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lief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4초

도심지 붕괴사고에 따른 매몰지역 생명선 시공기술 평가 (Assessment of Lifeline Construction Technology for Buried Alive in Building Collapse)

  • 유병현;강재모;이장근;김영삼;주낙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47-52
    • /
    • 2016
  • 최근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설계 용량을 초과하는 잦은 위험기상 등으로 자연재난의 빈도가 증가하고 피해규모도 대형화되고 있으며, 도시화 진전에 따른 시설의 고층화 노후건축물 증가와 세계화에 따른 유동인구 및 물류 증가 등이 신종 복합 재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재난위험 사전 감지, 실시간 정보분석, 재난현장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지만, 매몰자 긴급구호에 필요한 시공에서는 반드시 검증된 기술을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장 시험시공을 통한 검증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시설물 붕괴 재난 사고 발생 시 매몰지점에 고립된 피구호자를 대상으로 골든타임인 72시간 이내에 식수 및 구호품을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한 1차 생명선 설치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 굴착 성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미나마타병 사건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and Minamata Disease)

  • 최예용;이인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6-339
    • /
    • 2019
  • Objectives: Minamata disease was an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 of worldwide notoriety that occurred in Japan. The acknowledged patients total roughly 3,000, and the relieved victims currently include 77,099 cases. Still, many cases await acknowledgment or relie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ssue is an environmental health catastrophe that took place in Korea. Over 9.98 million products spanning 43 brands of humidifier disinfectant have been sold and 835, cases have been recognized to date as relevant victims by the government. So far, 2,144 cases have been relieved by the fund of the producing companies. Four million consumers and 560,000 victims are estimated. Finding hints as to how to develop solutions in terms of fact-finding and prevention a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Methods: Fields visits, interviews, and workshops as well as reference reviews have been conducted. A comparison was attempted to show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asters on 38 items. Results: Apparent similarities in the two disasters are the failure of industrial safety measures and governmental safety systems as well as relief systems for the victims. No comprehensiv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all of the affected areas in Japan and all of the consumers in Korea. Both governments have tried to hide the faul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mpanies and minimize the scale of the victims. Only after the government was changed through a general election did the new governments apologize and attempt to find political and social solutions through special relief laws. Conclusions: Over the process of each event, in the beginning, debates took place regarding the cause and the heath damages involved. For both, medical and toxicological relations are the keys while afterward finding a social solution became the subsequent issue.

수해경험 노인의 인적자원과 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The Use of Human Resource and Emergency Service of Elderly Affected by Flood Disaster)

  • 정순둘;김고은;박지영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43-146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way to support flood disaster older survivors with analysing how relief services and their human resource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4 elderly aged over 65 years from Inje and Pyungchang in Gangwon province where lots of flood damages were d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elderly used human resources of public servant/military soldiers, volunteers as public or official services than as private resources. These results provide the evidence that public or official human resources are very helpful to control their emergency situations because there is hardly any use of their private human resources except for assistance from their family. And it shows that older people are willing to use services of life rescue and information services of their family members safety rather than basic supplies, medical care or medicine providing. With this findings we suggest informing the news of family safety including basic necessaries are highly signigicant. Thus, it is useful for disaster planners to understand building immediate life rescue and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systems. These are relevant to older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thus, providing news of family safety including offering material resources are highly needed for older disaster survivors.

  • PDF

재해자 지원으로 본 일본의 지진보험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Disaster Support System for View Point Research about Japan Earthquake Insurance Problems)

  • Kang, Shinwook;Park, Namkw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30-237
    • /
    • 2014
  • 자연재해로 인한 재해자 지원제도에는 크게 자조(自助)와 공조(共助)그리고 공조(公助)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자 지원 제도 중의 공조(共助)(지진보험, JA공제, 전노제)를 대상으로 동일본 대지진의 사례를 분석하여 보급 현황과 함께 급부의 제약 등에 관련된 여러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종 간행물과 홈페이지를 활용한 자료 답사, JA건경이나 손해보험회사에 대한 히어링을 실시했다.

철도종사자의 사회 재난 적응 경험: 1977년 이리역 폭발 사고를 중심으로 (Social Disaster Adaptation Experiences of Railroad Workers: Focused on the Iri Station Explosion of 1977)

  • 정호기;양야기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19
  • Purpose: The Iri station explosion that occurred in 1977 was a major social disaster in Korea, caused by a fire in a train equipped with explos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aster adaptation experiences of railroad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six railroad workers who experienced the Iri station explos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workers from March to June, 2018.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Colaizzi's approach. Results: Experiences of railroad workers were categorized into 12 themes and the following 6 theme clusters: (1) Anxiety due to the extreme vibration and crash, (2) Terror regarding the horrible situation that one cannot face, (3) Anger about the cause of the explosion and a sense of relief about survival, (4) Confusion regarding different rumors, (5) Various efforts to return to daily life, and (6) Trauma that continues to exis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 that railroad organizations and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enhance disaster preparedness and develop organizational disaster coping guidelines for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 Iri station explosion of 1977.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 윤유상;서상욱;이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46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당위성에 관한 고찰과 제언 (A Proposal in Enacting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Bill)

  • Choi, Sangok;Lee, Jeong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6-121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안전 교육 훈련 정책의 방향과 시행 기본원칙, 기본이념과 정의 등의 내용을 담은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필요성을 검토한 논문이다. 이 법의 주요 목적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국민들에게 안전교육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전의식을 고양하고 재난 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될 것이다. 이러한 국민안전교육진흥법의 제정은 재난안전 및 구호분야 교육 훈련과 정책수단 마련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며 치명적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속에서 국가사회 전체의 안정적인 재난 대처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국민의 안전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방재정보통신시스템 관리 운용 및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for Preven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11-618
    • /
    • 2008
  • 방재통신시스템은 방재행정무선시스템을 주체로 정비되고 최근에는 위성통신을 확대하고, 유선통신과의 상호보완 멀티미디어화 등을 들 수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방재정보통신 분야로는 풍수해, 시설안전, 교통안전, 산업안전, 에너지안전, 소방안전, 정보통신 안전, 특수안전 분야에는 방사능 누출사고, 환경오염, 해양오염, 산림재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이용한 방재정보통신시스템을 통신 기반시설로서 방재와 관련한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 운용하는 시스템 및 용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재난관리조직의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A Study on Practical Analyzing and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of Korean Government)

  • 권오한;남상화;이춘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7-138
    • /
    • 2001
  • 재난관리업무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각 부처간에 서로 연계되는 분야가 많아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지만 행정조직상으로 볼 때 재난관리업무가 분산되어 있으면서도 총괄 조정하는 기능이 미흡하고, 재난관리 담당인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전문성도 결여되어 있고, 대개는 이들 부서들이 업무가 과중하여 기피하는 부서 정도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재난을 크게 양분화하여 인위재난 및 자연재해를 분리하여 그 소관부서 및 법체계를 달리하고 있어 비효율적 재난관리체제를 취하고 있어 현재 미국에서의 재난이론의 개념 즉 "재난은 그 유형에 관계없이 계획, 수습 및 복구의 양태는 동일하다"는 원칙에 반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아직은 중앙과 지방의 역할이 불분명하거나 분명하더라도 서로 그 역할을 해 내기를 바라는 점은 철저한 계획수립과 점검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사항이다.

  • PDF

조선시대 제주도의 기상재해와 관민(官民)의 대응 양상 (Meteorological Disaster of Jeju Island in Chosun Dynasty and the Response Aspect of Government and Islanders)

  • 김오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58-872
    • /
    • 2008
  • 본 연구는 사료를 기초로 조선시대 제주도의 기상재해에 대하여 살펴보고, 정부와 제주민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제주도의 기상 특이일 기록 건수는 17세기가 가장 많았고, 18세기, 16세기, 15세기, 19세기 순으로 나타났다. 기상재해의 유형별로는 풍해가 가장 많았고, 수해, 한해(旱害), 설동해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제주목이 풍해와 수해가 많았고, 대정현은 한해가 많았다. 기상재해가 발생하면 기근으로 이어지는 것이 상례였다. 정부에서는 한반도의 곡식을 제주도로 이전하여 백성을 구제하였으며, 이를 위해 갈두진창, 나리포창, 제민창을 설치하였다. 또한 제주도 백성을 평안도 등 한반도로 이주시켜 만성적인 기근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상 기후에 대응하여 제주도 농민들은 답전, 바령, 복토, 방풍 등의 농법을 행하였고, 해민들은 환전, 석력 선적 등의 항해술을 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