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sod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4초

산야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음료개발 및 생리활성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SanYa) from Fermented Medic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조은경;송효주;조혜은;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2-89
    • /
    • 2010
  •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산야 발효액에 대한 보고가 미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야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산야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면역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산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산야 발효액의 항산화력은 94.3%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BHA와 비교 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산야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산야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4.646 mg/g으로 높았으며, 이는 높은 항산화능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야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합성률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합성 저해률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산야 발효액은 무려 11배의 높은 NO 합성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합성 저해율은 56%로 나타나 산야의 높은 면역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산야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다. SOD 유사활성은 42.2%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75.6%로 높게 나타났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73.5%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산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hroom Water Extract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양희선;최유진;오현희;문준성;정후길;김경제;최봉석;이중원;허창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0-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3종의 버섯(상황, 영지, 표고)을 단계적으로 발효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밝혀진 표준 유산균 5종을 선발하여 버섯 열수 추출물의 1차 발효에, 임실 지역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1종을 최종 선발하여 2차 발효에 이용하였다. 버섯 추출물과 1차, 2차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정도를 비교하였다. 버섯 추출물 및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을 소거하였지만 유산균 발효를 통하여 상황과 영지의 경우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는 발효 과정 중 폴리페놀 화합물과 비타민 C, E 등 천연 항산화 물질들의 산화에 기인한 결과라고 사료되었다. 그러나 발효 중 생산되는 대사산물 및 유효성분은 XO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고 SOD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1차 발효보다 2차 발효에서 활성이 증가되었다. 특히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영지 1차 발효물은 90% 이상 XO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상황 1차 발효물은 3배 이상의 SOD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는 유산균에 의한 버섯 발효물이 효소의 활성을 저해 혹은 활성화시켜 항산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곰취 유래 3,5-Dicaffeoylquinic Acid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3,5-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Ligularia fischeri against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 박선영;김거유;주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86-1292
    • /
    • 2017
  • 본 연구는 곰취에서 분리한 3,5-dicaffeoylquinic acid(3,5-DCQA)의 간세포에 대한 보호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량 및 간 기능 지표 효소(LDH, GGT, GO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 3,5-DCQA를 10, 20 및 $30{\mu}g/mL$ 농도별로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주요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감소한 SOD-1, SOD-2, CAT 및 GPx의 mRNA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증가한 주요 간기능 지표 효소인 LDH, GGT 및 GOT 활성이 3,5-DCQA(10, 20, $30{\mu}g/mL$)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곰취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인 3,5-DCQA는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 기능성 식품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3,5-DCQA의 추가적인 기능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01-908
    • /
    • 2012
  • 본 연구는 건대추와 건대추를 이용하여 온도 $50^{\circ}C$, 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서 숙성시켜서 제조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항산화성을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추출물의 열수 및 에탄올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능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이 건대추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발효 흑대추보다 건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건대추 및 흑대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흑대추는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Lespedeza cuneata G. Don))

  • 김현영;고지연;송석보;김정인;서혜인;이재생;곽도연;정태욱;김기영;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08-1514
    • /
    • 2012
  • 비수리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 등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44, 3.61, 6.39, 27.11, 20.00 및 9.32 mg GAE/g extract residue(ER)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4, 9.92, 7.77, 9.27, 5.11 및 2.66 mg CE/g ER, 총 탄닌 함량은 각각 8.75, 10.04, 7.42, 17.32, 11.65 및 7.61 mg TAE/g ER, 총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346.09, 63.50, 103.76, 288.62, 231.99 및 $358.48{\mu}g$ CE/g ER로 나타났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20.62, 5.16, 9.29, 20.80, 20.00 및 20.79 mg TE/g ER,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3.86, 9.24, 17.36, 33.76, 33.49 및 33.86 mg TE/g ER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각각 4.12, 0.61, 2.01, 9.89, 13.47 및 11.82 unit/mL의 활성을 보여 butanol 분획과 물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분획 50 및 $25{\mu}g/mL$에서 각각 93.85 및 61.64%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수리 추출물은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OD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며, 체내 및 식품에서 활성산소 종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맨드라미(Celosia cristata L.) 꽃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된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Cockscome (Celosia cristata L.) Flowers)

  • 김현영;고지연;송석보;김정인;서혜인;이재생;곽도연;정태욱;김기영;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02-1507
    • /
    • 2012
  • 맨드라미꽃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맨드라미꽃의 항산화성분과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용매분획물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추출수율은 각각 23.33, 10.27, 20.00, 13.63, 17.55 및 38.54%였다. 맨드라미꽃 메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flavonoid 및 tannin 함량은 각각 6.80 mg GAE/g ME, 2.34 mg CE/g ME 및 6.23 mg TAE/g ME였다.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butanol 분획에서 각각 14.92 mg GAE/g SF, 5.44 mg CE/g SF 및 13.38 mg TAE/g SF로 함량이 높았다. 총 proanthocyanidin 함량은 $44.72{\mu}g$ CE/g ME였고 순차적 용매분획물은 각각 42.47, 44.43, 50.03, 49.12 및 $41.80{\mu}g$ CE/g ER로 용매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맨드라미꽃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5.24 및 10.70 mg TE/g ME였고 butanol 분획에서 각각 12.53 및 21.09 mg TE/g SF로 활성이 높았다.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7.96 unit/mL로 나타났고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은 각각 4.56, 6.15, 8.07, 12.36 및 5.21 unit/mL로 butanol 분획의 활성이 높았다. 맨드라미꽃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간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맨드라미꽃 추출물이 체내 및 식품에서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unctional analysi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mmune-challenged Bombyx mori hemolymph extracts in the human epithelial Caco-2 cell line

  • Kim, Seong Ryul;Kim, Kee-Young;Kim, Seong-Wan;Park, Seu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1호
    • /
    • pp.16-21
    • /
    • 2020
  • Humans use insects as food and traditional medicine for many years. Hemolymph is the circulating fluid of insects and is a key component of their immune system.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hemolymph identificatio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the related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a previous study, hemolymph extracts prepared from Bombyx mori larvae were found to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mmune-challenged and un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in vitro. For this purpose, human epithelial Caco-2 cells were first exposed to oxidative stress and then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and incubation times of either immune-challenged or un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Next,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reatment on the relative expression of GPX-1, SOD-1, and SOD-2 antioxidant marker genes.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rates of the three marker genes were markedly higher at a immune-challenged hemolymph extract concentration of 80 ppm compared to those at other concentration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nhanced after treatment for 48 hr. Thus, B. mori hemolymph extract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in the limited time and dose. Especially, the immune-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showed high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an unchallenged one. The activity of silkworm hemolymph extracts coul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functional foods, feed additives, and biomaterial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Bioactivities of the Herb Extracts Used for Gamhongroju, a Korean Liqueur

  • Lee, Sae-Rom;Jung, Ha-Na;Cho, Hyunn-Ho;Jhin, Chang-Ho;Hwang, Keum-Taek;Jeong, Seok-Tae;Kim, Tae-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33-338
    • /
    • 2011
  • In this stud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herb (cinnamon, clove, glehnia root, ginger, violet-root cromwell, licorice, citrus peel and longan) extracts used for gamhongroju, one of the popular liqueur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wenty grams of individual herbs were extracted in 60% purified ethanol and freeze-dried. A mixture of the individual herb extracts (HEM) was separately prepared. Cytotoxicity of the individual extracts and HEM on murine RAW264.7 macrophage cells were examined along with their recovering activity on $H_2O_2$-treated RAW264.7 cell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treated cell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ies,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levels. Violet-root cromwell extract showed the least cytotoxicity in terms of treated concentration. Most of the extracts, below levels of cytotoxicity, recovered the $H_2O_2$-treated cells. Treatment with some of the extracts increased SOD and GPx activities and TEAC levels while a majorit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PGE2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ells.

준 일차원 다상 반응유동 기법을 이용한 케로신/과산화수소 액체 핀틀 추력기 성능해석 연구: Part I. 주요 구성 모델 검증 (Performance Analysis of Liquid Pintle Thruster Using Quasi-one-dimensional Multi-phase Reaction Flow: Part I Key Sub-model Validation)

  • 강정석;복장한;성홍계;권민찬;허준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77
    • /
    • 2020
  • 액체 핀틀 추력기의 성능해석을 위해 준 일차원 다상 반응유동 해석코드를 개발하였다. 해석코드의 주요모델로서 다상 유동장, 액적의 기화, 다상 연소, 액체 막냉각 등의 모델들을 적용하였다. 액적기화 모델은 Abramzon의 기화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연소 모델은 flamelet 모델을 적용하였다. 막냉각 효과는 Shine의 모델을 적용하였다. 각 모델을 사용하여 산소-질소의 Sod shock 튜브, n-decane 액적기화, 케로신 다상연소, 막냉각 길이를 계산하여 선행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Impact of imatinib or dasatinib coadministration on in vitro preantral follicle development and oocyte acquisition in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 Hong, Yeon Hee;Kim, Se Jeong;Kim, Seul Ki;Lee, Seung-Chan;Jun, Jin Hyun;Jee, Byung Chul;Kim, Seok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4호
    • /
    • pp.269-276
    • /
    • 2020
  •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yrosine kinase inhibitor (imatinib or dasatinib) coadministration with cyclophosphamide (Cp) on preantral follicle development in an in vitro mouse model. Methods: Seventy-three female BDF1 mice were allocat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group A, saline; group B, Cp (25 mg/kg); group C, Cp (25 mg/kg) and imatinib (7.5 mg/kg); and group D, Cp (25 mg/kg) and dasatinib (7.5 mg/kg). Preantral follicle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vitro up to 12 days. Final oocyte acquisition and spindle integrity of metaphase II (MII) oocytes were assessed. Levels of 17β-estradiol and anti-Müllerian hormone (AMH) in the final spent medi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and the mRNA levels of Star, Sod1, Mapk3, and Casp3 in the final follicular cells were quantifi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percentage of MII oocytes per initiated follicle, the proportion of MII oocytes with normal spindles, and the 17β-estradiol level were similar in all four groups. The median AMH level in group B (7.74 ng/m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roup A (10.84 ng/mL). However, the median AMH levels in group C (9.96 ng/mL) and group D (9.71 ng/mL) were similar to that in group A.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Star, Sod1, Mapk3, and Casp3 were similar in all four groups. Conclusion: Coadministration of imatinib or dasatinib with Cp could preserve AMH production capacity in this in vitro mice preantral follicle culture model, and it did not affect MII oocyte acqui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