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qual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주택 공간구성에 따른 장애요소분석 및 개선대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태백시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Rural Housing Space by Analysing of Barrier the Space Organization - Focused on Housing in Taebaeksi -)

  • 안성준;김인순;이규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7-25
    • /
    • 2014
  • Purpose: Generally, rural housing in Korea have had target of people who are in good physical health rather than the disab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ffer high 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ways to promote ease and safety in the rural housing. Methods: This study evaluates the accidents, improvement factors, satisfactions, complaints by space of 153 rural housing in Taebaeksi. Results: This study divides the a rural house into 7 sectors : a passage to entrance, an entrance hall, a livingroom, a bedroom, a bathroom, a kitchen, and utility room.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plan that rural housing to be barrier free space. First, in passage to entrance of the hous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experience difficulties in walking, so installing ramps to remove the stepped slope grade without slip so that the floor finish should be. Second, entrance hall need more space to change and keep wheelchair. Third, switches and handle should be installed various height and form depend on the behavior of residents. Forth, install a drain to make no changes in level of bathroom. Implications: This research could be the basic data to renovate the rural housing.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개념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적 배제에서 포함으로- (A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about the Disabled -From Social Exclusion to Inclusion-)

  • 신유리;김경미;유동철;김동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5-28
    • /
    • 2013
  • 최근 사회적 포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에 대한 연구들도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장애인복지 영역에서 당사자들로 하여금 시민권자로서의 권리와 자원 등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패러다임의 재고, 새로운 관점 및 개념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사회적 포함의 관점이나 개념적 접근은 장애인들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제반영역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과제제안에 유용한 접근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부터 각 개념과 구성요소, 특성, 유용성 및 제한성 등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기초로 장애인에 대해 사회적 포함이 어떻게 개념화 되는지 고찰하고, 그리고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 포함의 개념적 접근이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 개발을 위한 의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Wearing Apparel Conditions and Clothing P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a Suit for Disabled Males in Wheelchairs)

  • 이재향;양정은;박광애;박장운;유희천;배수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33-74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existing ready-made clothes and clothing preferences through a survey of 197 wheelchair-bound males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uit that consider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in wheelchairs for improved quality of living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the 30s to 40s age group was the largest at 71.6%.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was myelopathy at 72.6%. Also 59.9% of respondents had a job and ongoing external and social activities. As for the duration of wheelchair use, 10-20 years was the longest at 40.6%. It was found from the survey that respondents felt inconvenienced with existing clothes and changing pants was most inconvenient. Most experienced having their clothes altered due to the difficulty in finding well-fitting ones; consequently, the length of pants was the most altered item because pants are based on the size of a standing man and there exists a discrepancy in length due to the atrophy of the legs of the disabled. They preferred one style in general for clothing preferences as well as common design and details as well. However, they preferred a style with a short front and long back due to a discomfort in jacket length. A short length was the most complained about pants item.

국내 장애인을 위한 시간사용중재의 효과: 체계적 고찰 (The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for Disabled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이은아;정재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65-573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을 위한 시간사용중재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고찰 연구로, 시간사용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게재된 국내연구 문헌을 대상으로 PRISMA flow chart를 사용한 문헌선정과정에 따라 최종 5편의 문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국내 장애인을 대상으로 적용된 시간사용중재 연구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삶의 질,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우울, 자기효능감, 작업참여와 생활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더욱 다양한 대상에 따라 시간사용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많이 다루어져야 할 것을 기대하고 임상적 적용 근거 제공으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ency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a Disabled)

  • 김연옥;윤덕찬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285-312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에게 있어 동일한 조건 속에서도 시설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시설운영방식의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자질과 능력이 다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장애인생활시설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13개소의 2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공통역량으로 갈등 및 문제해결력, 개선 의지, 대내외 관계 구축 등의 항목들이 도출되었으며, 시설종사자의 직위별·직종별로 요구되는 역량도 각각의 직위와 직종에 따라 모두 상이한 항목이 도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각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유니버설 패션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al Fashion Design)

  • 나현신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124-135
    • /
    • 2007
  • Nowadays the numbers of the disabled and elderly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universal design is desperately in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deas and solutions for the universal fashion design. The concept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ave been examined and principles of universal fashion design were suggested: low physical effort, flexibility in use, fair in use, aesthetics, safely-oriented, affordability, and accessibility. Eighteen web sites were investigated and the universal fashion 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principles. Well developed universal fashion design products will help individuals to obtain the quality of life, maintain the dignity, and make the access to the world a little bit easier.

재가장애인 방문치료에 대한 연구고찰 (Home Care Service for the Handicapped)

  • 이혜영;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1호
    • /
    • pp.179-18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necessity of home care service for the handicapped. The Present momentum for home care for the handicapped become when the circulating rehabilitation service center for the handicapped w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That was 1992. Home care service is a burgeoning segment of Korea health Service, driven by factors which include an expanding elderly population and increasing the disabled persons. To ensur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diminishing financial resources allocated to health me, it is essential that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nd home care service be extended.

  • PDF

장애인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방안 (A Study on Plan to revitalize IT Education for the Disabled' QOLT(Quality of Life Technology))

  • 배기태;윤혁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65-26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화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고 삶의 질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정보화교육 강사의 역량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이용을 보장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장애인 정보화 교육장 운영 합리화 방안에 대한 환경을 마련하였으나 실제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화 교육 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실효성이 높지 않은 측면이 있다. 장애인 정보화 교육 강사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 교육 및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정부지원을 통해 장애인정보화 보육 강사가 안정감 있게 교육 업무에 집중하고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게 한다면 장애인들의 정보화 및 고용 창출, 및 삶의 질 향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장애인방송 기술개발 현황 (Status of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echnology for the Disabled)

  • 안충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3호
    • /
    • pp.1-12
    • /
    • 2019
  • In the digital era, broadcasting plays a very large rol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s it no longer merely provides information or entertainment media.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broadcasting is the primary means of acquiring information, so its role as a public service needs to be expand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enable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raditional methods of disability broadcasting, i.e., closed caption, sign language, and descriptive video service, with an acceptable level of quality. In this study, we review the current trends of, and concerns related to, broadcasting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as well as technological trends, and proposals for increasing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to broadcasting for hearing-impaired people.

장애인 직무적응에 대한 재활보조공학 이용 효과 연구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in adaptation to disabled job Effect on the use of research)

  • 정세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9-66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이 재활보조공학시스템을 이용하여 취업한 기업의 직종 및 직업분야에 적응 만족을 갖게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재활보조공학지원(재활보조공학의 H/W와 S/W)과 서비스품질의 질을 기반으로 취업생이 직장생활에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전반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에 소재한 기업체에서 직업교육훈련을 받고 취업한 장애인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지 594부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EM(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보조공학H/W(하드웨어)의 질은 재활보조공학S/W(소프트웨어)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재활보조공학S/W의 질은 서비스품질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활보조공학H/W의 질은 서비스품질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서비스품질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재활보조공학S/W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재활보조공학H/W의 질은 취업생 적응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매개변수(서비스품질의 질)로도 간접효과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재활보조공학지원(재활보조공학 H/W와 S/W) 기반으로 한, 서비스품질의 질과 융합적인 형태로 수용할 경우, 취업생 적응에 대한 행동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