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Plan of Bible Storytelling in Writing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기독교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성경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

  • 이란 (서울신학대학교)
  • Received : 2018.08.24
  • Accepted : 2018.10.08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riting education paradigm appropriate for the ideology and ideal persons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to show the effective application plan. For this, this study utilizes the ideas of digital writing in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paradigm of "the digital writing education using bible storytelling" consists of two activities. The first one is 'bible listening and observation,' and the second one is 'media text creation and sharing'. In the first activity, there are two steps: 'listening and observation of bible storytelling' and 'exploration and meditation.' In the second activity, there are also two steps: 'application and action,' and 'sharing in communities.' After the suggestion,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plan for the paradigm. They are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and the merit of interaction,' healing effectiveness in an individual and a community,' 'building expertises in both letter writing and Christian education(Divinity),' 'building expertises in both letter writing and media literacy,' and 'expanded application toward diverse patterns of writing.'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의 이념과 인재상에 적합한 글쓰기 교육 형태를 제안하고 그 효과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디지털 글쓰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성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형태는 크게 두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성경 청취와 묵상이요, 둘째는 미디어 텍스트 창작이다. 첫 활동에는 '성경 스토리텔링의 청취와 관찰', '탐구와 묵상'이 포함되며, 두 번째 활동에는 창작을 의미하는 '적용과 실천,' 공유를 의미하는 '공동체 나눔'이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교육 형태를 제시하고 난 후, 본 연구는 다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매체 활용과 상호 작용성의 장점 활용, 둘째, 스토리텔링의 개인 및 공동체의 치유적 효과 활용, 셋째, 글쓰기와 기독교 교육(신학)의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와 글쓰기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로의 확장적 적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stu.ac.kr/CmsHome/stu03_01_10.eznic, 교양과목 소개 참조.
  2. F. E. Gablein, The Pattern of God's Truth: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ning, ACSI. 1968.
  3. http://www.stu.ac.kr/CmsHome/stu03_01_10.eznic, 교과목 및 교육과정 참조.
  4. 김영래, "스토리텔링과 기독교교육: 스토리텔링을 통한 성경교육의 연구," 신학과 세계, Vol.91, pp.159-186, 2017.
  5. M. Miller, Experimental Storytelling: (Re)Discovering Narrative to Communicate God's Message, Grand Rapid, MI: Zondervan, 2004.
  6. 최시한, "스토리텔링 교육의 방법 모색: 스토리와 그 처음상황 설정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Vol.24, pp.419-436, 2009.
  7. 장상용, 전방위 문화기획자를 위한 스토리텔링 쓰기, 해냄, 2010.
  8. 최시한,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문학과 지성사, 2015.
  9. 조정래, 스토리텔링 멘토링, 행복한 미래, 2013.
  10. 박승희, "인문학적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그 가능성을 위한 초고," 한국사상과 문화, Vol.51, pp.55-90, 2010.
  11. 김영래, "스토리텔링과 기독교교육: 스토리텔링을 통한 성경교육의 연구," 신학과 세계, Vol.91, pp.159-186, 2017.
  12. E. Wiesel, The Gates of the Forest, New York: Schocken Books, 1995.
  13. A. Leveen, "Storytelling in the Bible," The Jewish Bible, Vol.57, 2008. https://www.sblsite.org/assets/pdfs/TB4_Storytelling_AL.pdf.
  14. L. Ryken, How Bible Stories Work: A Guided Study of Biblical Narrative, Wooster, OH: Weaver Book Company, 2015.
  15. 박인식, 개혁주의 복음전도와 양육,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10.
  16. 강영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숭실대학교출판부, 2009.
  17. K.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Michigan: Zondervan, 1998.
  18. 이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문학 읽기 교육모형 개발과 모형 적용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 K. Vanhoozer, Everyday Theology, 윤석인 역, 문화신학, 부흥과 개혁사, 2007.
  2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교양교육연구, Vol.9, No.1, pp.181-212, 2015.
  21. H. Cassie and P. Sarah, Digit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a Futurelab Handbook, Futurelab Innovation in Education.
  22. http://digitalwriting101.net/content/working-definition-of-digital-literacy-for-college-students/
  23. 김지영, "디지털 시대 사진쓰기의 의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pp.156-16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156
  24. 이란, 현은자,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pp.462-47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62
  25. P. Wallace, The Psychology of the Intern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6. 정진희, "문자도에 내재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열린정신인문학연구, Vol.19, pp.155-174, 2018.
  27.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살림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