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solved Oxygen (DO) Control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at Valley)

  • 박재현;마호섭;김기흥;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05-111
    • /
    • 2011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홍계 계곡에 설치한 맞춤형 테트라블럭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설치 전 후의 계류수질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림내 계류수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테트라블록(Tetrapod)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도 계류수의 pH는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시공 후 계류수의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오염원이 없는 맑고 깨끗한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전기전도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 하류의 평균 음이온량(Average of total amount of anion)은 약 3.07/2.30~3.60 mg/L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하기 전과의 차이는 약 0.24 mg/L로 그 양도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계류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수질과 유사하여, 이러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에 따른 계류수질 오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nitrogen releases from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 Khirul, Md Akhte;Kim, Beom-Geun;Cho, Daechul;Yoo, Gilsun;Kwon, Sung-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30-237
    • /
    • 2020
  • Nitrogen flux release from organically enriched sediments into overlying water, which ma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water quality and increasing continuous eutroph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mediation efficiency of oyster shell powder and its treated product into organically enriched sediment in terms of nitrogen flux, organic matter, chlorophyll-a, pH and dissolved oxygen (DO). The TOSP was mainly composed of CaO2. The application of TOSP into the sediment has increased the pH, DO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NH4+-N and T-N compared to other basins. On the other hand, nitrate was enriched with the addition of treated oyster powder, an oxygen releasing compound on both phases. Furthermore, chlorophyll-a was found to be increasing with time in the control basin meanwhile it dropped drastically with the addition of TOSP, which implied on the repression of algal growth owing to blockage of nitrogen source migrating from the sedimen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OSP was effective to improve sediment-water quality, diminish eutrophication and control harmful algae blooms in a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a good reference as an effective environmental remediation agent.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정도관리 (Quality Control to Improve Reliability of Automatic Water Quality Data)

  • 임병진;홍은영;김현욱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338-344
    • /
    • 2010
  • 상수원 및 수계의 수질관리 업무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고,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조치를 할 수 있는 조기경보체계 구축을 위하여 주요 상수원 및 하천 등에 수질자동측정망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수온, pH, EC, DO, TOC 항목에 대한 정도평가를 실시하여, 수질자동 측정 자료에 대한 정확도를 확보하여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수질자동측정기기와 수동측정기기에 대한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일반항목(수온, pH, EC, DO) 및 TOC의 상대정확도가 20% 이내의 목표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수질자동측정소의 저류수조의 측정기기(내부)와 채수지점의 측정기기(외부)의 측정값 차이를 분석한 결과, 채수거리가 먼 측정소의 DO에 대한 내부-외부의 상대정확도는 목표값을 다소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수관로에 조류 및 미생물 부착에 의한 오염이 원인으로 판단되어 역세척하여 측정한 결과, 측정된 DO 농도는 최대 53%까지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채수관로 관리가 수질자동측정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ihwa Constructed Wetland)

  • 최돈혁;강호;최광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3개의 방안 (물 흐름 개선방안, 혐기성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급장치 설치방안, 탁도유발 물고기 제어방안)에 대한 효율평가 및 습지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하류구역(가로 122m${\times}$세로 103m)에 설치한 물 흐름 유도시설에 의한 BOD, SS, TN, TP의 평균 제거효율은 12.8~7.4%로 나타났으며, BOD가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이는 습지내 물흐름이 수질정화기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시화호 인공습지와 같이 규모가 큰 습지의 경우 유출부의 일부 구간에 물 흐름 개선만으로도 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공급장치 가동 후 DO농도 증가율이 산기식폭기장치에서 15.5%과 표면폭기장치에서 37.2%를 보였고, 습지내 DO 농도가 낮은 구역에 한하여 새벽시간에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물고기를 포획을 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탁도가 6.2 NTU와 10.6 NTU로 물고기 포획에 의해 41.5%의 탁도 제거효율을 보였다. 습지내 어류현황과 하류부의 탁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어류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유로 변경식 고도하수처리 공정의 최적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Control Algorithms for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ith Variable Hydrodynamic Flow Patterns)

  • 강성욱;조욱상;허형우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17-225
    • /
    • 2005
  • H사의 유로변경식 고도하수처리 공법의 제어 변수가 DO와 수온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 효율성의 만족도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현재의 상황을 개선하고자 세 가지 개선방향을 설정하여 Simulation을 통한 Operation Data의 분석 및 장치구성과 실험을 통한 최적제어 Logic을 연구하여 이를 다시 S하수처리장에 설치 적용한 결과이다. 본 실험을 통해서 수온과 유량에 근간한 Operation Mode 변경의 최적화와 이를 통한 동력비 절감을 이루었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른 Operation Mode의 변경에서 일반 Normal Mode와 병행하여 Save Mode를 새로 적용하여 동력비 절감을 이루었다. 또한 DO 값을 송풍량과 수중폭기기의 교반속도에 의해 비례제어하고 유출수의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DO 값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질산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효율의 극대화와 운영 및 유지관리비의 절감을 이루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 이근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3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 야 모두 상 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암모니아성 폐수의 질산화과정에서 아질산염 축적의 영향인자 (Factors Influencing Nitrite Build-up Nitrification of High Strength Ammonia Wastewater)

  • 한동준;강성환;임재명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2호
    • /
    • pp.128-138
    • /
    • 1998
  • This study was focused to find how each factors effect on the biological nitrific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under high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Batch reactors in aerobic conditions were used to tes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mixed liquor, nightsoil and piggery wastewater. The results are summeried as follows; Initi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and pH were the direct influencing factors of nitrite build-up. More than 250 mg NH$_{4}$$^{+}$ - N/L in initial concentration built up nitrite and then the inhibition rate to Nitrobacter was above 70 percentage. And maximum nitritation rate was showed at pH 8.3 and nitrification could be completely achieved by pH control.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were the indirect influencing factors of nitrite build-up. These were a great effect on the activity of nitrifying microbes and ammonia nitrogen removal. Maximum nitritation rate was showed at 30 $\circ $C. The effect of DO concentration was negligible at more than 3 mg/L.

  • PDF

자력에 의한 산성 광산 배수의 처리 - 철(Fe) 성분의 제거- (The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 The removal of Iron(Fe) component-)

  • 송근호;이광래
    • 산업기술연구
    • /
    • 제32권A호
    • /
    • pp.21-27
    • /
    • 2012
  • The characteristics of floc formation of the iron(Fe) ions contained in the acid mine drainage was studied for developing the process treating the acid mine drainage. The iron(Fe) ions were formed into flocs by the acid-base reaction with the added $Ca(OH)_2$. The molal ratio of iron(Fe) vs $Ca(OH)_2$ was one of major control variables in treatment; pH change, iron(Fe) ions concentration in treated drainage, DO (dissolved oxygen content). In addition, the air gave much effect on the color of the $iron(Fe)-Ca(OH)_2$ flocs and the attachment to magnet. The attaching to the magnet of the flocs formed in the air was much less than the case without air.

  • PDF

가막만의 모자반군락이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rgassum beds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Gamak Bay, Korea)

  • 안윤근;조주현;윤호섭;박일웅;김윤설;김호진;최상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4-289
    • /
    • 2009
  • We determined the influence of Sargassum beds on the water quality in Gamak Bay, Kor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 from 3.3 to $23.4^{\circ}C$ and from 29.6 to 33.7 psu, respectively. Dissolved oxygen was 10.45 mg L-1 in the Sargassum bed and 9.23 mg L-1 in the control. Chlorophyll-a was $3.90{\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2.21${\mu}g \;L^{-1}$ in the control. Chemical oxygen demand were 1.14${\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1.43${\mu}g\;L^{-1}$ in the control. Total nitrogen were 0.038${\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0.067${\mu}g \;L^{-1}$ in the control. Total phosphorus were 0.043${\mu}g \;L^{-1}$ in the Sargassum bed and 0.072${\mu}g \;L^{-1}$ in the control.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Water temperatur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 (p<0.01). T-N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P (p<0.01).

CaO2 적용에 따른 퇴적물의 P fraction 변화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O2 Application on the Change of Sedimentary Phosphorus Fraction and Water Quality)

  • 김범근;모하메드아케트키룰;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1-520
    • /
    • 201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phosphorus release and water quality by transformation of sedimentary P fraction for application of $CaO_2$. For the experiment, 0.5% (w/w) of $CaO_2$ was homogenized in the sediment and incubated with the control for 20 day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pH increased with $CaO_2$ and redox potential (ORP) was improved in the sediment of the reactor. The growth rate of chlorophyll-a was lower in the $CaO_2$ reactor and Dissolved Oxygen (DO) of overlying water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in the overlying water increased from the initial concentration to 0.304mg/L in the control at 20 days. The reactor of $CaO_2$ was lowered by 29.3%. Ex-P, Fe-P and Ca-P in sediment P fraction were increased with the $CaO_2$. The formation of bound Fe-P and Ca-P in the sediments seemed to control the release of P by removing the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presented in the pore water. From the result, this indicated that the reduction of P release from the sediments seems to be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eutrophication of P and improving the oxygen condition in the water quality with the application of $CaO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