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Measuring Method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5초

A correlation method for high-frequency response of a cargo during dry transport in high seas

  • Vinayan, Vimal;Zou, Ju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143-159
    • /
    • 2016
  • Cargo, such as a Tension Leg Platform (TLP), Semi-submersible platform (Semi), Spar or a circula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are frequently dry-transported on a Heavy Lift Vessel (HLV) from the point of construction to the point of installation. The voyage can span months and the overhanging portions of the hull can be subject to frequent wave slamming events in rough weather. Tie-downs or sea-fastening are usually provid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argo during the voyage and to keep the extreme responses of the cargo, primarily for the installed equipment and facilities, within the design limits. The proper design of the tie-down is dependent on the accurate prediction of the wave slamming loads the cargo will experience during the voyage. This is a difficult task and model testing is a widely accepted and adopted method to obtain reliable sea-fastening loads and extreme accelerations. However, it is crucial to realize the difference in the inherent stiffness of the instrument that is used to measure the tri-axial sea fastening loads and the prototype design of the tie-downs. It is practically not possible to scale the tri-axial load measuring instrument stiffness to reflect the real tie-down stiffness during tests. A correlation method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account for the stiffness differences and correct the measured results. Direct application of the measured load tends to be conservative and lead to over-design that can reflect on the overall cost and schedule of the project. The objective here is to employ the established correlation method to provide proper high-frequency responses to topsides and hull design teams. In addition, guidance for optimizing tie-down design to avoid damage to the installed equipment, facilities and structural members can be provided.

Effects of Daidzein on Testosterone Synthesis and Secretion in Cultured Mouse Leydig Cells

  • Zhang, Liuping;Cui, S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18-62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direct effects of daidzein on steroidogenesis in cultured mouse Leydig cells. Adult mouse Leydig cells were purified by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and the cell purity was determined using a $3{\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3{\beta}$-HSD) staining method. The purified Leydig cell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10^{-7}$ M to $10^{-4}$ M) of daidzein for 24 h under basal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stimulated conditions. The cell viability and testosterone production were determined, and the related mechanisms of daidzein action were also evaluated using the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ICI 182,780 and measuring the mRNA levels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cholesterol side-chain cleavage enzyme (P450scc), and $3{\beta}$-HSD-1 involved in testosterone biosynthe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daidzein did not influence cell viability. Daidzein increased both basal and hCG-stimulated testosterone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is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concentrations of $10^{-5}$ M and $10^{-4}$ M daidzein (p<0.05). ICI 182,780 had no influence on daidzein action. RTPCR results revealed that $10^{-5}$ M and $10^{-4}$ M daidzein did not exert any obvious influence on the mRNA level of P450scc in Leydig cells. However, in the presence of hCG, these concentrations of daidze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tAR and $3{\beta}$-HSD-1 mRNA levels (p<0.05), but in the absence of hCG, only $10^{-5}$ M and $10^{-4}$ M daidzein up-regulated the StAR and $3{\beta}$-HSD-1 mRNA expression (p<0.0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idzein has direct effect on Leydig cells. Daidzein-induced increase of testosterone production is probably not mediated by the estrogen receptor but correlates with the increased mRNA levels of StAR and $3{\beta}$-HSD-1.

컨텍스트에 기반한 두 인스턴스 사이의 의미 관계 정도 측정 (A Measurement for the Degree of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wo Instances Based on Context)

  • 한용진;박세영;박성배;김권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72-678
    • /
    • 2008
  • 실세계의 객체들은 서로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고, 이러한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연결되는 새로운 간접적인 관계를 가진다. 온톨로지는 객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명시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온톨로지를 이용함으로써 객체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새롭게 발견된 객체들 간의 관계는 커뮤니티를 찾거나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응용에서 두 객체간에 관계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객체들 간의 관계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객체들 간의 연결되는 패스를 주요하게 다루어 왔지만 두 객체 사이에 연결된 패스는 없더라도, 온톨로지의 스키마를 통해 의미를 가지는 관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객체들 간에 패스로 연결되는 관계는 물론 객체가 속하는 스키마를 통해 관계하는 정보들도 활용해서 두 객체간의 관계정도를 측정한다. 실험 결과 두 객체 사이에 스키마를 통한 관계에서 많은 의미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에 대한 문헌 고찰 (Electroencephalography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 곽호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9-16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 환자의 신경학적 변화 측정도구인 뇌전도의 측정도구 및 방법, 평가와 분석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영역에서 뇌전도 측정 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Science Direct를 사용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 'Electroencephalography', 'stroke', 'intervention OR training'을 사용하였다. 결과 : 뇌전도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재활의 효과를 뇌의 활성화 상태 변화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기능적 뇌 재조직화 매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도 측정도구의 경우 다양한 채널, 전극의 형태 및 전극 부착 부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과해석에 사용되는 주파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 뇌전도는 중재에 대한 효과성을 신경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작업치료를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rect Headspace Sampling 방법을 이용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asuring Volatile Terpenoids in Carrots Using the Direct Headspace Sampling Method)

  • 박용;류장발;박상규;박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36-540
    • /
    • 1997
  • 고품질 당근을 육성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를 GC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여러가지 휘발성 terpenoids 표준물질을 DHS(direct headspace sampling)방법으로 검출한 결과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alpha}-terpin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의 7가지 성분이 명확히 분리되었으나, ${\alpha}-phellandrene$${\beta}-myrcene$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terpinen-4-ol, bornyl acetate, ${\alpha}-bisbolol$ 등 비등점이 높은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7가지 terpenoids 성분의 표준곡선은 결정계수$(r^2)$가 전부 0.99 이상으로서 고도로 유의한 표준곡선이었다. DHS 방법을 통한 본실험의 재현성을 측정한 결과,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total terpenoids의 변이 계수(C.V.)가 각각 6.8, 6.8, 8.4, 7.1, 3.8, 10.1, 7.1%로 $3.8{\sim}10.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세계적으로 많이 재배되는 당근 65품종에 대한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alpha}-terpin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total terpenoids를 측정한 결과, 각각 $0.28{\sim}2.48\;ppm$, $0.35{\sim}1.87\;ppm$, $0.56{\sim}1.51\;ppm$, 0 ppm, $0.59{\sim}1.84\;ppm$, $0.87{\sim}3.33\;ppm$, $5.15{\sim}35.81\;ppm$, $9.07{\sim}42.30\;ppm$으로서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Total terpenoids 의 경우 65품종 중 5품종(7.7%)이 10 ppm미만이고, 15품종(23.1%)이 $10{\sim}11.99\;ppm$, 14품종(21.5%)이 $12{\sim}13.99\;ppm$, 9품종(13.8%)이 $14{\sim}15.99\;ppm$, 10품종(15.4%)이 $16{\sim}17.99\;ppm$, 4품종(6.2%)이 $18{\sim}19.99\;ppm$, 5품종(7.7%)이 $20{\sim}29.99\;ppm$, 3품종(4.6%)이 30 ppm 이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이 구미에서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는 품종들에 비해 total terpenoids 함량이 낮은 편이었다.

  • PDF

광량 측정을 통한 전자습윤 현상의 동작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Electro-wetting Velocity by Measuring Transmission Intensity)

  • 박승룡;송석호;오차환;김필수;오병도;정상국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7-353
    • /
    • 2006
  • 전자습윤현상에 기초한 응용 기술들은 액체렌즈로 대표되는 광학분야에서부터, 바이오 칩 등의 생체분야까지 다양하지만, 아직 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수 미리 초에 발생하는 현상을 측정하는 방법도 매우 제한적이다. 전기 습윤의 동적인 현상을 측정, 평가 하기 위해서는 전압 인가 후 빠르게 움직이는 계면의 동적 현상이 계면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수치로 표현되어야 하며,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습윤 현상에 의한 액체 계면의 동적인 변화를 광량변화를 통해 실 시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시된 광량변화 측정 방법은 장치가 단순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고가의 장비 및 추가의 데이터 분석 기술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연속적인 실시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노광 광학계의 왜곡수차 측정에 관한 연구 (Direct Measurement of Distortion of Optical System of Lithography)

  • 주원돈;이지훈;채성민;김혜정;정미숙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7-102
    • /
    • 2012
  • 일반적으로 왜곡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패턴의 전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왜곡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카메라 등의 광학계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1um이하의 정확도를 요구하는 왜곡수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고가의 정밀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이미지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는 매뉴얼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왜곡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주요 아이디어로는 CCD나 CMOS를 이용하여 마스크 이미지를 일부 중첩되도록 분할측정하고 인접중첩영역의 이미지를 통합하여 마스크 이미지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다. 마스크 이미지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해 Canny Edge Detection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확보된 위치정보로부터 좌표변환과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왜곡수차를 계산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Lagrangian 전자부자를 이용한 수리모델 검증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hydraulic model using lagrangian GPS floater)

  • 이호수;이정민;한은진;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1047-1055
    • /
    • 2019
  • 수질오염사고 발생시에 다양한 수환경 조건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 예측을 위해서 여러 가지 유형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물의 흐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모델은 가장 기초가 되면서 전체 모의결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수리모델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모델링 결과의 검증에 있어서 실제 하천에서 직접 실측한 결과를 이용한다. 현재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 ADCP와 FlowTracker를 많이 운영하는데 ADCP는 수심이 0.6 m 이하인 경우와 수면 부근의 측정불가역의 비율이 40% 이상일 때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FlowTracker의 경우 도섭을 이용한 측정방식으로 인해 고수심 및 고유속 조건에서 측정에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의 실측값을 통해 검증된 모델은 수심이 낮은 저유량기 모의와 유속이 빠른 고유량기에서의 모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Euler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수체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Lagrangian 방식의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였다. GPS 전자부자를 이용해 측정한 유속과 수리모델의 모의결과를 비교하여, 모델결과의 검증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GPS 전자부자의 이동거리와 LPT 모델 입자의 이동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평균 13.6%의 오차율을 보이며, 구간별 유속 차이에서도 정체구간을 제외하면 평균 3.2%의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여 수리모델의 결과에 대한 보정 및 검증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이용한 슬래브의 컬링형상 추출기법 개발 (Development of Extraction Method of Slab Curling Shape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Profile Data)

  • 전범준;이승우;문성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9-18
    • /
    • 2008
  • 줄눈 콘크리트포장(JCP-Jointed Concrete Pavement)의 경우 포장단면 온 습도차에 의해 슬래브 내의 컬링이 발생하게 된다. 컬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슬래브의 휨 형상 및 크기는 포장내 응력 및 평탄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장의 구조적, 기능적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슬래브의 휨 형상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시공초기에 포장내에 다량의 계측기를 매설하여야 하며, 시공초기부터 거동의 정교한 측정이 필요하고 고가의 실험비용 및 기술적 인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Profile Data)에 파워 스펙트럼 분석(Power Spectrum Density Analysis) 및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기법 등을 적용하여 임의의 시간에서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슬래브 휨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기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중부내륙에 위치한 시험도로 줄눈 콘크리트 포장에서 시간대별 프로파일을 측정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슬래브 휨 형상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동 시간대의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CRCP-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구간에서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줄눈 콘크리트포장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여 개발한 슬래브 휨 형상 추출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Mediation of Gene Flow in Tropical Trees of Sub-Saharan Africa

  • Onokpise, Oghenekome U.;Akinyele, Adejoke 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12
  • Tropical forests whether fragmented or undisturbed or be they equatorial or deciduous, remain the storehouse of biodiversity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plant and animal species. This unique characteristic continues to attract a wide range of scientis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study and attempt to understand tropical forest ecosystems. Gene flow is mediated by pollen, seed and seedling dispersal, and factors affecting this gene flow include phenology, spatial distribution, population structures, seed predation, sexual and mating systems as well as physical and biological barriers to gene flow. Two methods are used in measuring gene flow: direct method that relies on the actual observation of seed and pollen dispersal, whereas indirect methods involve the use of genetic markers such as allozymes and DNA techniques. Political strife, extreme natural and artificial disasters, the lack of a comprehensive forestry research vision, coupled with difficult socio-economic conditions in Africa have made the environment quite difficult for sustained research activities on the part of those undertaking or wishing to undertake such studies. Gene flow studies in this region are few and far between. This review elaborates on the mechanisms of gene flow mediation in Sub-Saharan Af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