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C Measurem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4초

침전법에 의한 폴리비닐부티랄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of Poly(vinyl butyral) by Precipitation Method and Its Characterization)

  • 서광원;김덕준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168-173
    • /
    • 2002
  • 폴리비닐알코올(PVA)을 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부티랄(PVB)을 합성하였다. PVB는 물을 용매로 침전법에 의하여 입자형태로 제조되었으며 생성된 PVB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측정하였다. 제조된 PVB입자는 100~700 $\mu\textrm{m}$의 입도분포내에서 약 380$\mu\textrm{m}$의 평균입자크기를 나타내었다. PVB의 화학구조는 FT/IR과 NMR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정분석 결과 아세탈화정도는 약 77%로 나타났다. DSC 분석결과 PVA가 PVB로 아세탈화됨에 따라 PVA의 결정성이 사라졌으며, 유리전이온도가 $70^{\circ}C$근처에서 나타났다. TGA 분석결과 제조된 PVB는 반응물인 PVA에 비해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300^{\circ}C$까지 열분해를 보이지 않았다. 용해도 분석결과 PVB는 PVA와는 달리 알콜류에는 용해되었으나 물에는 용해되지 않았다.

Characterization of aluminized RDX for chemical propulsion

  • Yoh, Jai-ick;Kim, Yoocheon;Kim, Bohoon;Kim, Minsung;Lee, Kyung-Cheol;Park, Jungsu;Yang, Seungho;Park, H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418-424
    • /
    • 2015
  • The chemical response of energetic materials is analyzed in terms of 1) the thermal decomposition under the thermal stimulus and 2) the reactive flow upon the mechanical impact, both of which give rise to an exothermic thermal runaway or an explosion. The present study aims at building a set of chemical kinetics that can precisely model both thermal and impact initiation of a heavily aluminized cyclotrimethylene-trinitramine (RDX) which contains 35% of aluminum. For a thermal decomposition model,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asurement is used together with the Friedman isoconversional method for defining the frequency factor and activation energy in the form of Arrhenius rate law that are extracted from the evolution of product mass fraction. As for modelling the impact response, a series of unconfined rate stick data are used to construct the size effect curve which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detonation velocity and inverse radius of the sample. For validation of the modeled results, a cook-off test and a pressure chamber test are used to compare the predicted chemical response of the aluminized RDX that is either thermally or mechanically loaded.

젖산 및 글리콜산에서 합성된 PLGA 멤브레인의 특성과 생분해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biodegradable of synthetic PLGA membrane from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 시에위잉;박종순;강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58-2965
    • /
    • 2015
  • 공중합체인 PLGA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의료용 이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은 양호한 생분해 특성 및 지속적 약물 전달체로서 치조골 유도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락티드, 글리콜리드 합성 및 공중합과정을 거쳐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PLGA 멤브레인을 제조하였으며, 멤브레인의 광학적(NMR, IR), 기계적(인장강도), 열적(DSC)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PLGA 멤브레인의 생분해 특성은 PBS (Phosphate Buffered Solution)이 담긴 항온조($60^{\circ}C$) 내에서 분해시간에 따른 표면분해 정도, 멤브레인의 질량변화 및 용액의 pH 변화로 측정하였다.

도시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MPCM 적용 축열도료 제조 및 열적성능 평가 (Preparation and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t Storage paint with MPCM for Reducing Urban Heat Island Effect)

  • 정수광;강유진;위승환;장성진;김수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17-24
    • /
    • 2015
  • The formation of heat islands causes high energy demand for space cooling and peak cooling loads in conditioned buildings. High-temperature fluctuations on a building roof may cause mechanical stress and increase surface deterioration. Thermal energy storage (TES) systems using microencapsulated phase-change materials (MPCM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advanced energy technologies for enhanc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buildings. In this study, we prepared MPCM/paint composites for mitigating the heat island effect and reducing peak temperature. In addition, we carried out thermal and physical analysis of prepared MPCM composite samples by means of SEM, FTIR spectroscopy, DSC, and TGA. Further, we evaluated the dynamic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heat-storage tiles painted with 10 g of heat-storage paint. From the obtained results, we deduced that MPCM/hydrophilic paint composites are more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building sector, than MPCM/hydrophobic paint composites. On the basis of SEM and FTIR spectroscopy results, we concluded that materials with hydrophilic properties are more compatible with MPCMs than those with hydrophobic properties. In addition, DSC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MPCM/hydrophilic paint composites have better compatibility, higher latent heat capacity, and better thermal properties than other composites. TGA results showed that hydrophilic-paint-based composites have higher thermal durability than hydrophobic-paint-based composites. Finally, a lot of MPCM-loaded heat-storage tiles showed lower peak temperatures at all measurement positions.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액정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quid Crystalline Polyurethanes Containing Aromatic Ring Moiety)

  • 이종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2호
    • /
    • pp.141-147
    • /
    • 2013
  • 메소겐(Mesogen) 단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para- 형태의 1,4-phenylene diisocyanate (1,4-PDI)와 2,6-bis(${\omega}$-hydroxypentoxy)naphthalene (BHN5) 또는 1,4-bis(${\omega}$-hydroxypentoxy)benzene (BHB5)을 단일과 공중합폴리우레탄을 부가중합에 의해 합성하였다. 모든 공중합폴리우레탄에서는 전단변형의 측정에서 단방성 액정상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고유점도가 $[\eta]$=0.32 dL/g인 폴리우레탄 Poly(50/50, mol%)은 $223^{\circ}C{\sim}211^{\circ}C$에서 냉각 시 액정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개의 단일폴리우레탄에서는 DSC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er) 측정 및 편광현미경 관찰에서도 액정상을 전혀 관찰 할 수 없었다.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액정성은 시차주사열량분석기, 편광현미경과 X-ray에 의해 확인하였다.

Free Radical 중합에 의한 PEGMA/Na-MMT와 아크릴단량체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EGMA/Na-MMT with Acrylic Monomer by Free-Radical Polymerization)

  • 주홍희;박찬영;김태균;천제환;이원기;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3호
    • /
    • pp.106-111
    • /
    • 2010
  • PEGMA macromer를 Na-MMT에 삽입한 후 MMA 및 MA 단량체와의 공중합을 행하여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료를 합성하고 이의 특성결정을 행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재료를 XRD로 관찰한 결과, Na-MMT에 PEGMA를 삽입하였을 경우 Na-MMT 양이 증가함에 따라 Na-MMT의 실리케이트 층간거리는 증가하였다. DSC 측정으로부터 Na-MMT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Tg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GA 측정을 통하여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료는 순수한 PEGMA-co-MMA/MA보다 열안정성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 최희돈;석호문;김성란;박용곤;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5-550
    • /
    • 2003
  •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에 의하면 ${\beta}$-glucan의 첨가에 의해 전분은 RVA 상에서의 호화개시가 빨라지고 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SC 분석 결과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입자가 안정화되어 전분의 호화개시 및 peak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X-선 회절 양상 결과에서도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의 결정성이 증진되어 DSC 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beta}$-glucan 첨가는 전분의 호화과정 중의 전분입자의 형태 및 amylose, amylopectin의 용출양상과 팽윤력, 용해도 등의 호화시 발생하는 특성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UV 경화 프로세스에 대한 새로운 평가방법 (A New Evaluation Method of UV Curing Process by Using Electrical Properties)

  • 이문학;김성빈;손세모;천재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393-400
    • /
    • 2005
  • 산증식제가 가지고 있는 산증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 방법은 UV 조사에 따른 산의 발생으로 인한 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그 원리를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nks film의 UV 경화반응 동안의 epoxy monomer의 광중합과 UV 경화율에 의해 전기 전도도가 감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산증식제를 합성하고, 합성된 산증식제의 열적 안정성을 DSC로 측정하였다. 여기서는 mono-type의 산증식제가 di-type의 산증식제보다 열적으로 더 안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화과정에 있어 UV 경화형 ink의 경화속도를 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생분해에 따른 PLGA 멤브레인의 분해속도 및 pH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gradation rate and pH change of PLGA membrane with a biodegradation)

  • 시에위잉;박종순;강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403-6410
    • /
    • 2015
  • 의료용 고분자 PLGA는 높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기계적 특성, 생체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량체 수량을 조절함으로서 분해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분자량과 L/D 타입 구성비가 다른 PLGA 멤브레인들을 인산완충생리식염수 하에서 멤브레인의 분자량과 용액의 온도 조건에 따른 생분해 특성을 유추하기 위하여 질량 변화와 용액의 pH값 측정하였으며, DSC와 실사현미경을 이용하여 Tg와 표면구조의 변화을 파악하였다. PLGA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L/D 타입 구성비에 따라 분해속도와 용액 pH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PET/Nylon66/Clay 나노복합재료의 열적물성 및 표면특성 (Thermal and Surface Properties of PET/Nylon66/Clay Nanocomposites)

  • 이민호;구자훈;민병훈;김정호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490-4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ET와 Nylon66의 블렌드에 몬모릴로나이트(PM) 또는 유기화제로 개질된 clay (Cloisite 25A 또는 15A)를 첨가하여 PET/Nylon66/clay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나노복합재료는 용융삽입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DSC 측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clay의 첨가로 인해 PET/Nylon66 블렌드의 결정화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25A가 PET/Nylon66 블렌드와의 상호작용이 가장 커서 결정화온도를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복합재료의 표면을 AFM으로 관찰한 결과에서도 C25A를 이용한 나노복합재료가 가장 표면의 굴곡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표면이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계적 물성측정에서도 전반적으로 C25A를 이용한 나노복합재료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각 나노복합재료의 표면 극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접촉각 측정을 하였는데 유기화 정도가 클수록 표면의 접촉각이 커져서 극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