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h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홍의표;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96-503
    • /
    • 2021
  •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 왜곡되어 있는 조선의 신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 God tree of Chosun Distorted in Chosun-Gersu-Nosu-Myungmok-Ji)

  • 박찬우;안창호;김세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72-381
    • /
    • 2019
  •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신목을 왜곡하기 위해 만든 자료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는 64개 수종 3,170본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노거수에 신적 요소 고사 전설이 있으면 신목, 고사적 요소 고사 전설이 있으면 명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수가 가장 많은 느티나무로부터 8번째로 많은 전나무까지 8수종 2,632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8개 수종별 신목과 명목의 평균 직경, 평균 수고, 평균 수령을 산출하였다. 8개 수종 중 7개 수종에서 명목의 직경과 수령이 신목보다 크고, 6개 수종에서 명목의 수고가 신목보다 컸다. 신목이 명목보다 왜소하고 볼품없는 크기의 나무라는 이 상식에 반하는 사실이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 기록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고의 가설은 위의 사실 확인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조선총독부는 신목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동제를 미신으로 타파하는 시책을 추진하였다. 신목이 작고 볼품없어야 미신이라고 주장하기 좋았을 것이다. 조선 신목의 신성성을 폄하하기 위한 설명자료 또는 증거자료로 조선거수노수명목지를 작성한 것이다. 셋째 조선의 신목이 명목보다 작고 왜소하다는 날조된 내용을 사실인양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조선거수노수명목지를 흉고직경순으로 편찬한 것이다.

브루나이 열대우림의 산림 유형별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Aboveground biomass of tropical rain forests by forest type in Brunei Darussalam)

  • 장민주;노유진;김형섭;이정민;손요환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266-27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의 대표 산림 유형인 MDF, PSF 그리고 HF에서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것이다. 브루나이에서 MDF, PSF 그리고 HF를 대상으로 각각 3개 지역을 선정하여 20 m×20 m 조사구를 지역마다 9개씩 설치하고 흉고직경 10 cm 이상인 임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측정된 흉고직경과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추정되었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MDF, PSF 그리고 HF에서 각각 603.3±159.9, 305.9±23.4 그리고 284.3±19.3 Mg ha-1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 유형에 따라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MDF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이 70 cm 이상인 거대목이 MDF에서 집중되어 출현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 유형에 따라 거대목의 출현빈도가 다르며, 나아가 거대목의 출현이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는 의미를 가진다.

한국 신갈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신구택;전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00-107
    • /
    • 2022
  •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중요한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 대한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출현임목의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신갈나무가 50% 이상 우점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갈나무림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총 1,421개소이다.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신갈나무림은 해발 800 m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평균 35%)을 보이고 있어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을 보면, 해발 600 m 이하에서는 주로 북사면에서, 그 이상부터는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미사질양토(34%), 양토(33%), 사양토(26%)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보통이었다. 신갈나무림에서 신갈나무 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는 신갈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졸참나무는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당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소경급으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조릿대,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아까시나무의 용재 특성 향상을 위한 우량개체 선발 (Plus Tree Selection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or Tree Improvement of Timber Characteristics)

  • 김태림;임혜민;이경미;오창영;이일환;황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99
    • /
    • 2023
  • 기후변화 대응 바이오매스 생산이 우수한 활엽수 경제 조림수종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까시나무는 탄소흡수능이 우수한 속성수로서 국내 적응성이 뛰어나고 경제적, 환경적 기능이 우수하다. 본 연구는 비교선발법을 이용하여 용재수로서 가치가 높은 아까시나무 우량개체 64본을 선발하였다. 경기, 강원, 충청, 경상 등 4개 지역으로 나누어서 생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선발목들은 비교목들에 비해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통직성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형질을 보였다. 특히 충청지역의 선발목들이 가장 우수한 생장특성을 나타냈으며, 임분별로는 고성, 천안, 안동 집단이 우량집단으로 나타났다. 생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토양 성분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단위 산림 조림 지역 혹은 호수와 저수지가 인접한 지역의 선발목이 수고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 Regioselectio Synthesis of ${\beta}-Lactones$;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

  • Jew, Snag-Sup;Lee, Hee-Soon;Koo, Bon-Am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327-330
    • /
    • 1994
  •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s with 1, 3-dibromo-5, 5-dime-thylhydantoin 9DBH) and potsssium tertiary butoxide (t-BuOK0 in anhydrous DMF was found to proceed in a highly regioselective manner. The reaction predominantly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betha}-lactones$ (greater than 96%).

  • PDF

잣나무의 낙엽송림(落葉松林)에 있어서 수형(樹型)과 재적간(材積間)의 관계(關係)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Form and Volume in Stands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 김지홍;이종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4권1호
    • /
    • pp.82-87
    • /
    • 1986
  • 대다수의 잣나무가 잣을 수확(收穫)하는 과정에서 수간(樹幹) 정단부(頂端部)의 인위적인 손상으로 말미암아 전형적인 잣나무 수형(樹型)을 잃게되는 점에 착안하여, 정상적으로 생육한 낙엽송과 비교하여 임본(林木) 제형질(諸形質)들의 관계를 조사 연구하였다. 동령급(同齡 級)의 두 수종(樹種)을 비교한 결과, 잣나무는 원단부(原端部)의 절단(切斷)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수고생장(樹高生長)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심하게 분간(分幹)되거나 굴곡된 수간(樹幹)은 이용재적(利用材積) 값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여 본재생산(木材生産)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수형(樹型)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잣을 수확(收穫)할 수 있고 용재(用材)를 생산할 수 있는 잣나무의 특성을 감안하여, 조림투자(造林投資)에 대한 회수율(回收率)을 최대화하기 위한 잣나무 식재림(植栽材)에 대한 경영적(經營的) 대안(代案)을 제시하였다.

  • PDF

자연형 하천복원계획 수립을 위한 생물상 조사 및 분석 (A biota research and analysis fo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 사공정희;류연수;나정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37-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biota research and analysis fo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of Shinchu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vascular plants in research area recorded of 45 species and insect fauna recorded of 34 species of 8 orders. As a result of table of community classification, the communities were two group; Quercus variabilis community(I),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Quercus dentata community(II). 2)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rrelation of tree species,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ercus dentata and Corylus heterophyll aindicated 1% and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Lespedeza bicolor also indicated 1%. 3) As a result of DB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dentata will dominateover other species in competition and its succession continuously maintains from now on in community I. In community II,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hanging into community of Quercus such as Quercus mongolica, Quercus dentata, and Quercus variabilis. 4) As a result of analysis on insect fauna, insect fauna consists of 94% of whole species as 32 species, 23 families, 8 orders. And 7 species, 7 families 4 orders was found in highly urbanized area, the vicinity of Sang-Dong bridge. 5) As mentioned above, Based on A biota fundamental research,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were full of suggestions: i) Designating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i) Making Close-to-nature stream revetments, iii) Making pool-and-riffle, vi) Making decks for observation and walks for nature experience, v) Creating wetland biotope. Through these methods, it is necessary to promote bio-diversity and lead people to the space for eco-learning.

  • PDF

대전 장태산, 해태산, 안평산과 구봉산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area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김효정;이미정;권오원;신동훈;이규석;서병기;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47-5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76 plots were sampled.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verage coverage rate was 85% in tree layer, 44% in subtree layer, 37% in shrub layer, 25% in herb layer,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s were 58.76 in Pinus densiftora, 44.86 in Quercus monegolica, 44.06 in Quercus variabilis, 33.00 in Quercus serrata, 18.73 in Rhus trichocarpa, 18.07 in Prunus sargentii. DBH range of most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more decad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north and east slope in a high-altitude and relative good nutrition condition. Querucus variabilis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south slope in a middle-altitude and medium nutrition condi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poor nutrition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