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2Q9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6초

VHF 대역 4채널 위상 판별기 (A VHF Band 4 Channel Phase Discriminator)

  • 박범준;이정훈;이규송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912-91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트리플 베이스라인 인터페로미터(tripple baseline interferometer) 방향탐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VHF 대역 다채널 위상 판별기(phase discriminator)를 제안하였다. 방향탐지 장치에서 출력되는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들 간의 위상차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위상 판별기를 다채널의 병렬 구조로 설계하였고, 위상 판별기의 위상 코릴레이터(phase correlator)는 소자 수를 줄이기 위해 I, Q 믹서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RF 소자의 위상 정합 불균형에 따른 위상 판별기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디지털 LUT(Look Up Table)를 적용하였다. 제작된 VHF 대역 다채널 위상 판별기는 측정 결과, 30 dB SNR 조건에서 2도 RMS(Root Mean Square) 수준의 위상 측정 정확도를 보이며, 상용 위상 판별기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갖는다.

Increased interleukin-6 and TP53 levels in rotator cuff tendon repair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 Jong Pil Yoon;Seung Gi Min;Jin-Hyun Choi;Hyun Joo Lee;Kyeong Hyeon Park;Sung Hyuk Yoon;Seong Soo Kim;Seok Won Chung;Hun-Min Kim;Dong Hyun Kim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4호
    • /
    • pp.296-303
    • /
    • 2022
  • Background: 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hyperlipidemia increases the incidence of tears in the rotator cuff tendon and affects healing after repair.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torn rotator cuff tendons in patients both with and without hypercholesterolemia. Methods: Thirty patients who provided rotator cuff tendon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a non-hypercholesterolemia group (n=19, serum total cholesterol [TC] <200 mg/dL) and hypercholesterolemia group (n=11, serum TC ≥240 mg/dL) based on their concentrations of serum TC.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s of interest, including COL1A1, IGF1, IL-6, MMP2, MMP3, MMP9, MMP13, TNMD, and TP53, was analyzed by real-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In addition,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roteins encoded by interleukin (IL)-6 and TP53 tha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levels in real-time qRT-PCR. Results: Except for IGF1,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L-6, MMP2, MMP9, and TP5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cholesterolemic group than in the non-hypercholesterolemia group. Western blot analysis confirmed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levels of IL-6 and TP53 in the hypercholesterolemic group (p<0.05). Conclusions: We observed an increase in inflammatory cytokine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levels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s.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P53 were observed at both the mRNA and protein levels. We suggest that the overexpression of IL-6 and TP53 may be a specific feature in rotator cuff disease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 치어의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Juvenile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 오승용;신창훈;조재윤;노충환;명정구;김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2-208
    • /
    • 2006
  • 점농어 치어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대사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평균 무게 $5.5{\pm}0.3g$인 개체를 대상으로 수온 (15, 20, $25^{\circ}C$)과 염분 (0, 15, 30 psu)에 따른 산소 소비율을 측정하였다. 9가지 실험 조합의 산소 소비율은 유수식 형태의 호흡실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3반복 측정하였다. 수온은 점농어 치어의 산소 소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p<0.001), 염분과 수온 염분의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각 염분 조건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15, 20 그리고 $25^{\circ}C$에서의 시간당 평균 산소 소비율은 각각 328.8~342.3, 433.9~441.0 그리고 $651.5{\sim}659.9mg\;O_2\;kg^{-1}\;h^{-1}$이었다. $Q_{10}$ 값은 염분의 영향은 받지 않았으며, 수온에 따라 변하였다. 15~20, $20{\sim}25^{\circ}C$ 그리고 전 수온 범위에서의 $Q_{10}$ 값은 각각 1.63~1.75, 2.24~2.26 그리고 1.92~1.98이었다. 대사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수온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15, 20 그리고 $25^{\circ}C$에서의 호흡 대사로 인한 일간 평균 에너지 손실은 각각 224.6~233.8, 296.3~301.2 그리고 $444.9{\sim}450.7kJ\;kg^{-1}\;d^{-1}$이었다. 이 실험 결과는 점농어 치어를 염분 적응 후 염분 차이에 의한 에너지 손실 없이 해수뿐만 아니라 담수에서 사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사육관리 및 성장을 위한 생체역학 모델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수분(水分) 및 양료(養料) 처리(處理)에 따른 참나무류와 물푸레나무의 생장 및 생리 반응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pp. and Fraxinus rhynchophylla Subjected to Different Soil Moisture Regimes and Nutrition Levels)

  • 권기원;이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64-174
    • /
    • 1994
  • 장기간의 수분 및 양료 stress를 받는 다섯 가지 주요 수종의 생리적인 대사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이한 토양수분 및 양료 조건의 pot에서 기른 실생묘의 시기적인 생육, 엽록소 함량 및 수분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및 물푸레나무 실생묘를 내경 16cm, 깊이 16cm의 프라스틱 용기에 번식시켰다. 이들 묘목은 5월~9월까지 비닐 온실 내에서 건, 습 두가지 토양수분 조건 및 N+P+K 시비, 무시비의 두가지 시비 조건으로 조합 처리하였다. 환경 stress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5월, 7월, 9월에 묘고, 근원경, 엽록소 함량, P-V curve 모수들을 반복하여 측정했다. 수분 및 양료 부족에 따른 환경 stress는 묘목의 생육에 있어 수종, 생육시기 및 묘고와 근원경 간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상수리나무의 생육은 stress에 보다 예민하게 반응하여 감퇴되었지만 신갈나무는 나머지 수종에 비해 stress에 의한 생육부진 영향이 적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생육기간 중 일반적으로 물푸레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엽록소 중 chlorophyll a의 함량은 0.14~1.96mg/g dry wt., chlorophyll b는 0.16~1.79mg/g dry wt. 내에서 생육기간 중 수종 및 처리 별로 변화했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은 지속적인 환경 stress와 잎의 노화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 최대포수상태와 위조점에서의 osmotic potential(${\Psi}{{\pi}o}$, (${\Psi}{{\pi}p}$)은 일부 예외는 있지만 각각 5월의 -7.0~-12.4bars에서 9월의 -10.2~-17.5bars로 3~5bars까지, 또한 5월의 -7.6~-14.2bars에서 9월의 -12.9~-20.4bars로 5~6bars까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했다. ${\Psi}{{\pi}p}$의 값은 일반적으로 5월 및 7월에 물푸레나무에서 높았으나 9월에는 졸참나무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위조점에서의 상대수분함량 (RWCp)은 일반적으로 물푸레나무에서 높았지만 그 값의 시기적인 변화는 수종이나 처리 조건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Localiz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Bone Mineral Density on Chromosome 13 in the Mongolian Population

  • Seo, Soo-Hyun;Lim, Hae-Jeng;Ahn, Se-Jin;Lee, Joseph;Kim, Jong-I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3호
    • /
    • pp.152-158
    • /
    • 2009
  • Although the genetic basis for bone mineral density (BMD) has been studied by many groups so far, genes responsible for this complex trait has not been completely revealed. In order to localize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for BMD variation in Asian population,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group of Mongolian population, a genetically closed population with a homogeneous lifestyle. BMD was measured at the left and right wrists and ankles using DEXA in 1,082 participants from 142 families. Genotyping of 13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on chromosome 13 (average spacing 8-9 cM) and two-point and multipoint linkage analysis were performed. In two-point linkage analysis, we identified two markers, D13S175 (6.03 cM) and D13S265 (68.73 cM) that had LOD scores greater than 1 for left ankle (LOD=2.09, LOD=1.49, respectively). We also found a marker D13S175 (6.03 cM) with a high LOD for left wrist (LOD=1.49) and the markers D13S265 (68.73 cM) and D13S217 (17.21 cM) for the right wrist (LOD= 1.82, LOD= 1.62, respectively). Among these significant marker regions, only two regions at 17 cM (13p11) and 65 cM (13q21) for the right wrist overlapped with major QTLs reported in following multipoint linkage analysis (LOD= 1.7549, LOD=1.4462,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le evidence of the presence of QTLs affecting right wrist BMD in Mongolian populations on 13p11 and 13q21. Modest evidence was also found for genes affecting left ankle and left wrist BMD on 13p13.

MATLAB/SIMULINK와 dSPACE 1104 시스템을 이용한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벡터제어 (Vector Control of SPMSM Using MATLAB/SIMULINK & dSPACE 1104 System)

  • 이용석;지준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17-326
    • /
    • 2008
  • 본 논문은 MATLAB/SIMULINK와 dSPACE 1104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벡터제어를 구현하였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전류를 자속발생 전류성분과 토크발생 전류성분으로 분리하고 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타여자 직류전동기처럼 다루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류전동기 제어에 사용되던 각종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벡터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먼저 MATLAB/SIMULINK 프로그램으로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를 모델링하고 속도제어 부에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전류제어 부에는 비간섭 비례-적분 제어기를 설계하여 제어기의 응답을 미리 확인하였다. 그리고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dSPACE DS1104 R&D Board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벡터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험을 통해 제안된 벡터제어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Influence of Arg72 of pharaonis Phoborhodopsin on M-intermediate Decay and Proton Pumping Activity

  • Ikeura, Yukako;Shimono, Kazumi;Iwamoto, Masayuki;Sudo, Yuki;Kamo, Naoki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311-313
    • /
    • 2002
  • X-ray structures of pharaonis phoborhodopsin (ppR) show the different direction of the side chain of Arg72 from that of the corresponding residue (Arg82) of bacteriorhodopsin, BR. For BR, this residue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on pump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Arg72 in ppR, we constructed Arg72 mutants of R72A, R72K and R72Q, and measured the photocycle and proton pumping activities. The pH-titration curves on the absorption maximum of the mutants were shifted to alkaline in comparison of that of the wild-type. This may imply the increase of pKa of D75, suggesting the presence of the (probably electric) interaction between D75 and Arg72. Rate constants of the M-decay were 3-7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wild-type, and the time for the completion of the photocycling was also reduced. Using Sn0$_2$ electrode, the rate of transmembrane proton transport was measured upon illumination. The photo-induced proton pumping activities were estimated after the corrections that are the percentages of the associated form of D75 (which has no pumping activity) and the photocycling rates. R72A and R72Q showed the reduced activity while R72K did not reduce the activity.

  • PDF

Crystallization and Melting Behavior of Silica Nanoparticles and Poly(ethylene 2,6-naphthalate) Hybrid Nanocomposites

  • Kim Jun-Young;Kim Seong-Hun;Kang Seong-Wook;Chang Jin-Hae;Ahn Seon-Hoo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46-154
    • /
    • 2006
  • Organic and inorganic hybrid nanocomposites based on poly(ethylene 2,6-naphthalate) (PEN) and silic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 melt blending process. In particular, polymer nanocomposites consisting mostly of cheap conventional polyesters with very small quantities of inorganic nanoparticles are of great interest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EN/silica hybrid nanocomposites depended significantly on silica conte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he activation energy of crystallization for PEN/silica hybrid nanocomposites was decreased by incorporating a small quantity of silica nanoparticles. Double melting behavior was observed in PEN/silica hybrid nanocomposites, and the equilibrium melting temperature decreased with increasing silica content. The fold surface free energy of PEN/silica hybrid nanocomposit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ilica content. The work of chain folding (q) for PEN was estimated as $7.28{\times}10^{-20}J$ per molecular chain fold, while the q values for the PEN/silica 0.9 hybrid nanocomposite was $3.71{\times}10^{-20}J$, implying that the incorpor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lowers the work required to fold the polymer chains.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잎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Leaves)

  • 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61-71
    • /
    • 2006
  • 국내산 주요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상수리나무 잎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의 성분의 특성 및 상호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kaempferol, a stragalin, astragalin-6"-O-gallate, isoquercirin, isoquercitrin-6"-O-gallate 및 myricetin 등 10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상수리나무에서는 gallic acid, kaempferol과 quercetin이 떡갈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galocatechin, (-)-epigallocatechin, kaempferol, quercetin, guajaverin 및 tamarixin 등 9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으며 갈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ffeic acid, astragalin, quercetin과 isoquercitrin이 졸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 quercitrin, isoquercitrin 및 myricetin 등 7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고 굴참나무에서는 gallic acid, (+)-catechin, astragalin, astagalin-6"-O-gallate와 isoquercitrin 등 5종의 화합물이 단리되었다. Gallic aicd는 모든 수종에서 단리되어 참나무류 잎 추출성분의 지표 화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튜브 설치 방향이 풀비등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ube Orientation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 강명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1호
    • /
    • pp.143-151
    • /
    • 2000
  •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tube orientation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saturated pool boiling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the tests a series of data sets for heat flux versus wall superheat has been obtaine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tube diameters (D=9.7 $\~$25.4mm), surface roughness ($\varepsilon$=15.1$\~$60.9nm), and tube orientations (horizontal and vertical). ηei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lope of heat flux versus wall superheat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tube as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s from $\varepsilon$=60.9 to $\varepsilon$=15.1nm. Such that, two curves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cross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surface roughness and the crossing point can be suggested as q" = ‘-4.768+1.334$\varepsilon$+0.055${\varepsilon}^2$.