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Acquisition & Analysis

검색결과 1,175건 처리시간 0.029초

자연어 알고리즘을 활용한 한국표준건강분류(KCF) 코드 검색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KCF) Code Linking on Natural Language with Extract Algorithm )

  • 최년식;송주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7-8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 experimental algorithm, which is similar or identical to semantic linking for KCF codes, even if it converted existing semantic code linking methods to morphological code extrac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METHODS: An experimental algorithm was developed as a morphological extraction method using code-specific words in the KCF code descriptions. The algorithm was designed in five stages that extracted KCF code using natural language paragraphs. For verification, 80 clinical natural language experimental cases were defined. Data acquisi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eliberation and approval of the bioethics committee of the relevant institution. Each case was linked by experts and was extracted through the System. The linking accuracy index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KCF code linking by experts with those extracted from the system. RESULTS: The accuracy was checked using the linking accuracy index model for each case.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using the accuracy range. The section with less than 25% was compared; the first experimental accuracy was 61.24%. In the second, the accuracy was 42.50%. The accuracy was improved to 30.59% in the section by only a weight adjustment.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applied to the system.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and verified a way to easily extract and utilize KCF codes even if they are not experts. KCF requires the system for utilization, and additional study will be needed.

Evaluation of Changes in Serum Thyroid Hormone Levels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Infection

  • Hyeokjun Yun;Bo Kyeung Jung;In Soo Rheem;Kap No Lee;Jae K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76-283
    • /
    • 2023
  • Purpose: We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rum thyroid hormone (free T4 [FT4])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as biomarkers for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status, with respect to age and sex.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erum samples from 200 patients who underwent HBV testing from August 2022 to September 2022.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HBV infection who visited this hospital. Thyroid hormone levels were measured, and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and sex. Results: Differences in TSH and FT4 levels in the serum of patients in the HBV-positive and -negativ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HBV-positive patients in the younger age group (<60 years), TSH and FT4 levels were 1.78 ± 0.09 µIU/mL (normal: 0.4-5.0 µIU/mL) and 1.24 ± 0.02 ng/mL (normal: 0.8-1.9 ng/mL), respectively, whereas among the HBV-positive patients in the older age group (≥60 years), TSH and FT4 levels were 2.22 ± 0.17 µIU/mL and 1.24 ± 0.07 ng/mL,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esence of HBV did not markedly affect serum thyroid hormone levels. Our findings shed light on the conflicting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 hormone levels and HBV infection. We, Hyeokjun Yun and Bo Kyeung Jung are co-first authors which made substantial contribution equally to the conception and designed of this work. Jae Kyung Kim, In soo Rheem and Kap No Le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서해대교 사장교의 동특성 추출 : I. 모드형상 (Modal Parameter Extraction of Seohae Cable-stayed Bridge : I. Mode Shape)

  • 김병화;박민석;이일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A호
    • /
    • pp.631-639
    • /
    • 2008
  • 본 논문은 서해대교 사장교의 보강형에 대한 고해상도 다점 모드형상을 TDD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사례를 소개한다. 상시진동에 대한 진동시험이 실시되었으며, 총 72개의 센서위치에서 수직방향 가속도 시간응답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 통신망이 구축되었다. 계측된 가속도 시간응답에 대하여 TDD기법을 적용하여 총 24차 수직방향 모드형상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모드형상은 현재 운용중인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계측되지 못한 많은 모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장대교량과 같이 대형구조물의 고해상도 모드형상 추출에는 다른 여러 가지 동특성 추출기법보다 TDD기법이 매우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IM-based Lift Planning Workflow for On-site Assembly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 Hu, Songbo;Fang, Yihai;Moehler, Robert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3-74
    • /
    • 2020
  • The assembly of modular construction requires a series of thoroughly-considered decisions for crane lifting including the crane model selection, crane location planning, and lift path planning. Traditionally, this decision-making process is empirical and time-consuming, requiring significant human inputs. Recently, research efforts have been dedicated to improving lift planning practices by leverag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utomated data acquisitio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computational algorithm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se technologies have advanced lift planning to some degree. However, the advancements tend to be fragmented and isolated. There are two hurdles prevented a systematic improvement of lift planning practices. First, the lack of formalized lift planning workflow, outlining the procedure and necessary information. Secondly, there is also an absence of a shared information environment, enabling storages, updates and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o stakeholders in a timely manner. Thus, this paper aims to overcome the hurdles. The study starts with a literature review in combination with document analysis, enabling the initial workflow and information flow. These were contextualised through a series of interviews with Australian practitioners in the crane-related industry, and systematically analysed and schematically validated through an expert panel. Findings included formalized workflow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exchanges in a traditional lift planning practice via a 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BPMN). The traditional practice is thus reviewed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further enhancements. Finally, a BIM-based lift planning workflow is proposed, which integrates the scattered technologies (e.g. BIM and computational algorithms) with the aim of supporting lift planning automation. The resulting framework is setting out procedures that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potential obstacles towards automated lift planning are identified.

  • PDF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 경험 (Experience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Cerebral Infarction Patient)

  • 오문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25-143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25일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 2023년 8월 25일까지 간호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고,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인터뷰 질문은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교육 경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나요?"이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7개의 의미있는 진술이 추출되었고, 도출된 주제모음은 '간호 교육적 차원', '개인적 차원', '간호 직무적 차원'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뇌졸중 표준화 환자 활용은 간호학생들의 실무역량 습득과 뇌졸중 환자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표준화 환자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요인강화와 제한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실무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스마트 센서 기술을 이용한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Part I : 스마트 센서의 개발과 성능평가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Employing Smart Sensor Technology Part 1: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Smart Sensor)

  • 허광희;이우상;김만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34-1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하여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하는 스마트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센서 장치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개발한 스마트 센서의 기본적 성능 평가와 모형 구조물을 이용한 손상 검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Part 1로써 스마트 센서의 개발과 성능 평가에 관한 것이고 Part 2에서는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손상 검출 결과를 유선 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스마트 센서는 고 출력의 무선 모뎀과 고 성능 MEMS 센서, AVR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센서의 제어와 운영을 위한 임베디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센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민감도와 분해능 분석 실험과 캔틸레버 보와 가진기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 실험, 실 구조물을 이용한 현장 적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한 스마트 센서의 성능에 대한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Palatal vault configuration and its influence on intraoral scan time and accuracy in completely edentulous arches: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 Dina Mohamed Ahmed Elawady;Wafaa Ibrahim Ibrahim;Radwa Gamal Ghanem;Reham Bassuni Osm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4호
    • /
    • pp.201-211
    • /
    • 2024
  • PURPO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to compare the influence of palatal vault forms on accuracy and speed of intraoral (IO) scans in completely edentulous cases.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e palatal vault for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n = 10 each); Class I: moderate; Class II: deep; Class III: flat palatal vault. A reference model was created for each patient using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The poured models were digitized using an extraoral scanner. The resultant data were imported as a solid CAD file into 3D analysis software (GOM Inspect 2018; Gom GmbH, Braunschweig, Germany) and aligned using the software's coordinate system to determine its X, Y, and Z axes. Five digital impressions (DIs) of maxilla were captured for each patient using an intraoral scanner (TRIOS; 3Shape A/S, Copenhagen, Denmark) and the resultant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STL) scan files served as test models. Trueness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arithmetic mean deviation (AMD) of the vault area between reference and test files while precision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AMD between captured scans to measure repeatability of scan acquisition. The scan time taken for each participant was also record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eness and precision among the groups (P = .806 and .950, respectively). Average scan time for Class I and III palatal vaults was 1 min 13 seconds and 1 min 37 seconds, respectively, while class II deep palatal vaults showed the highest scan time of 5 mins. CONCLUSION. Palatal vault form in edentulous cases has an influence on scan time. However, it does not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accuracy of the acquired scans.

식중독 발생 건수에 대한 계층 시계열 예측 (Forecasting hierarchical time series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

  • 여인권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4호
    • /
    • pp.499 -50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식중독 발생건수를 원인물질별로 나눈 자료와 합한 자료를 별개로 분석하여 예측값을 유도한 후 계층구조를 만족하도록 하는 계층 시계열 예측에 대해 알아본다. 원인물질별 식중독 방생건수는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으로 분석하고 합한 식중독 발생건수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으로 분석한다. 계층 시계열 예측을 위해 최적결합 중 하나인 Wickramasuriya 등 (2019)의 MinT 추정이 사용되었다. 계층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음의 예측값은 0으로 수정하고 나머지 최하위 변수에 가중치를 곱해 계층구조를 만족시킨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원인물질별 예측에서는 계층조정을 한 결과와 하지 않은 결과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주요, 기타 및 전체에 대한 예측에서는 계층조정 한 결과가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것은 계층조정을 하지 않으면 최하위 변수의 예측빈도가 주요나 기타의 예측빈도 보다 큰 경우도 발생하지만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면 계층구조를 이루는 예측값을 얻을 수 있다.

뇌파의 비선형 분석을 위한 신호추출조건 및 계산 알고리즘 (A Proposed Algorithm and Sampling Conditions for Nonlinear Analysis of EEG)

  • 신철진;이광호;최성구;윤인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52-60
    • /
    • 1999
  • 목 적 : 임상 뇌파의 비선형 분석시,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과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을 얻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고안을 시도하였다. 또 뇌파신호 분석을 위한 적절한 신호획득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여러 상이한 실험조건에서 상관차원을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각 실험실마다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실험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의의 한 개인을 대상으로 13개의 두피전극에서 얻은 뇌파신호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비트 해상도에서 1000 헤르츠로 32초간 얻은 뇌파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각 전극당 32000개의 시계열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를 10, 20, 30초 간격의 시간단위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1000, 500, 250, 125, 62.5 Hz 등 5가지 신호추출조건을 달리 하여 각 전극마다 총 15개의 시계열 자료를 만들었다. 여기에 상관차원 계산시간 단축을 위해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 및 상관차원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한 최소절단자승기법을 적용하여 상관 차원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관차원 결과를 신호획득시간과 신호추출빈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 로그연산을 비트 연산으로 바꾸어 계산시간 단축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최소 절단자승기법과 최소자승추정기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신호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관차원의 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호추출빈도가 62.5Hz일때는 신호추출시간에 무관하게 높은 상관차원값을 나타냈으나 그밖의 빈도에서는 유사한 상관차원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은 종래 사용하던 알고리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산시간 단축효과를 보였다. 또 종래의 방법인 최소자승추정에 의한 상관차원에 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최소절단자승추정법은 보다 안정된상관차원 값을 추정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다량의 뇌파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데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 추정에 알맞는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뇌파 시계열 자료의 상관차원 계산시 12비트의 해상도에서 125Hz의 신호추출빈도로 20초간 뇌파신호를 획득하면 적정한 수준의 상관차원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휴식 T1-201/부하 Tc-99m MIBI 심근 SPECT의 관상동맥질환 진단 정확성 (Diagnostic Accuracy of Rest T1-201/Stress Tc-99m-MIBI Myocardial SPECT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 여정석;이동수;강건욱;손대원;오병희;이명묵;정준기;박영배;이명철;서정돈;이영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17
    • /
    • 1996
  • 휴식 T1-20l/부하 Tc-99m MIBI 지연 T1-201 심근 SPECT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하는데 87%의 진단 정확성을 보여 기존의 부하/휴식 Tc-99m MIBI SPECT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로써 휴식 T1-201/부하 Tc-99m MIBI 심근 SPECT 방법의 관동맥질환 진단성능은 다른 방법들과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방법은 진정한 의미의 휴식기 영상을 얻을 수 있고 휴식기와 부하기 영상사이에 남아있던 방사능으로 인한 오차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T1-201의 재분포영상과 24시간 지연영상으로부터 지속관류감소 부위의 생존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휴식기 촬영후 바로 부하기 촬영을 하므로 전체 검사시간이 줄어 환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이 높아, 지연 T1-201 SPECT의 심근 생존능 판별성능이 확인되면 관동맥질환의 진단과 생존심근을 찾는 검사로 유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