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at Valley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
  • Kim, Ki-Heu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Youn, Ho-Joong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마호섭 (경상대학교 산림환경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임지재해연구실)
  • Received : 2010.11.23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a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forest water qualit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nggye valley located in Sanchung-gun, Gyungsangnam-do, and stream water quality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orrent control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pH of stream water didn't get out of the range of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class I. After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idn't chang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s agreed well within the range of normal clean stream water qual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average of total amount of anion was 3.07/2.30~3.60 mg/L, being slightly greater than before construction. Stream water qual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was similar to before construction. Therefore, it was find out that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didn't affect stream water quality.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홍계 계곡에 설치한 맞춤형 테트라블럭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설치 전 후의 계류수질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림내 계류수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테트라블록(Tetrapod)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도 계류수의 pH는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시공 후 계류수의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오염원이 없는 맑고 깨끗한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전기전도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 하류의 평균 음이온량(Average of total amount of anion)은 약 3.07/2.30~3.60 mg/L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하기 전과의 차이는 약 0.24 mg/L로 그 양도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계류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수질과 유사하여, 이러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에 따른 계류수질 오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관리소. 1997. 북한산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보전계획.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관리소. pp. 128.
  2.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동부관리사무소. 1998. 북한산 국립공원 생태조사 모니터링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동부관리사무소. pp. 86.
  3. 박재현. 1995. 산림유역에 있어서 계류수질 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I). 자연보존 92: 23-38.
  4. 박재현. 1996. 산림유역에 있어서 계류수질 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II). 자연보존 95: 38-52.
  5. 박재현. 1997. 산림유역에 있어서 계류수질 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III). 자연보존 97: 33-42.
  6. 박재현. 1999. 북한산국립공원 북동사면 일대 계류수질 특성. 한국임학회지 88(1): 101-110.
  7. 박재현. 2000. 북한산국립공원 북동사면 일대 계류수질 특성(III) - 계류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9(3): 297-305.
  8. 박재현. 2001. 북한산국립공원 북동사면에서 동결융해침식 및 토사유출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0(4): 513-523.
  9. 박재현. 2002a. 계류생태계 보전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사방 전략(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5): 67-75.
  10. 박재현. 2002b. 북한산국립공원의 계류수질 보전 전략(I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1): 8-18.
  11. 박재현. 2002c. 계류 및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수변림 관리 방안. 자연보존 21: 157-188.
  12. 박재현. 2003. 북한산국립공원에서 동결융해침식토사 및 유량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2): 11-20.
  13. 박종관. 1997. 물환경조사법. 청문각. pp. 186.
  14. 양홍준, 이용호. 1999. 소백산 국립공원 계류의 수환경 및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한국생물상연구지 4: 221-236.
  15. 우보명. 1992. 신제 사방공학. 향문사. pp. 56.
  16. 이헌호, 박재철. 1998. 소나무와 상수리나무림의 임내우물수지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12(3): 259-270.
  17. 이도형, 이기환, 이헌호, 마호섭, 배관호, 김종현. 2009.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의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 353-364.
  18. 田祥麟, 黃鍾瑞. 1992. 發旺山 溪流의 水環境 및 淡水魚類相. 韓國自然保存協會 調査報告書 第30號: 105-119.
  19. 田祥麟, 黃鍾瑞. 1993. 智異山의 七仙溪谷, 白武洞溪谷 및 뱀사골溪谷의 水環境과 淡水魚類相. 韓國自然保存協會 調査報告書 第31號: 141-151.
  20. 田祥麟, 黃鍾瑞. 1995a. 芳台山 北斜面一帶의 水環境과 淡水魚類相. 韓國自然保存協會 調査報告書 第35號: 121-134.
  21. 田祥麟, 黃鍾瑞. 1995b. 小白山 國立公園 溪流의 水環境 및 淡水魚類相. 韓國自然保存協會 調査報告書 第33號: 141-149.
  22. 洪思渙. 1985. 溪流水의 汚染과 對策. 자연보존 50: 8-11.
  23. 洪淳佑, 張鎔錫. 1984. 雪嶽山 溪流의 水質環境 및 水生微生物. 雪嶽山學術調査報告書: 363-369.
  24. 黃鍾瑞, 鄭眞姬. 1998. 五臺山國立公園 西北斜面 一帶의 水環境. 韓國自然保全協會調査硏究報告書 第38號: 135-141.
  25. 佐藤冬樹, 笹賀一郞, 藤原滉一郞, 桀本浩志. 1992. 道北地方における降雪の化學性と小河川の水質(1)-冬期渴水期の小河川の水質-. 日林論 103: 601-602.
  26. 廣瀨 顯, 岩坪五郞, 堤利 夫. 1988. 森林流出水の水質についての廣域的考察(1). 京都大學農學部演習林報告 60: 162-173.
  27. 國府田悅男, 荒川健司, 秋田求 等. 1984. 上鄕池における炭酸.重炭酸イオン及び溶存酸素濃度の經時變化とその相關性. 筑波の環境硏究 8: 86-90.
  28. Fredriksen, R.L. 1970. Erosion and sedimentation following road construction and timber harvest on unstable soils in three small Oregon watershed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PNW-104. pp. 15.
  29. Johannessen, M.A. Skartveit and Wright, R.F. 1980. Streamwater chemistry before, during and after snowmelt.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logy and the Impact on Acid Precipitation, Norway SNSF project.
  30. Peters, N. and Leavesley, G.H. 1995. Biotic and abiotic processes controlling water chemistry during snowmelt at Rabbit Ears Pass, Rocky Mountains, USA. Water Air Soil Pollut 79: 171-190. https://doi.org/10.1007/BF01100436
  31. Rosengvist, I.T. 1978. Total Environment. Science 10: 39.
  32. Skreslet, S., $Leineb{\psi}$, J.B.L. Matthews and E. Sakshang. 1976. Association of Norwegian Oceanographers. pp. 21.
  33. Soulsby, C., Helliwell, R.C., Ferrier, R.C., Jenkin, A. and Harriman, R. 1997. Seasonal snowpack influence on the hydrology of a subarctic catchment in Scotland. Journal of Hydrology 192: 17-32.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12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