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ger Index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1981-2020년 기간 동아시아 지역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 특성 (Variability and Changes of Wildfire Potential over East Asia from 1981 to 2020)

  • 이준이;이두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40
    • /
    • 2022
  • 전 세계 곳곳에서 산발적이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은 가연성 식생 지역에서 주요한 자연 변동성의 일환이면서 전 지구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공공 비상사태를 야기하는 심각한 자연재해이다. 산불 배출량, 연소 면적 및 산불기상지수를 활용한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40년 기간 동안 산불기상지수 자료를 분석해 동아시아 지역 산불 위험도의 변동성 및 장기 변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아시아 지역 산불 위험도의 첫 번째 주요 변동 모드는 전체 변동성의 29%를 설명하며, 대부분 지역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구온난화 및 해양의 수 십년 주기 변동성과 연계되어 지표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며, 이는 토양 수분의 상승 경향에 의해 그 효과가 다소 상쇄되고 있다. 두 번째 변동 모드는 엘니뇨-남방진동과 연계된 경년 변동성을 반영하며 전체 변동성의 17%를 설명한다. 엘니뇨(라니냐) 시기 동아시아 지역 강수량의 증가(감소)는 토양 수분을 증가(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산불 위험이 감소(증가)하게 된다. 이는 지표 기온 상승(하강)에 의해 그 효과가 다소 상쇄된다.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에 대한 이해와 예측을 증진하는 것은 그에 따른 피해를 저감하고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I ) - 기준 설정 및 검증 -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reshold Criteria for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in Korea; Part I : Establishment of Criteria and Verification)

  • 박종길;정우식;김은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767-78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ndard, duration period and excess mortality of extreme heat using the standardized daily mortality data from 1991 to 2004, establishing a standard threshold Criteria for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in Korea. It ultimately aims to provide the guidance in building up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for Korea by suggesting the standard to quantify thermal stress from heat. The standard threshold Criteria for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for Seoul metropolitan city takes into account both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HI) and consists of four phases; caution, extreme caution, danger, and extreme danger. Extreme caution phase and danger phase are used as the advisory and warning of extreme heat, respectively. Since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the frequency of extreme heat day and the excess mortality rate shows little difference across regions, the standard threshold Criteria for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for Seoul metropolitan city can be used for other regions.

산불발화지점의 임상 및 지형특성을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수 개발 (Developing of Forest Fire Occurrence Danger Index Using Fue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Ignition Point in Korea)

  • 이시영;원명수;한상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5-79
    • /
    • 2005
  • 전국 산불피해지 126개소의 사례조사에서 얻은 발화지점의 임상 및 지형조건을 빈도 분석하여 산불발생 가중치에 의한 산불발생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산불발화 지점의 임상별 빈도는 침엽수림 87개소$(69\%)$, 혼효림 21개소$(16.7\%)$, 활엽수림 18개소$(14.3\%)$로 나타났으며, 이를 다시 가중치별로 1-10단계까지 지수화 한 결과 임상별 산불발생위험지수는 침엽수림 10,혼효림 3, 활엽수림 2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발화 지점의 지형별 발생빈도는 산록하단부가 90개소$(71.4\%)$, 방위별 빈도는 남서방향이 22개소$(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다시 지형인자인 고도 및 방위에 의한 각각의 가중치를 최대 5로하여 지수화한 결과 고도별 발생지수는 산록하부 5, 산록상부 1.5, 산복하부 1.0, 산정하부/산복상부 각각의 지수가 0.5로 나타났고, 방위별로는 남서 5.0, 북서/북동 각각 4.5, 남동/남 각각 4.0, 북/서 2.5, 동 1.5로 나타났다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선로 위험도 산출 알고리즘 및 거리계전기 Zone 3 동작 예측 알고리즘 (Algorithm of Line dangerous Index and Predicting Distance Relay Zone 3 acting time by using real time data)

  • 김진환;이승재;최면송;임일형;임성일;김상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278_279
    • /
    • 2009
  • Nowaday, many people study about Black-Out. In this paper, I introduce how to calculate the Dangerous Index against Black-Out, and prediction of Distance relay error action on Zone 3. we consider the real data by I-PIU which will be set on the system. The dangerous Index is calculated three index about Cascading. The prediction of Distance relay is considered by other facilities of power system. This two algorithm can be used on the center system, when the system is on danger, also on the normal states for security.

  • PDF

대구의 2016년 폭염시기 열 스트레스 지표의 비교 (Comparison of Several Heat Stress Indices for the 2016 Heat Wave in Daegu)

  • 김지혜;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99-1405
    • /
    • 2017
  • We compar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veral heat stress indices (the Wet-Bulb Globe Temperature(WBGT) index, Environmental Stress Index (ESI), and Modified Discomfort Index(MDI)) for the heat wave of June 6~August 26, 2016, in Daegu. We calculated the heat stress indices using data from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in Daegu. The observ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13. We used data from a total of 38 air temperature observation points (23 thermometers and 18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e values of the heat stress indices indicated that the danger level was very high from 0900-2000h in downtown Daegu. The daily maximum value of the WBGT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35^{\circ}C$. The differences in the heat stress indices from downtown and rural areas were higher in the daytime than at nighttime. The maximum difference was about 4 before and after 1400h, and the time variations of the heat stress indices corresponded well. Thu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ESI and MDI can be substituted with the WBGT index.

건설장비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A사 건설장비 사고사례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nger Indicator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 Based on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of A company -)

  • 김병용;호종관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5
    • /
    • 2021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되고 다양한 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건설장비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산업재해현황 발표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사망사고 중 건설장비로 인한 사망사고 비율이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교통 등 타산업의 안전분야에서는 평가지표 개발 또는 위험 지수 개발의 요구가 있어 정량적인 지수를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반면에 건설장비는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개선대책을 도출하는 연구는 되고 있으나, 위험 지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고사례를 기반으로 현장의 건설장비 위험 수준을 선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지수를 개발하고, 현업에 활용 가능성도 확인해 보고자 한다.

SWMM을 이용한 청계천 유역의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Index for the Cheonggyecheon Watershed Using SWMM)

  • 양정석;김일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85-3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 산정을 위하여 청계천 및 정릉천 유역을 분석하였다. 각 유역 배수구역별 자료를 토대로 SWMM 모델링을 구축하고 인문, 사회 환경과 관련하여 최종 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소에 따라 정의하였다. 각 요소별 가중치는 Delphi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지표에 대한 표준화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위험도에 따른 위험 유역을 선정 했다. 유해성 및 취약성에 따라 12개의 지표를 결정하였다. 그중 취약성의 경우 세분화하여 3가지 요소로 나누어 지표를 선정했다. 총 21개의 배수구역별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정릉1이 0.533, 마장 0.494, 필동 0.381,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적은 지수는 숭인 0.216으로 나타났다.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를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에 적용하게 되면 향후 수자원 정책 수립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노인의 식사내용이 골격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ietary Intake up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ged)

  • 한성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5호
    • /
    • pp.333-347
    • /
    • 198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status, and bone mineral state which influenced by aging process. The subjects were 196 people over 65 years old(male 72, female124). The present dietary intake was estimated by the 24-hr, recall method, and individual dietary history concerning consumption of meat, fish and dairy products was obtained by questionaires. The syndrome of senility including seniliy was evaluated according to "Cornell Medical Index". The five subjects who showed 'Good' grade in bone senility, and five subjects who showed 'Risk' and 'Danger' grade were selected and their spine and femur bone density was measured by "Dual Photon Absorptiometry". The bone density measurement showed that the subjects with 'Good' grade in bone senility had bone density above that of normal person, and their nutrient status were satisfactory, whereas the subjects with 'Risk' and 'Danger' grade in bone senility had severe osteoporotic pattern, and their nutrient status were very poor. The food consumption score showed that the subject with higher intake of meat rather than milk had good grade in bone senility (p<0.05). Therefore, past meats consump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the present bone status. The nutrient intakes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bone status in male, whereas there was little effect of nutrients intakes in female. Therefore, the risk of osteoporosis can increase as syndrome of bone senility and nutrient intakes were worse, and its is possible to evaluate bone status and predict osteoporosis simply from informations concerning syndrome of bone senility and nutrient intakes in old population over 65.

  • PDF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 이시영;안상현;원명수;이명보;임태규;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04
  • 산불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고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역에 대하여 임상, 지형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요인들 간 독립성 유무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7개의 주제도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제도률 조건부확률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산불발생확률을 20개 등급으로 지수화하여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 PDF

MODIS Fire Spot 정보와 5km 기상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re Weather Index Model in Inaccessible Areas using MOD14 Fire Product and 5km-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 원명수;장근창;윤석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9-204
    • /
    • 2018
  •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과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자료의 취득과 검증을 위한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연구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IS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산불발화지점(fire spot)을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추출된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생산된 과거 기상 재분석자료(5㎞ 해상도)를 활용하여 산불발화지점에 대한 기상특성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화지점에서 추출된 기상요소들은 산불발생과 기상요인들과의 통계적 상관성과 산불발생 유무(산불발생 1, 산불 미발생 0)를 추정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변화에 의한 산불기상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를 개발하였다. FWI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66.6%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남 북한의 산불 방지를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