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jima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감자의 광독립영양 미세증식에 있어 생육단계별 환경조절이 기외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 Control with Growth Stage on Ex Vitro Plantlets Growth in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 손정익;장일;이훈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3-96
    • /
    • 2002
  • 감자는 오랜 재배 역사를 가진 세계4대 식량작물로 영양가가 풍부하며 생산량이 어느 작물보다 많기 때문에 전략식량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가공산업의 발달로 감자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감자의 대량 생산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그 중 미세증식 기법은 단기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Streptomyces turg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Common Scab by Streptomyces turgidiscabies)

  • 김전순;박덕환;임춘근;최용철;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1-554
    • /
    • 1998
  • Bacterial spec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 Dejima) tuber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turg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grey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ISP 7, but did not produce on ISP 6. S. turgidiscabies grew on agar media at pH 4.5,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affinose,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as carbon sources, and was susceptible to 7% NaCl,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henol (0.1%, wt/vol), oleandomycin (100 $\mu\textrm{g}$/ml), and streptomycin (20 $\mu\textrm{g}$/ml).

  • PDF

Streptomyces ac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Scab Caused by Streptomyces acidiscabies)

  • 김점순;박덕환;최용철;임춘근;홍순영;이승돈;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9-692
    • /
    • 1998
  •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c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white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tyrosine agar medium but did not produce on peptone agar medium. S. acidiscabies grew on agar medium at pH 4.0,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except reffinose as carbon sources. It was also susceptible to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phenol (0.1%, wt/vol), streptomycin (20 $\mu\textrm{g}$/ml), and was resistant to 7% NaC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enicillin (10 IU/ml) and oleandomycin (25 $\mu\textrm{g}$/ml, 100 $\mu\textrm{g}$/ml).

  • PDF

광선의 영향에 따른 감자의 Chlorophyll과 Glycoalkaloid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Exposure of Fluorescent and UV Light)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2
    • /
    • 2005
  • To determine changes of chlorophyll and potato glycoalkaloid(PGA)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lightening, Dejima potatoes cultivated in Korea were used and PGA was analyzed by HPLC. Potatoes were stored under fluorescent and UV light exposure or darkness for 7 days at $5^{\circ}C$.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i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were increased to $84\%,\;69.5\%$ respectively compared to potatoes stored without lightening. While a marked effect of lightening o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UV light lead to no change of chlorophyll and less increase in glycoalkaloid than fluorescent did. The increase of chlorophyll was provoked by only fluorescent light. Cortex part did not accumulate any chlorophyll or glycoalkaloid.

  • PDF

Expression Patterns of CaMV 35S Promoter-GUS in Transgenic Poatoes and Their Clonal Progenies

  • Lee, Kwang-Wo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7-25
    • /
    • 1994
  • Two potato (Solanum tuberosum L.) cultivars were transform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harboring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and $\beta$-glucuronidase (GUS) gene. Expression patterns of the CaMV 35S promoter according to tissue types and developmental stages, and genetic stability of GUS gene were investigated in the clonal progenies of transgenic potatoes. Kanamycin-resistant shoot emerged from tuber disc after 4 weeks of culture, and root was induced 6 weeks after culture on the selection medium. Shooting frequency of cvs. Superior and Dejima were 43% and 27%, respectively. Mature transformants and their clonal progenies showed no phenotypical abnormality. GUS activity was expressed primarily at parenchymatous cells of phloem tissue around the vascular cambium in the stem and root, and higher activity was found at the apical meristem of shoot, root and adventious shoot bud. GUS activity was higher at tubers of young explants than at stored tubers. These facts indicate that expression level of the CaMV 35S promoter differed according to tissue typ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he organs. The GUS gene was stably inherited to each clonal progeny and normally expressed.

  • PDF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Screening of Potato Cultivars for Infestation by Selatosomus puncticollis Mot.(Coleoptera: Elasteridae) and Analysis of Factors Assiciated with Resistance)

  •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7-163
    • /
    • 2000
  •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심지수의 차이에 따른 심지양액재배 씨감자의 생육 및 수량 (Effects of Wick Number on Growth and Yield of Seed Potatoes Grown in a Wick-based Hydroponics)

  • 김찬우;강봉균;송창길;박성준;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4-298
    • /
    • 2009
  • 감자 분무경산 소괴경을 심지양액 재배하여 기본식물을 생산할 때, 심지의 배치방법에 따른 씨감자의 생산성 조사하고, 심지를 수평으로 배치할 때 알맞은 심지수를 구명하고자 상자($51{\times}31{\times}20cm$, $0.16m^2$)당 심지 6개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처리와 $2{\sim}10$개의 심지를 수평으로 배치하는 처리를 두었다. 괴경수는 심지 6개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수평으로 배치함으로 증가하였고 평균괴경중은 감소되어, 괴경수량은 심지 6개의 배치방법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상위급씨감자로 사용될 수 있는 5 g 이상의 괴경수는 심지수가 2개에서 6개로 증가됨에 따라 2.8개/주에서 8.0개/주로 증가되었으나, 심지수 6 이상에서는 더 증가되지 않았다. 평균괴경중은 심지수 8개까지 심지수가 많을수록 무거웠으나 심지수 10개에서는 더 이상 무거워지지 않았다. 5 g 이상의 괴경수량은 심지수가 2개에서 6개로 증가됨에 따라 1.81 kg/$m^2$에서 9.72 kg/$m^2$으로 크게 증가되었다가, 8개 이상에서는 심지수 증가에 따라 완만히 증가되어 심지 10개 처리구에서는 12.9 kg/$m^2$이었다. 씨감자 수량과 심지비용, 배지충진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상자당 심지 8개(50.6개/$m^2$)를 상자의 밑면에 눕혀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NaCl 처리에 따른 감자 (Solanum tuberosum L.) 기내 식물체의 내염성 및 Proline 함량 변화 (Salt tolerance and proline accumulation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vitro plants to NaCl treatment)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천충기;김미옥;한다솜;이슬기;김화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29-134
    • /
    • 2015
  • 감자 12품종의 내염성 비교를 위하여 NaCl 0, 75, 150, 225 mM을 처리한 MS배지에서 줄기 단일절편을 기내 배양하여 신초길이와 무게, 근길이 및 prolin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NaCl 처리에 따른 신초와 근생장의 품종 간 비교에 적정한 NaCl 처리농도는 75 mM이었다. NaCl 150 mM과 225 mM 처리에서는 신초의 로제트화 및 엽의 백화현상이 심하여 품종 간 비교가 어려웠다. 신초의 길이와 무게는 '대지', '수미', '자영', '하령'이 양호하였으며, '고운', '대서', '홍영' 등은 불량하였다. 근길이는 '서홍', '수미', '하령' 등이 양호하였던 반면, '고운', '대서', '대지', '조원', '추백' 등은 극히 미미하였다. Prolin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NaCl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량은 신초와 근생장이 양호했던 품종들이 불량했던 품종보다 더 낮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미'와 '하령'이 NaCl 처리배지에서 신초와 근생장 모두 양호하여 내염성이 강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 품종들을 활용한 추가 포장시험을 통하여 국내 간척지 등 염류화 토양에서도 감자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독립영양 기내 미세증식 시스템에서 생육단계별 환경조절을 통한 감자의 기내 및 기외 생육과 에너지 효율 향상 (Improvement of Growth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Plants at In Vitro and Ex Vitro and Energy Efficiency by Environmental Control with Growth Stage in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System)

  • 오명민;이훈;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09
  • 이전 실험에서 결정된 생육 단계별 최적 환경조건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처리는 다음과 같았다: 생육 단계별 최적 환경 조건을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optimum condition with growth stage (POG)), 생육 단계별 평균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와 $CO_2$ 농도를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average PPFD and $CO_2$ of POG(PCA)), 생육 단계별 최대 PPFD와 $CO_2$농도를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maximum PPFD and $CO_2$ of POG(PCM)) 그리고 대조군으로 3%의 당을 포함한 광혼합 영양배양(photomixotrophic conventional condition with 3% sucrose(PMC)). 실험 결과 각 생육 단계별 환경제어(POG)는 기내에서 배양된 감자 소식물체의 모든 생육 관련 항목에서 유의적 증진을 유도하였다. 또한 단위 건물중 당 소비된 전력과 $CO_2$는 모든 처리 중 POG에서 가장 낮았다. 기외 이식 이후에도 POG에서 생산된 감자 묘는 PMC에서 자란 감자 묘와 전체적으로 큰 차이 없이 왕성한 생육을 유지하였다. 특히 POC는 기존 광혼합 영양방식(PCM)과 비교했을 때 기외 이식전과 이식 후 20일째 각각 4.7배와 3.8배 높은 건물중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POG와 같은 생육 단계별 환경 조절을 통한 광독립 영양 미세 증식 방법은 에너지 절감 효과와 함께 무균의 건강한 감자 묘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심지양액재배 '대지'의 씨감자 크기에 따른 포장 생육과 수량 (Effects of Tuber Size on Field Growth and Yield of 'Dejima' Potatoes Produced through Wick-based Hydroponics)

  • 김찬우;송창길;강봉균;전용철;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1-37
    • /
    • 2010
  • 심지양액재배 씨감자의 크기가 노지포장에서의 생산성 반응을 검토하기 위하여 봄재배에는 <1, 1~3, 3~5, 5~7, 7~10, 10~20, 20~30, 30~50, 50~80 g의 심지재배 씨감자를 심었고, 가을재배에는 봄재배의 0.2~1과 50~80 g의 처리를 제외하고 7, 15 g의 분무경에서 생산된 씨감자를 처리로 추가하여 생육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출현율은 두 재배시기 모두 씨감자의 크기가 10~20 g까지에는 씨감자가 클수록 크게 증가하였으나, 10~20 g 이상의 씨감자 파종구에서는 88% 이상으로 더 이상 유의성 있게 증가되지 않았다. 출현일수는 봄재배의 경우 34일 내외로 씨감자의 크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가을재배에서는 씨감자의 크기가 1~3 g에서 30~50 g으로 커짐에 따라 34일에서 16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씨감자 크기가 커짐에 따라줄기수가 많았으며, 줄기의 길이와 굵기 및 잎의 크기도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두 재배시기 모두 주당괴경수, 괴경평균중, 총괴경 및 규격씨감자 수량은 씨감자가 10~20 g까지 커짐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많아졌고, 더 이상 씨감자가 커질 때 완만히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가을재배에만 심은 비슷한 크기의 심지양액재배와 분무경씨감자 사이에 총괴경 및 씨감자수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