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living abilitie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노년기의 인지 저하가 활동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ecline of Elderly on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 최유임;우희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4
    • /
    • 2019
  •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인지수준이 여가나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활동에 대한 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MMSE-K의 점수가 15점 이상 23점 이하인 경도인지장애노인들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대상자들의 영역별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MoCA-K를, 활동참여 수준 및 사회관계망 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K-ACS와 LSNS-18을 각각 적용하였다. 결과 : 인지와 활동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의 다양한 하위 능력(시공간능력, 어휘능력, 주의력, 추상력, 지남력)이 수단적 일상생활, 여가활동,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인지의 모든 하위 능력이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 요소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의 전반적 요소들이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다양한 영역의 활동참여 및 사회적 관계망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활동 참여와 사회적 참여를 높이는 방안들이 마련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VR) Contents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 김영준;박진홍;조영석;김금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3-212
    • /
    • 2020
  • 본 연구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집단은 가상현실 인지재활 적용군인 실험군과 보편적 인지자극프로그램 적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MMSE-K 점수가 실험군 13.0%, 대조군 2.3% 향상되었다. 실험군의 영역별 향상도는 MBI 3.1%, MFT(Rt.) 7.1%, MFT(Lt.) 3.5%, K-GDS -25.4%를 나타냈다. 각 집단 간 사전-사후 점수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일상생활활동능력(p<.001)과 MFT(Rt.)(p<.01)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뇌파를 통해 우울감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절대 알파파의 변화량을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군에서 평균값이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실험으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 인지기능, 우울감 및 상지기능을 유지 및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중재방법을 제시한 것에 그 의미가 있겠다.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적용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의 개선효과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in Stroke)

  • 김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76-548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임상 실험으로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개발제품의 임상적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24명(뇌출혈 13명, 뇌경색 11명)에게 제공하였다. 실험군(13명)에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위주의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11명)에는 재활치료의 유형인 보편적 기능훈련으로 일상생활활동 훈련, 지필물과 테이블 탑 위주의 인지재활 훈련, 운동조절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주 3회 하루 2회씩 총 8주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기능적 독립 측정(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자아존중감척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과 보편적 재활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척도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중재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에서 모두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P<.05). 산학공동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과 기초 인지능력을 회복시키고, 삶의 만족과 인간행동의 원인이 되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치매 환자의 다양한 기능 회복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Comprehensive Art Therapy on Physical Perform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Baek, Suejung;Lee, Myeungsu;Yang, Chungyong;Yang, Jisu;Kang, Eunyeong;Chong, Bokhee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1-59
    • /
    • 2019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prehensive art therapy on physic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Methods : Ten ambulant children with diplegic (n=8) or hemiplegic (n=2)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art therapy group (n=5) or the control group (n=5). Both groups received physical therapy based on neurodevelopmental techniques for 20 minutes a day, 1 day a 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Children in the art therapy group received additional comprehensive art therapy for 70 minutes once a week for 3 months. Tests for various measurements-Motricity Index (MI) for strength, Trunk Control Test (TCT) for trunk ability,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for gross motor function,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 (DDST-II) for developmental milestones,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Children (WeeFIM) for abilities to complete daily activities, Leg and Hand Ability Test (LHAT) for limb function-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reatments. Results : The upper extremity and whole extremity strengths of MI, self-care and total scores of WeeFIM, and leg and arm functions of LHAT improved significantly only for individuals in the art therapy group after the art therapy (p<.05). The value of MI after treatment was at the upper extremity and whole extremity strengths the leg function of LHAT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rehensive art therapy along with physiotherap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upper extremity strength and leg ability in children with CP. This suggests that comprehensive art therapy may be a useful adjunctive therapy for children with CP.

신경근 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Neuromuscular Integr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on Physical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희라;김명준;서병도;박래준;허진강;양영애;김희완;윤태형;김윤신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01-312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xercisely the effects of applying an Integrated Exercise Program (IEP) with the adapted use of Thera-Band exercise sets to Korean seniors on their improvement in their physical strength (PS), daily living ability (ADL and IDAL). Methods : The Exercise group consisted of 30 Korean seniors of 65 years of age or older, while the control group had another 30 Korean seniors with comparable aging. The Exercise group received the IEP for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or a duration of consecutive 12 weeks. Results : This confirms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IEP on their MA and PS, and their improvement in PS (p<.05), in turn, can improve their IADL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otentialities for IEP to help Korean seniors of 65 years or older to improve their PS, ADL and IADL. Conclusion : The IEP is within the physical and financial capabilities of Korean seniors, can be designed and modifi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hysiological conditions. Sustained, regular exercises under IEP are expected to help resolve physiological issues of aging of Korean seniors.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riving Performance in Stroke Hemiplegic Patients

  • Kwak, Hosoung;Yoo, Chanuk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5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riving performance in stroke hemiplegic patients residing in Korea. Methods :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 stroke hemiplegic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s situated in Seoul. A clock drawing test (CDT), a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a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Eca faros-driving simulator) were used to examine their cognitive function, their ADL ability, and their driving skills, respectively. Results : Driving skills of stroke hemiplegic patients wer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CDT evaluation tool (r=-.777) (p<.001), but they were found to have any correlation with MBI (r=-.022) (p>.05). Additionally, an individual's CDT showed that the driving simulator evaluation result (pass/fail) could be discriminated with a sensitivity of 100.0 %, a specificity of 40.0 %, and an accuracy of 66.7 %.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CDT is a useful evaluation tool for screening driving ability in people with stroke. But the MBI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sensitivity of 62.5 %, specificity of 40.0 %, and predicted the results of the simulator with 50.0 % of accuracy)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cognitive function influences the driving performance in people with stroke. Driving skills of stroke hemiplegic patients are seen to be highly related to CDT. In the field of driving rehabilitation, these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evaluating driving skills relating to CDT. Furthermore, the study results will set a guideline for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to use the evaluation tool for assessing driving abilities in people with stroke.

공동생활시설 내 지적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영향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Institutionalized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박형욱;김홍열;허무룡;손병구;임기병;박우청;소인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11-17
    • /
    • 2012
  • 본 연구는 공동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가 일상생활동작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대상자는 제주시 용담동 J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대조군 8명, 실험군 8명 이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9년 3월부터 2009년 7월 중순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20회 실시하였다. 일상생활동작 평가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식사동작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의 기능이 실험기간 동안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떨어졌다. 실험군의 경우 대조구와는 반대로 원예치료에 의해서 이동동작을 제외한 일상생활동작평가의 모든 항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대인관계 평가 결과 대조군은 실험 전 42.25점에서 실험 후에도 42.25점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경우 대조구와는 달리 실험 전 41.75점에서 실험 후 50.37점으로 8.62점이 증가하여 99% 수준에서 고도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그룹활동 평가 결과 신체적 지각적 능력, 사회적 교류, 인지능력, 감정상태, 직업적 관심이 통계적으로 고도로 유의하게(99%)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공동 생활시설내 지적 장애인들의 일상생활동작 및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갈란타민(Galantamine) 투여 후 순수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혼합성 치매 환자의 주의력, 일상생활능력 및 신경정신행동 증상에 대한 효과 평가 (Effects of Galantamine Treatment on Atten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europsychiatric Symptoms between the Patients with Pure Alzheimer's Disease and Mixed Dementia)

  • 강효신;윤지혜;안인숙;문유진;황태영;이영민;김혜란;김도관
    • 노인정신의학
    • /
    • 제16권1호
    • /
    • pp.24-3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galantamine treatment, especially attention ability between patients with pure Alzheimer's disease (AD) and Mixed dementia (MD) during a 24-week trial. Methods : A total of 40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is 24-week study. The effect of galantamine on attention was measured using 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SCNT) and frontal functions test of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Patients'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the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 and the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 behavioral symptoms using the Korean versi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K-NPI)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24-week. Results : 17 pure AD patients and 23 MD patie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ttention as measured by SC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aseline after 24 weeks of treatment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ean change from baseline in the SCNT, S-ADL, S-IADL and K-NPI scores at 24-week. Conclusion : Galantamine showed a therapeutic effect on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pure AD and MD. Furthermore, Galantamine may specifically help to maintain attention and it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other cognitive and functional abilities.

일 도서지역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 장애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and Difficulty of Activity of Daily Living of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 in Island Residents)

  • 이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291-302
    • /
    • 2009
  • 본 연구는 도서지역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 장애 정도와 각 변수 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8년 6월 23일부터 2008년 10월 8일까지 층화비율 표집에 의해 전라남도 신안군 14개면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관절염 환자 601명을 자료 수집을 하여, 서술적 통계,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은 115.87${\pm}$17.76, 지각된 건강상태는 4.40${\pm}$1.63, 통증은 6.31${\pm}$1.87,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77.62${\pm}$12.13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 동거형태, 경제수준에서, 지각된 건강상태는 성별, 연령, 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증은 성별, 연령, 일 노동시간에서,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련 특성에서는 삶의 질과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일상생활동작 장애 모두 유병기간과 진통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일상생활동작 장애간의 상관관계는 삶의 질은 지각된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상관관계를,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와는 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도서지역 관절염 환자는 경제수준이 낮은 독거노인과 오래된 유병기간, 현재 진통제를 복용중인 대상자에서 삶의 질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낮고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높았다. 따라서 도서지역 관절염환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간호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자가평가에 따른 기능적 건강 및 영양위험 평가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 최윤정;박유신;김찬;장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23-235
    • /
    • 2004
  • A functional ability and adequate nutritional statu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health status, Self-rated health (SRH) is a worldwide method to assess health status and it is recognized as a predictor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RH in the elderly. Four hundred nine free-living elderly people (118 male, 291 female), aged $\geq$ 65 years were interviewed by trained interviewer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SR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unctional ability, general health status, and nutritional risk. SRH was divided into three status such as “Good”, “Moderate” and “Poor” status. And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spearman correlation, and x$^2$ analysis using SPSS 9.0 version at p 〈 0.05. Of all the subjects, 48.9%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poor”, and their functional abiliti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ore impaired than their counterparts (“good” and “moderate”). Poor self-rated health was also related to: a higher prevalence of illnesses (p 〈 0,001) especially in hypertension, arthritis. Self-rated health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ood security (p 〈 0.001), food enjoyment (p 〈 0.001) ,and nutritional knowledge (p = 0.0 13). Also NSI checklist total score was the highest in “poor” health status (p 〈 0.001). Better self-rated health was related to better food security, and better food enjoyment. However, smoking, alcoholic intake, exercise, eat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RH status. SRH was closely related to chronic diseases,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in the elderly. Therefore, public health strateg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focused on the elderly who are “poor” in SRH,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functional ability, and to reduce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