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writing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9초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 DST Project to Develop English Skills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00-206
    • /
    • 2020
  • Digital storytelling, a 21st century educational tool that combines digital media with storytelling, is considered as a powerful tool to learn foreign languages in an authentic and meaningful way. This study explored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a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implemented to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The results of 9 week-long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ents' attitudes were positive: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ir English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process writing approach and videotaping tasks provided them with good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lthough many students had difficulties selecting a topic and writing a script in the initial stage, they could handle with these challenges with the help of professors' feedback an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projects. After completing the project, most students expressed a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effectively met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needs and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Writing education using Characteristics at hypertext

  • Lee, He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9-14
    • /
    • 2018
  •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latest progress i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ffects the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era, collecting numerous pices of information online, and arranging them to create new knowledge is important. There is also a need to seek new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to stay in tune with the times. To that end, this paper suggests an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This writing model consists of a total of five stages, which are use of information, compilation of information, open mutual discussion, search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writing to recreate knowledge. The final outcome of such writing is writing using footnotes. By describing the gist of the keyword and adding numerous footnotes, such writing opens up an infinite possibility of re-creating information into new knowledge. This method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the digital society to proactively use information and improve multi-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day. This author applied such a model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found that more than 82%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recreation of knowledge in writing, learners found distinct benefits and noted their horizons had broadened. Given this effect, the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is meaningful in that it forms a learning community that goes beyond a one-way feedback from instructor to student and instead nudges students to realize collective intellect. Moreo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moves away from a top-down approach of the instructors passing down knowledge about writing and its rules, and towards a more proactive involvement by students in creating knowledge.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of Reading/Writing Culture and Emerging Digital Contents-Focusing on Bakhtin's "The prose of everyday life")

  • 구모니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1-382
    • /
    • 2011
  • 인류가 고대로부터 물려받은 읽기/쓰기 행위는 인류의 의사소통 체계이자 지식정보 전달 체계로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디지털적 읽기/쓰기로 개개인의 일상사에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 그야말로 혁명적으로 일상적 담론과 대화들이 증폭된 지금 본 연구자는 이 시대의 '디지털적' 읽기/쓰기 방식과 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을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그러한 현상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재창조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과거 읽기/쓰기는 '기록'의 과정을 통해 '서사의 창조'라는 지점에서 신성성을 부여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현대로 오면서 데이터 간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변모하고 있다.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와 쓰기는 선형적 서사성의 결여로 비난 받아야 할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변화의 한 과정이며 결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읽기와 쓰기 방식의 변화는 콘텐츠의 층위, 지위, 의미, 가치의 변화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디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읽기/쓰기 방식을 새로운 대중문화 현상으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기독교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성경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 (Application Plan of Bible Storytelling in Writing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83-1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의 이념과 인재상에 적합한 글쓰기 교육 형태를 제안하고 그 효과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디지털 글쓰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성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형태는 크게 두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성경 청취와 묵상이요, 둘째는 미디어 텍스트 창작이다. 첫 활동에는 '성경 스토리텔링의 청취와 관찰', '탐구와 묵상'이 포함되며, 두 번째 활동에는 창작을 의미하는 '적용과 실천,' 공유를 의미하는 '공동체 나눔'이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교육 형태를 제시하고 난 후, 본 연구는 다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매체 활용과 상호 작용성의 장점 활용, 둘째, 스토리텔링의 개인 및 공동체의 치유적 효과 활용, 셋째, 글쓰기와 기독교 교육(신학)의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와 글쓰기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로의 확장적 적용이다.

디지털 시대 '사진쓰기'의 의미 (Meaning of 'Writing of Picture' in the Digital Era)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56-163
    • /
    • 2012
  • 2011년 올림푸스 광고에는 '사진을 쓰다'라는 카피가 등장했다. 보통 사진 뒤에는 흔히 '촬영하다'라는 동사를 붙이지만, 광고에서는 '쓰다'를 사진과 연결시켜 새로운 문장으로 만들었다. 디지털 시대로 들어서면서 디지털 기기가 대중화되고 사람들은 인터넷에 글과 사진을 함께 기재하는 행위도 덩달아 대중화되었다. 사진을 먼저 찍고 후에 글을 쓰든, 글을 먼저 쓰고 후에 사진을 찍든, 디지털 시대에 '쓰다'와 '찍다'의 의미는 사실상 비슷하다. 사람들은 이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진 등의 여러 이미지와 글을 동시에 사용한다. 이것은 곧 글을 쓰는데 사진이 도움이 된다는 뜻이기도 하고, 과거와는 달리 글의 의미전달이 문자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수많은 이미지들 속에서 자라난 디지털 네이티브들에게는 이런 분위기는 당연한 일이라 국어교육계에서는 사진 및 미디어 매체를 글쓰기에 활용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이다.

The Effectiveness of a Training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ies to Develop Writ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ALMAGHRABI, Emtenan Saud;Alqudah, Derar Moham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25-32
    • /
    • 2022
  •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 training program based on digital stories to develop writ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12)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who were chosen intentionally. The result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aintenance of this improvement over time a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in favor of the post-measuremen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post and follow-up measurements on the writing skills scale. This indicates the long-term impact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recommend the need to expand educational programs' adoption of digital stories to develop the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전문가 집단의 글쓰기 담론 연구: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Writing Discourse Study in a Group of Professionals: Focusing on YouTube)

  • 조영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31-341
    • /
    • 2021
  • 이 논문은 유튜브(YouTube) 영상에 나타나는 작가와 소설가, 글쓰기 강사 등 전문가들의 글쓰기에 관한 담론을 서사 분석 방법으로 연구했다. 분석 결과 글쓰기 담론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핵심 주제는 첫 번째가 글쓰기를 위한 적극적 독서, 두 번째 쉼 없이 쓰고 더 많이 쓰기, 세 번째 재능보다 열 번 고쳐 쓰기, 네 번째 1인 미디어 시대, 구어체로 글쓰기, 다섯 번째가 소셜 미디어에서 피드백 나누기였다. 전문가들의 글쓰기 담론은 소셜 미디어 시대의 글쓰기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첫째는 읽기 중심에서 쓰기와 고쳐 쓰기 중심으로 글쓰기 문화의 중심이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소셜 미디어 시대의 글쓰기는 자연스럽게 말하듯 글을 쓰는 구어체가 지배적인 코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셜 미디어 시대 글쓰기는 공개적으로 피드백을 나누는 협력과 공유의 사회적 글쓰기인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미디어와 글쓰기에 관한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Use of the Computer in Written Language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07-613
    • /
    • 2007
  • Current changes in the written language curriculum have lead to emphasis being placed on the process involved in writing rather than the product. Writing is being viewed as a means of exploration, with text being manipulated in revision until a clear message is conveye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the computer in written language, as a tool to facilitate learning, increase interaction and alter children's attitudes. Some children from a local primary school participated in a project which gave them access to a computer and guidance during the process of revision. Evaluation of this study showed a two-fold effect. Firstly the writ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developed with their increased involvement in the process. For example, the children began to read what they had written thereby independently evaluating the content. Secondly, arising from this, as a sense of control over their writing was gained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s writing became more positive.

  • PDF

온라인 영어쓰기학습에서 Padlet 활용이 쓰기 불안과 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dlet use on writing anxiety and strategy use in online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 영어쓰기수업에서 온라인 플랫폼, Padlet이 학생들의 영어쓰기 불안과 영어쓰기 전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총 64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영어 불안감, 영어쓰기 전략, 그리고 배경질문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1학기동안 쓰기 과제를 위해 Padlet을 사용한 실험 그룹과 대학 이러닝 플랫폼을 사용한 통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Padlet을 사용한 학생들은 대학 e-learning 플랫폼을 사용한 학생보다 영어쓰기 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adlet 활용은 영어 쓰기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어 쓰기 불안은 영어수준별의 차이를 보였지만 수준과 상관없이 학기말에는 쓰기 불안이 감소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Padlet은 학생들의 영어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온라인 학습도구이며 특히 영어쓰기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유튜브(YouTube)에 나타난 필사 문화의 특성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 Culture on YouTube)

  • 조영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91-303
    • /
    • 2021
  • 이 연구는 유튜브(YouTube)에 나타난 필사 문화의 특성을 서사 분석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의 필사 문화에서 다섯 가지의 의미 있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튜브의 필사 문화는 첫째, 효율적인 글쓰기와 학습의 방편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텍스트를 더 깊이 읽고 이해하기 위한 필사라는 특성이 있었다. 셋째, 내 글쓰기로 나아가는 전략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유튜버들은 필사를 통해 자기 치유와 위안의 시간을 갖고 있었다. 다섯째, 유튜브의 필사 문화는 왼손 글쓰기와 디지털 필사로 확장·진화하고 있었다. 유튜브의 필사 주체들은 글쓰기와 학습, 정신 수양의 방편으로 필사를 해왔던 전통적인 필사 문화에서 더 나아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들의 글쓰기 전략을 발전시키고 왼손 글쓰기와 디지털 필사로 필사 문화의 외연을 확장시켜 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