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24초

목단피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서동주;박정해;김태우;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2-296
    • /
    • 2009
  • Tyrosinase는 피부의 melanocytes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한다. 목단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단피 물추출물의 항산화 능력과 tyrosinase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모델계와 a cell-free 모델계에서 알아보았다. MDP의 라디칼 소거작용은 DPPH assay로 알아보았고, MDP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작용을 보여주었다.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은 RT-PCR, 효소활성을 마우스 B16 세포내에서 측정함으로써 알아보았다. 24시간 목단피 물 추출물을 투여한 세포내에서 tyrosinase mRNA와 효소활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항산화력이 높고,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목단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melanin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일문전(Stephania delavayi Diels.)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및 세포증식억제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MeOH, BuOH and Ethyl Acetate Fractionated from Stephania delavayi Diels)

  • 이용순;김경희;서홍덕;박대훈;최연식;황혜림;이민재;최종진;권명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7-30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급성 위장염에 대한 약제로 사용되어 오던 일문전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물,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층으로 분획한 뒤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 부탄올(75.23%)> 메탄올(68.11%)> 에틸아세테이트 (63.58%)> 물(50.13%)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의 경우 용매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모두 부탄올 분획층에서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활성 측정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MDA-MB-231 cell과 MCF-7 cell에 대한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문전의 용매 분획물은 항암 후보물질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을 이용한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 배정미;조은경;김혜윤;강수희;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7-6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의 효소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고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매생이의 효소분해산물을 조제하여 이에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gar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는데 chitin 34.8%, fucoidan 36.8%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고, starch 51.2%, agarose와 laminaran은 agar와 비슷한 수준인 115.6%, 10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alginic acid에 대해서는 agar의 2배가 넘는 23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매생이 효소분해산물 2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2%, SOD 활성은 93%로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82%, pH 3.0에서 53%, pH 6.0에서 12%로 positive control인 비타민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 활성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효소분해산물 2 mg/ml 농도에서 30%의 증가된 알콜 분해능이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2 mg/ml에서 2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진범(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추출물의 항노화 및 항당뇨 효과 (Anti-aging and Anti-diabetes Effects of 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Extracts)

  • 김정환;이수연;권오준;박주훈;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1
    • /
    • 2013
  • 진범은 열독을 제거하고 발한을 유도하여 몸의 수분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져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활성과 장기의 면연체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진범 추출물의 항노화와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진범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이 가지는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PF 및 TBARs와 같은 항산화 활성과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진범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mu}g/ml$, $50{\mu}g/ml$ 처리군부터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99.8{\pm}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베타카로텐리놀레이트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물 추출물에서 1.27 PF, 1.33 PF값을,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40 PF, 1.49 PF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0.16{\pm}0.03{\mu}M$로 가장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와 에탄올 추출물의 100~$1,000{\mu}g/ml$ 처리군에서 90% 이상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과 6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진범의 생리활성을 이용하여 항노화 화장품 원료와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백 유박 에탄올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defatted Camellia japonica L. seeds)

  • 박원표;김난경;한석희;이상현;김지현;최진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03-511
    • /
    • 2023
  • 본 연구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백나무 유박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후 부탄올(BuOH),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O2-)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ABTS+ 및 O2- radical 소거능을 증가시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은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가장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26 mg GAE/g 및 32.39 mg QE/g이었으며,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보다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 및 EtOAc 분획물의 cameliaside B 함량은 각각 102.37, 165.05 ㎍/g임을 확인하여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백 유박 추출 및 분획물 중에서 BuOH 분획물 및 EtOA c 분획물은 다른 추출 및 분획물에 비해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 물질 함유량이 높아,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그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 김민희;정은정;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pm}0.05mg/g$, $9.51{\pm}0.45mg/g$, $2.83{\pm}0.03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pm}0.56%$, $91.47{\pm}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pm}0.33\;FeSO_4\;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 박성민;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00-17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MMP-1 활성 저해효과 및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황 추출물의 DPPH radicals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 소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와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각각 20 ${\mu}g$/ml에서 72%와 80% 정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 저해효과 측정에서 대황 추출물은 1 ${\mu}g$/ml에서 약 79.5%로 매우 우수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의 MMP-1 활성 저해효과는 20 ${\mu}g$/ml에서 약 70%의 우수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MMP-1 활성 저해효과와 자외선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형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Effects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chizonepeta tenuifolia)

  • 양한열;백상민;임영택;박선형;이종화;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57-1362
    • /
    • 2013
  •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2 g을 70, 90, $110^{\circ}C$에서 30분간 원적외선 처리 후 물 100 mL와 함께 $60^{\circ}C$에서 1, 3, 5시간 추출하였다. 원적외선을 고온에서 처리함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능이 증가하였다. 시료에 원적외선을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서 항산화능 및 tyrosinase 저해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온에서 원적외선을 처리할수록 좋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tyrosinase 저해능이 $110^{\circ}C$에서 원적외선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2.5, 2.6, 2.3, 4.4배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형개 추출물의 생리적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되며 형개를 건강기능식품이나 미백화장품의 소재로서 적용하고자 할 때 원적외선 처리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의 항산화, α-Glucosidase 저해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Evaluation of antioxidant, α-glucosidase inhibi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of Allium hookeri root grown in Korea and Myanmar)

  • 박주영;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9-245
    • /
    • 2016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된 삼채뿌리의 뛰어난 영양성을 토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활용도를 높이고자 국내산 및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삼채뿌리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삼채뿌리가 각각 5.27 mgGAE/g, 0.35 mgQE/g, 미얀마산 삼채뿌리가 각각 4.80 mgGAE/g, 0.24 mgQE/g으로 국내산 삼채뿌리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삼채뿌리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미얀마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e^{2+}$ 킬레이팅 활성, 환원력은 국내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국내산의 저해활성이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저해활성보다 더 높았으며 대조구인 acarbose에 비해서도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50 mg/mL 농도에서 국내산 삼채뿌리가 51.44%로 44.33%의 저해활성을 보인 미얀마산 삼채뿌리보다 더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채뿌리 특히 국내산 삼채뿌리는 높은 항산화 활성, ${\alpha}-glucosidase$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보여 혈당조절제, 치매예방 및 개선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향후 국내산 삼채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 삼채의 기능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누룩치(Pleurospermum kamtschaticumin)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actions from Pleurospermum kamtschaticumin Extracts)

  • 김미선;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38-1345
    • /
    • 2012
  • 본 연구는 누룩치의 생리활성효과와 미백 및 화장료 및 식품 보존제 등의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누룩치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누룩치의 80% ethanol과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16.44~382.73 mg/g GAE로 나타났으며,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어 페놀화합물이 주로 ethyl acetate 분획물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룩치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IC_{50}$ 값이 0.04 mg/mL, ABTS 라디칼 소거활성(0.5 mg/mL)이 98.86%로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 시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는 n-butanol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ethyl acetate 분획물과 n-butanol 분획물에서 높은 흡광도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FRAP value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1 mg/mL의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86.93%), n-butanol(78.23%)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5 mg/mL), n-butanol 분획물이 43.52%, 80% ethanol 추출물이 41.64%로 나타났다. Paper disc 방법에 의한 항균활성은 누룩치의 chloroform 분획물이 E. coli에 대해서 16.7 mm(0.5 mg/disc)의 저해환 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누룩치의 분획물들은 비교적 높은 항산화활성 및 미백 효과,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 등 기능성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