dl)이 가장 높았고, 은연어와 돌돔(102~114 mg/dl)이 가장 낮았으며, 넙치와 농어(126~159 mg/dl)는 그 중간 수준이었다. 그리고 CHOL 농도도 전갱이가 255 mg/dl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농어 (230 mg/dl)와 넙치, 은연어(206~217 mg/dl), 조피볼락(154 mg/dl)의 순서였으며 돌돔이 가장 낮아 88 mg/dl의 수준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어종별 혈당(GLC)의 농도는 전갱이(138 mg/dl)가 가장 높았고 돌돔 (111b mg/dl), 은연어나 농어 (64~78 mg/dl), 조피볼락(47 mg/dl), 넙치(14 mg/dl)의 순서였다. 지질분해효소(LIPA)와 당질분해효소(AMYL)의 어종별 활성은 어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은연어 LIPA와 AMYL 활성이 모두 가장 높았지만 농어는 가장 낮았으며, 돌돔과 넙치와 조피볼락에서 AMYL 활성은 검출 한계치(5 U/dl) 이하였다. 그리고 무기질의 Na와 Cl의 농도는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Na 농도와 K 농도는 서로 상반되는 경향이었다. 각종 혈중 성분의 계절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더니, PHOS와 CHOL 농도는 계절적인 영향이 컷지만, K와 GLC 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류 중에서는 넙치가 큰 차이를 보였다. 즉, 넙치나 전갱이는 적수온기에서 혈중농도가 높았지만 조피볼락이나 돌돔은 저수온에서 혈중 농도가 높았다. 전해질과 LIPA 활성은 대체로 저수온기에서 농도가 높았으나, TP와 ALB등은 적수온기에서 더 높았고, 어너지로 쓰이는 TRIG나 CHOL, GLC 농도의 계절에 따른 차이는 어종에 따라 달랐다.

  • PDF

Effects of Chilled Drinking Water on Performance of Laying Hens during Constant High Ambient Temperature

  • Gutierrez, W.M.;Min, W.;Chang, H.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94-699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illed drinking water on the productivity of laying hens under constant high ambient temperature. A total of seventy-two, 123-day-old Hy-line brown layers was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The first group (UDWG) was given unchilled water ($23.0{\pm}2.5^{\circ}C$) as a control, and the second group (CDWG) was given chilled water ($16.0{\pm}0.5^{\circ}C$). The laying hens were kept at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with 50% relative humidity and were exposed to 17 h of light per day. Feed intake, egg production, egg quality (egg weight, shell weight, shell thickness, egg color, yolk color, and Haugh unit),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ed intake of CDWG laying hens was significantly higher (11.64%) than the UDWG counterparts (p<0.01). Egg production of CDWG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11.27%) than the UDWG counterparts (p<0.001). Furthermore, we observed that the CDWG laying hens had significantly higher (11.72%) levels (p<0.10) of blood calcium, with a corresponding value of 21.92 mg/dl compared to the UDWG hens (19.62 mg/dl). The higher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CDWG animals may contribute to increased egg production. The CDWG laying hens also contained higher (12.53%)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blood compared to the UDWG (4.22 mg/dl vs. 3.75 mg/dl), although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10). Egg weight and egg quality were not affected by chilled drinking water. In conclusion, providing chilled drinking for laying hen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improved feed intake and egg production.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코르티솔 및 인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pid rise in suffering rescue activity on cortisol and human symptom)

  • 전재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99-104
    • /
    • 2022
  • 이 연구는 내수면 수난 구조상황에서의 급상승이 코르티솔 및 인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A, B, C는 잠수 전후 코르티솔 상승 수치가 각각 6.30ug/dl, 6.50ug/dl, 6.57ug/dl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코르티솔 상승 수치가 11.00ug/dl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수중 시계의 불량으로 인한 불안감 가중 및 급상승 시 긴장을 통한 체력소모 고갈로 판단된다. 실험대상자 E는 잠수 전후 코르티솔 상승 수치가 4.28ug/dl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E의 연령이 실험대상자 중 가장 젊고, 해상의 심해 잠수 경험이 풍부하여 불안감이 작아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피로도는 7~8, 불안감은 7~9로 둘 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수중수색 시 심리적 긴장감이 피로도를 높이고, 불량한 시계가 불안감을 높인 것으로 사료 된다. 연구 결과는 수난구조대원의 안전한 수중수색 활동에 대한 실증적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