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cheong reservoir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부상웨어 설치에 따른 대청호 조류 성장 억제 효과 수치모의 (Numerical Modeling Effects of a Skimmer Weir Method on the Control of Algal Growth in Daecheong Reservoir)

  • 김유경;정세웅;이흥수;정용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1-590
    • /
    • 2007
  • A float-type weir has been proposed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s in some of eutrophic reservoirs recently. It is known as a costly and ecologically sound method, but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is low-cost technology for reservoirs that are located in monsoon climate areas where large flood events during the summer cause high water surface fluct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skimmer weir aimed at controlling algal blooms in the lacustrine zone and near the drinking water withdrawal structures of Daecheong Reservoir under various hydrodynamic flow conditions. The effect of weir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s was simulated using a laterally 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eutrophication model that can accommodat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eir following the water surface fluctuations.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two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s, 2001 and 2004 for representing drought year and normal year,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r is very effective method to control algal blooms in the reservoir by curtailing the transport of phosphorus and algae from contaminated inflow to the downstream lacustrine epilimnion during the draught year. However, large flood events occurred in 2004 transported nutrients and algae built upstream of the weir into the downstream euphotic zone by strong entrainments.

클로로필의 반사특성 분석과 원격탐측을 이용한 대청호의 영양상태 평가 (Analysis of Chlorophyll Reflectance and Assessment of Trophic State for Daecheong Reservoir Using Remote Sensing)

  • 김태근;김태승;조기성;김환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5-45
    • /
    • 1996
  • 호수의 수질관리시 가장 중요한 수질인자 중의 하나인 클로로필의 반사도를 측정하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에서 클로로필의 파장별 반사특성을 파악하였고, 클로로필 반사도 스펙트럼에 TM데이터를 적용시켜 TM데이터만으로 클로로필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1995년 6월 20일과 1996년 3월 18일자의 LANDSAT TM데이터와 위성 통과시간에 대청호에서 측정한 클로로필의 상관관계로부터 회귀모델을 유도하여 대청호 전역의 영양상태 분포도를 작성하였고 계절에 따른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 PDF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마디풀(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 (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정수영;이유미;박수현;윤석민;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0
    • /
    • 2010
  • 한반도 미기록 식물 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은 충청남도 부여군 금강 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그 외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 경작지 주변,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충주호 주변에 대단위 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근 옥천군 군북면 대청호, 대전광역시 대청호 일대에서도 확인되었다. 본종은 비교적 넓은 분포역을 가지고 자생하고 있으며, 근연분류군인 P. aviculare L. (마디풀)과 비교하여 소화경 중간위치에 관절이 있으며, 수과가 매끄럽고 윤채가 있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전체적으로 소형인 식물체로,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명을 '애기마디풀'로 신칭하였고, 형태적 특징과 도해 및 생태사진을 제시하였다.

홍수 규모별 대청호에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특성 변화 (Variation of Inflow Density Currents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 윤성완;정세웅;최정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219-1230
    • /
    • 2008
  • 여름철 홍수시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수는 저수지 표층수에 비해 낮은 수온과 높은 부유고형물질(SS) 농도를 가지므로 주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밀도차로 인해 형성된 밀도류의 저수지 내 진행과정은 수질과 수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하천수 밀도류의 거동분석은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현장조사의 최적화, SS와 영양염류 등 오염물질의 이송 확산 해석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를 통해 검증된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홍수규모에서 대청호로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거동 특성인 침강점 수심($d_p$)과 거리($X_p$), 분리점 수심($d_s$), 중층류 관입두께($h_i$), 댐축 도달시간($t_a$), 감소율(${\beta}$)을 분석함으로써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모의조건은 평수년이었던 2004년 6월 13일부터 7월 3일 동안 발생한 홍수사상의 수문곡선을 기준으로 유입 유량의 규모를 10개의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초기 성층조건은 탁수가 유입되기 전의 발달된 성층구조를 적용하였다. 유입수와 저수지 성층구조의 특성치는 밀도 Froude 수(Fri)로 나타내었으며, 10개의 $Fr_i$ 조건별로 $d_p,\;X_p,\;d_s,\;h_i,\;t_a$, SS의 ${\beta}$값 등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d_p,\;X_p,\;d_s,\;h_i$는 대체로 $Fr_i$ 값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중층류의 진행속도도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저수지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상태를 가정하는 Hebbert 식은 저수지 수위변화와 지형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치모델 보다 $d_p$값을 과대 산정하였다. 유입 SS 농도의 감소율(${\beta}$)은 $Fr_i$가 클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Fr_i$>9.0에서는 난류혼합효과 때문에 다시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저수지운영 실무자들이 홍수규모별로 탁수의 초기 거동특성을 간단히 예측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취수에 따른 대청호 탁수 조절효과 및 수질영향 분석 (Effect of Selective Withdrawal on the Control of Turbidity Flow and Its Water Quality Impact in Deacheong Reservoir)

  • 정용락;류환;김유경;예령;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601-615
    • /
    • 2007
  • 선택취수 방법은 성층화된 저수지로부터 공급되는 방류수의 수온, 용존산소농도, 탁도 등의 수질을 제어하고, 하천의 생태계 서식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하류의 탁수피해 저감을 위해 다단 취수가 가능하도록 기존의 취수시설을 개량하였거나 계획하고 있는 댐들이 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청댐에 선택취수 시설을 도입하였을 경우 하류의 탁수 제어 효과와 저수지 수질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다양한 선택취수 조건이 방류수 탁도와 저수지 수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보정 검증한 2차원 폭 방향 평균 수리 및 부영양화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년 연속$(2004\sim2005)$ 수문조건에서 표층수의 선택취수를 통한 댐 하류의 탁수 장기화 저감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하류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표층수를 과다하게 취수 할 경우, 높은 농도의 인을 포함하고 있는 중층 탁수를 유광대로 유입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호수역의 조류 성장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습지를 이용한 호소 유입 비점오염물질 제거 효율 평가: 대청호 안내천 습지 사례 분석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through Constructed Wetland: Case Study of Annaecheon Wetland in Daecheong Reservoir)

  • 박별님;조영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291-304
    • /
    • 2023
  • 녹조로 널리 알려진 남조류 과다증식은 심미적 불쾌감뿐만 아니라 독성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에 댐 수질 관리에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녹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호소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 특히, 영양염류 저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 방법으로 알려진 인공습지의 장기간 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비점오염물질 제어 수단으로서 인공습지의 적용 가능성 및 공정운영 관련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2014~2020년 동안 대청호 유역에 위치한 안내천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OD 14.3%, COD 17.9%, SS 50.0%, T-N 19.0%, T-P 35.4%로 인공습지가 오염 물질 제거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계절별 처리효율은 오염물질별로 다른 경향을 보였는데, 주로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BOD, COD, T-N은 겨울철에 비해 봄~가을에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생식물에 의해 주로 제거되는 T-P는 처리효율에 있어 겨울에도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나타내 호소 유입부하를 저감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오염부하에 따른 제거율은 모든 오염물질이 유입수의 중간농도 및 고농도 구간에서 유출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강우와 같은 고부하 조건에서도 인공습지가 호소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해 호소의 부영양화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습지는 자연정화에 기반한 시설로 인위적인 공정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향후 유역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운영사례 연구가 정립된다면 우리나라 호소의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호소 퇴적물의 유기물 분포 (Distribution of the Organic Contents in Reservoir Sediment)

  • 황종연;한의정;유순주;윤영삼;천세억;김태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95-107
    • /
    • 1999
  • The organic contents of reservoir sediment can offer a good indicator to events in history of lake life. Reservoir sediment have many information of the past and future fingerprint about development direction of life cycle in biological animals. So,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know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ntents in Daecheong reservoir sediment. Items for this investigations are such as follows: Loss on ignition, COD, Organic carbon, TN, TP, heavy metal contents, Loss on ignitions were determined in 6.44~15.91% and COD were determined in 1.606~6.859%, organic carbon in 1,077~3.743%. Contents of TP and TN were in the range of 0.083~0.757%, and 0.645~0.926%, respectively.

  • PDF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 (Reservoir Operation by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 심명필;권오익;이환기
    • 물과 미래
    • /
    • 제28권6호
    • /
    • pp.217-228
    • /
    • 1995
  • 홍수기중 최적의 저수지운영을 위해 서로 상반되는 이수와 치수를 조화시키기 위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비홍수기의 용수수요 보장을 고려히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기간별요 가변제한수위(VRWL)와 최소 확보저수위 (MRWL)를 적용하여 저수용량의 재할당으로 최적 운영방안이 유도되었다. 또한 갈수빈도해석에 따른 저수지운영분석으로 비홍수기의 용수공급을 위해 확보되어야 할 홍수기말 저수지의 수위조건에 관하여 대청과 충주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통계분석을 이용한 소규모 유역내 하천수 수질과 지질과의 상관관계 해석

  • 고경석;김재곤;이진수;김용제;조춘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11-314
    • /
    • 2004
  • To identify the effect of geology and land use, the hydrogeochemical and multivariate statitstical analysis were executed for stream water collected in headwater region of Daecheong reservoir. Hydrogeochemical analysis was showed the effect of weathering process such as dissolution of calc-silicate minerals to hydrochemistry of stream water with contrasting geology.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can also help to identify the source of dissolved components in stream water.

  • PDF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이용한 대청호 유기탄소 순환 및 물질수지 해석 (Analysis of Organic Carbon Cycle and Mass Balance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 안인경;박형석;정세웅;류인구;최정규;김지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4-299
    • /
    • 2020
  • Dam reservoirs play a particularly crucial role in processing the allochthonous and the autochthonous dissolved (DOC) and the particulate (POC) organic carbon and in the budget of global carbon cycle. However, the complex physical and biogeochemical processes make it difficult to capture the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the DOC and the POC in reservoi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the dynamics of the DOC and the POC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the 3-D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model (AEM3D), and to quantify the mass balance through the source and sink fluxes analysis. The AEM3D model was calibrated using field data collected in 2017 and showed reasonable performance i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water quality simu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lochthonous and autochthonous proportions of the annual total organic carbon (TOC) loads in the reservoir were 55.5% and 44.5%, respectively. In season, the allochthonous loading was the highest (72.7%) in summer, while in autumn, the autochthonous loading was the majority (77.1%) because of the basal metabolism of the phytoplankton. The amount of the DOC discharged to downstream of the dam was similar to the allochthonous load into the reservoir. However, the POC was removed by approximately 96.6% in the reservoir mainly by the sedimentation. The POC sedimentation flux was 36.21 g-C/㎡/yr. In terms of space,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was high in order of the riverine zone, the transitional zone, and the lacustrine zon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TOC management in the watersheds with extensive stagnant water, such as dam reservoirs and weir p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