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de Statu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ause Analysis of Digital Divide for Low-Income Class in Korea

  • Woochu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304-310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dern people are receiving various benefits, and knowledge an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becoming essential qualities in modern people's lives. There are people who do not enjoy the rich benefits of th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and the so-called 'digital divide' acts as an obstacle that prevent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rom enjoying a rich life. Currently, there are four major information underprivileged classes in Korea, the disabled, the elderly, low-income class and farmers and fishermen,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divide for the low-income clas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digital divide. To this end, in this study, we analyze statistics on digital divide at the national level and analyzed the digital divide of low-income class from three perspectives: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on u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capability was the biggest cause of the digital divide,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was the most insufficient among information capabilities.

국제 정보격차(digital divide)해소를 위한 국내외 사업유형 (The Foreign and Domestic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 최석범;이정민;정재우
    • 통상정보연구
    • /
    • 제5권2호
    • /
    • pp.159-184
    • /
    • 2003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neck-breaking speed of changes to the global society in 20th century. The more the speed of change accelerated, the more widened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olving digital divide,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around the world is not fully researc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oreign and domestic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ways of domestic projects for solv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 PDF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 안정임;서윤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69-78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현황과 원인을 리터러시의 세부요인을 중심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세대와 경제수준 변인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격차를 발생시키는지를 실증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어린이, 청소년, 성인, 고연령층에 이르는 미디어 이용자 총 2,1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세대간 집단 차이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8개 세부요인에 따라 각각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경제수준 역시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세대 변인과의 상호작용 효과에 의해, 성인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in Korea

  • Jun, Wooc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141-148
    • /
    • 2022
  • Due to the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any people are enjoying benefits. However, there are those who do not enjoy the benefits of such information technology due to physical disabilities or economic reasons. This class is classified as an information-vulnerable class with so-called digital divide, and the disabled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information-vulnerable clas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dentify the various causes of digital divide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isabled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digital divide data by the national institution over the past four year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cause of the digital divide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competency among the three factors diagnosing the digital divide namely,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competenc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formation utilization activities of the disabled were not productive and consumption-oriented

디지털 격차와 삶의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사회경제적지위, 도시-농촌 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Generation, SES, and an Urban-rural Comparison)

  • 고흥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33-641
    • /
    • 2017
  • 이 연구는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발달과 한국사회의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 세대별, 도시-농촌간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규모의 9,647개 샘플 데이터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대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2030연령대가 디지털 활용과 삶의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60대 이상 연령층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디지털 활용은 모든 계층에 있어서 도시거주자들이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도는 하위계층과 중위 계층에서는 농촌지역이, 상위계층에서는 도시지역이 더 높이 나왔다. 이 연구는 초연결사회로 진행되어 가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디지털 형평의 문제를 사회경제적지위와 도시-농촌 간 비교를 통해 재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on Digital Divide in America)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9-52
    • /
    • 2012
  • 스마트 기기의 활용으로 인해 정보격차의 전통적인 의미가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정보격차가 해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보다 심화된 새로운 차원의 정보격차를 생성하고 있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정보환경에서의 정보격차 현황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ew Research Center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의 정보격차 생성요인들과 스마트 기기 보유 사이의 관련성을 상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활용의 범위를 측정하여 스마트 디바이드의 발생여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경남도내 초중등 학생 및 교사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Digital Divide on Students and Teacher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Gyeongnam)

  • 김민기;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3-445
    • /
    • 2007
  •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정보격차는 사회 불평등을 초래하는 새로운 요소로 등장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ICT 활용교육, e-러닝, u-러닝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학생층에서 나타나는 정보격차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으로까지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구성원들의 정보격차 실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격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도내 초중등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보화 수준의 측정은 3개 하위 지수(접근, 역량, 활용)에 대한 가중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조사결과 학생과 교사 집단 모두 역량지수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역량지수와 활용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적상관을 보여 정보 역량의 차이가 정보격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애인의 정보 활용 격차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igital Divide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 황주희
    • 정보화정책
    • /
    • 제26권3호
    • /
    • pp.53-68
    • /
    • 2019
  •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하는 장애인과 그렇지 않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장애인의 정보 활용 유무와 같은 격차에 있어 성별, 연령과 같은 개인별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나는지를 교차항(interaction term)분석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및 정보 활용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그룹 내에서의 정보 활용 격차라고 하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격차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여부는 이들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사용 활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이들의 교육수준, 사는 지역, 장애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진행 중인 장애인 대상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시각을 넓혀 보다 확장된 형태의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농촌주택 유형별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농사규모에 따른 농가 각부공간 및 창고계획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armhouse Types -Focused on Residential and Storage space planning in Farmhouse to Farming Scale-)

  • 박광범;김태익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3-6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dwelling conditions for comfortable life like urban apartment with agriculture in farming area. In order to do above things, we divide types of people who is planning to 'return farm' and need to heavily research and analyze current status of use for farm house's each spaces include outside spaces. so this paper aimed that at first, divide types of farmhouse following agriculture condition for people who is living in rural and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by analyzing of present status of space use and draw the improvement plans for those. after then, finally make a architectural basic data for Rural houses plan. For the fu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make architectural provision possible by researching types and size of storage following sort and size of farm.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Digital Divide and Digital Literacy on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elfare)

  • 안정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78-108
    • /
    • 2006
  •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주요 이슈인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를 수용자 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와 함께 고찰하였다. 매체 폭발, 수용자 선택권 무한 확대로 특징지어지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과연 수용자 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를 기반으로, 수용자 복지의 대척점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격차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수용자의 미디어 활용 능력, 즉 디지털 리터러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디지털 격차 연구의 방향성 및 수용자 복지의 정책적 방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디지털 격차 해소정책은 물리적 접근 확대와 기초 기술 교육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디지털 격차는 사회구조적 제반 요인과 개인의 심리적 속성, 디지털 미디어 평가태도 및 활용능력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된 중층개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특히 활용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격차의 학술적 연구 및 정책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2단계 과정의 디지털 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기기보급과 기초기술 교육을, 2단계에서는 정보 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 교육으로서의 리터러시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